$\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Dose Calibrator의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of Dose Calibrator using 3D Printer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5 no.3, 2021년, pp.307 - 312  

류찬주 (분당차병원 핵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핵의학에서 Dose calibrator는 단일 핵종의 방사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이다. 인체에 정확한 용량의 투여는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투여 전 Dose calibrator를 통한 방사능 측정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Dose calibrator는 각 의료기관에서 설치 후 일상적인 정도 관리를 시행한다. 정도관리는 설치 후 품질관리를 보증하는 하나의 방편이며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에 정확하고 표준화된 성능 평가 방법을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도관리의 정확도와 기준성을 높여 품질 관리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3D 프린트를 이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정도관리를 위한 Q.C 표준선원이 중앙에 장착될 수 있는 3D 프린트를 이용한 보조기구를 재작하였다. 재현성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3D 프린트의 장착 유무에 따른 정도관리 선원의 오차율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선원의 정도관리 기댓값과 판독값의 오차 범위가 F-18 핵종에서는 0.302% 감소하였고, 99mTc-pertechneate 핵종에서는 0.09% 로 나타났다. 향후 정량적이고 표준화된 정도관리를 통해 장비의 노후화, 표준선원의 반감기에 따른 계산 오류 등 정도관리의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방사성의약품을 투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nuclear medicine, radioactive isotope tracers are administered to the human body to obtain and evaluate disease morphological information and biological function information. Dose calibrator is a device used to measure the radioactivity of a single nuclide in medical institutions. Administration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3D 모델링 프로그램 Z-SUITE 2.0으로 디자인된 설계를 바탕으로 모델링을 완성하여 3D 프린터로 보조기구를 제작하였다. Fig.
  • 1은 연구의 전체 제작과정을 도식화로 나타내었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디자인의 구성부터 설계, 제작과정에서는 Dose calibrator의 규격에 맞게 제작하였으며. 크기 와 재질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였다.
  • Fig. 5와 같이 3D 프린트를 이용하여 표준 선원을 고정시킨 후, 제외한 후 각각 60회 반복을 통한 Dose calibrator의 재현성을 실시하였다.
  • Dose calibrator의 구조와 표준 선원의 중심성과 기준성 그리고 Daily QC에 있어서의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모델링을 설계하였다. Fig.
  • 크기 와 재질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였다. 제작된 3D 프린터 보조기구의 반복적인 검토와 보완으로 피드백을 진행하였다. 다음 단계로 완성된 3D 프린터의 가공품을 적용시킨 것과 일반적으로 진행한 일단위의 Quality control의 재현성(constancy)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 3은 제작에 사용된 3D 프린터는 Zortrax M 200 모델이다.

데이터처리

  • 26.0, IBM, U.S.A)으로 기술 통계량에서 데이터 탐색을 통하여 정규 분포를 확인하였고,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 다음 단계로 완성된 3D 프린터의 가공품을 적용시킨 것과 일반적으로 진행한 일단위의 Quality control의 재현성(constancy)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원료로는 고체 상태인 Z-ABS(Acrylonitrile Butadi ene Styrene)에 열을 가해 녹인 후 노즐을 통해 일정한 양으로 적층 시켜 구조물을 만들어 내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으로 출력하였다. 출력베드의 크기는 200 × 200 × 180 mm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H. Park, B. H. Park, Y. S. Lee, "Dose calibrator quality control plan in nuclear medicine field",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Vol. 2018, No. 11, pp. 311-312, 2018. 

  2. J. G. Kim, J. C. Ham, S. H. Oh, C. K. Kang, J. S. Kim, "A Study on the Tendency of Dose value According to Dose calibrator Measurement Depth and Volum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technology, Vol. 24, No. 1, pp. 20-26, 2020. 

  3. S. U. Bark, S. M. An, K. Y. Yu et al, The Nuclear medicine science, 4nd Ed., Daihak Publishing Co., pp. 63, 2011. 

  4. M. K. Kim, H. I. Kim, J. H. Lee, S. H. Park, M. C. Song, "Status of quality control of medical Dose calibrator",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Vol. 2017, No. 11, pp. 578-579, 2017. 

  5. N. V. Uushona, T. J. Khotle, "Quality Assurance of the Dose Calibrator", Physica Medica, Vol. 23, No. 34, pp. 1120-1797, 2007. http://dx.doi.org/10.1016/j.ejmp.2007.09.033 

  6. B. E. Zimmerman, G. J. Kubicek, J. T. Cessna, "Radioassays and experimental evaluation of dose calibrator settings for 18F",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Vol. 54, No. 1, pp. 113-112, 2001. http://dx.doi.org/10.1016/S0969-8043(99)00260-2 

  7. H. K. Son, H. J. Kim, H. J. Jeong, H. K. Jeong, "A Study of Quality Control of Nuclear Medicine Counting System and Gamma Camera",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Vol. 12, No. 2, pp. 103-112, 2001. 

  8. C. K. Kim, J. H. Choe, S. H. Kim, W. W. Choe, "Accuracy Managment of Dose calibrator According to IAEA(Interational Atomic Energy)", Journal of Health Science & Medical Technology, Vol. 26, No. 1, pp. 7-12, 2000. 

  9. Alan Britten, Wendy Tindale, Maria E Lyra, "Routine quality control recommendations for nuclear medicine instrumentation", Europ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ol. 37, No. 3, pp. 662-671, 2010. http://dx.doi.org/10.1007/s00259-009-1347-y 

  10. Hojjat Ahmadzadehfar, Hans-Jurgen Biersack, Leonard M. Freeman, Lionel S. Zuckier, "Clinical Nuclear Medicine: Instrumentation and Radiation Safety and Regulations", Springer Nature Switzerland, pp. 3-48, 2020. 

  11. CRC-15R Radioisotope dose calibrator Manual, CAPINEC, INC., Vol. 200, No. 7, pp. 449-455, 2015. from: http://www.capintec.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