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선(학)과의 작업종사자와 수시출입자의 교내 실습에 따른 피폭선량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xposure Dose of Workers and Frequent Workers in the Radiology Department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5 no.3, 2021년, pp.355 - 359  

전성민 (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용기 (충북보건과학대학교 방사선과) ,  안성민 (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교내 실습 중 방사선(학)과 에 지정된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의 피폭 정도를 분석하여 방사선(학)과에 대한 원자력안전법의 방사선 방호에 대한 타당성과 최적화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연도별 작업종사자의 평균 피폭선량 2014년과 2016년에 0.01 mSv로 가장 낮은 수치가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수치는 2018년도로 0.12 mSv이다. 연도별 수시출입자의 평균 피폭선량은 2018년 0.013 mSv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2016년 0.022 mSv로 가장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 발생장치만을 사용하는 대학의 담당교수, 실습 조교 및 방사선(학)과의 학생들은 교내실습 과정에서 받는 연간 피폭선량은 일반인의 선량한도인 1mSv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러므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피폭선량이 일반인의 선량한도 보다 낮게 나오는 시점에서 현재 원자력안전법의 안전규제는 과도한 규제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의 원자력안전법에서 방사선 발생장치의 규정을 개정하거나 대학의 재학생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 체계를 수정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 of exposure of radiation workers assigned to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nd frequent visitors during on-campus practice, and to conduct a basic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optimization of the radiation protection of the Nuclear Saf...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내 실습 중 방사선(학)과에 지정된 방사선 작업종사자 및 수시출입자의 피폭 정도를 분석하여 방사선(학)과에 대한 원자력안전법의 방사선 방호에 대한 타당성과 최적화에 대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 W. Kil, J. H. Park, Y. G. Kim, "Study o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Training Education in Radiologic Science for Reduced x-ray Exposure."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1, No. 12, pp. 174-179, 2014. http://dx.doi.org/10.5573/ieie.2014.51.12.174 

  2. https://www.kuksiwon.or.kr/peryearPass/list.do?seq13& srchWord09 

  3. S. S. Kang, C. S. Kim, S. Y. Choi, S. J. Ko, J. H. Kim, "Evaluation of Present Curriculum for Devlopment of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urriculum."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5, pp. 242-251, 2011, http://dx.doi.org/10.5392/JKCA.2011.11.5.242 

  4. J. H. Park, J. W. Kil, S. H. Bae, J. E. Woo, H. J. Hwang, Y. G. Kim, "Planning and Operation of training Education in Radiologic Science." Information and Control Symposium, pp. 41-42, 2014 

  5. Y. H. Cho, B. S. Kang, "Assessment of Spatial Dose Distribution in the Diagnostic Imaging Laboratory by Monte Carlo Simulation."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1, No. 6, pp. 423-428, 2017, http://doi.org/10.7742/jksr.2017.11.6.423 

  6. B. W. Lee, C. G. Kim, "A Study on th e Convergence Perception of Students in Radiology on the Reorganiza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by person with frequent access of Nuclear Safety Act."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0, No. 6, pp. 89-94, 2019, http://doi.org/10.15207/JKCS.2019.10.6.089 

  7. C. S. Kim, H. K. Kim, "Raiological Science Curriculum on the Digital Radiology Environments : Problems and Suggestions."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8, No. 2, pp. 129-135, 2005, 

  8. H. H. Park, "Consideration about Radiological Technology Student's Frequent Workers Exposure Dose Rate."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1, No. 6, pp. 573-580, 2018, http://dx.doi.org/10.17946/JRST.2018.41.6.573 

  9. Article 2 (8)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Nuclear Safety law 

  10. Article 2, Paragraph 21 of the Nuclear Safety law 

  11. Enforcement Decree of the Nuclear Safety law [Annex 1] 

  12. Articles 4 and 9 of the Regulations on Registration Standards for Reading Business and Inspec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