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임상실습 학생의 피폭선량 분석
Analysis of radiation exposure in radiation worker in medical facility and student in clinical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8, 2016년, pp.442 - 448  

이주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최관우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민정환 (신구대학교 방사선과) ,  임종천 (한양대학교 의료원 영상의학과) ,  손순룡 (원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은 의료용 방사선 장비를 운용하는 병원의 근무지별 종사자와 동일한 구역에서 임상실습을 수행한 학생과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여 실습학생의 체계적인 피폭관리의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7월부터 8월까지 C대학병원 방사선구역에서 임상실습을 이수한 121명의 학생과 동 의료기관에 재직중인 종사자 62명(영상의학과 47명, 방사선종양학과 8명, 핵의학과 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측정을 위해 임상실습 기간인 8주간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였으며, 종사자는 영상의학, 방사선종양학, 핵의학분야 종사자의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8주간의 심부선량과 표층선량을 비교하였다. 선량측정은 OSLD를 이용하였으며, 각 그룹의 평균의 차이는 분산분석(ANOVA)을 수행하였고 사후검정으로는 Duncan의 중다검정방법(mul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부선량은 영상의학과 $0.127{\pm}0.331mSv$, 방사선종양학과 $0.01{\pm}0.003mSv$, 핵의학과 $0.431{\pm}0.205mSv$, 실습생 $0.143{\pm}0.136mSv$로 나타났다. 표층선량은 영상의학과 $0.131{\pm}0.331mSv$, 방사선종양학과 $0.009{\pm}0.003mSv$, 핵의학과 $0.445{\pm}0.198mSv$, 실습생 $0.151{\pm}0.14mSv$로 나타났으며, 두 선량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습생의 평균선량이 핵의학 종사자를 제외한 나머지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방사선방어 측면에서 관리 대상자에 포함하여 체계적인 개인피폭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systemic radiation exposure control for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by comparing radiation exposure in radiography employees at different stations of a hospital with that of students conducting clinical practice using identical st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임상실습을 수행한 학생들과 의료기관내 종사자들 간의 동일한 기간 동안 개인피폭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습학생들의 방사선 피폭의 위해성 여부와 그에 따른 적절한 대책수립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에서 이루어진 8주간의 임상실습 학생들과 동기간 병원에 재직 중인 종사자들의 구역별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실제 학생들이 받는 피폭선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임상실습이란? 학생임상실습은 대학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예비과정으로서 졸업 후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의료기술을 갖춘 양질의 방사선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개설되었다. 대학에서도 임상현장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시켜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보이고 있다[6].
의료장비의 역할은? 의술의 발전과 의료장비의 첨단화는 질병의 조기진단과 양질의 의료정보 제공에 커다란 기여를 해오고 있다[1]. 의료장비는 공학과 물리학 등의 학문과 접목되면서 질병 진단과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와 현대인의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2]. 특히 의료용 방사선장비는 디지털시대와 더불어 빠르게 변화하여 질병의 진단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3].
임상실습 학생이 겪는 문제점은? 임상실습 학생은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검사나 치료를 하지 않을 뿐, 방사선사와 동일한 구역과 동일한 시간 머무르면서 실습에 임하고 있다[9]. 그러나 이들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나 대학 또는 병원차원의 피폭관리가 전무하여 방사선 안전의 사각지대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임상실습이 정규 교과목으로 운영되어 온지 23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피폭관리에 소요되는 경비의 부담과 8주의 단기간이라는 인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W Ryu, KJ Kang, MS Cho, "An IT/Medical Converged Solution based on the Expert System for Enhancing U-healthcare Services in Middle-sized Medic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4, pp. 1318-24, 2010. 

  2. TW Kim, TK Cho, BS Park, "Query System for Analysis of Medical Tomography Imag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5, no. 1, pp. 38-43, 2004. 

  3. SO Park, HS Yang,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 of Software for Electronic Medical Devic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8, no. 4, pp. 758-67, 2007. 

  4. SY Son, TH Kim, JW Min, DK Han, SM Ahn,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a National Practical Examination in the Radiologic Technologi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5, pp. 2149-62,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5.2149 

  5. SS Kang, CS Kim, SY Choi, SJ Ko, JH Kim, "Evaluation of Present Curriculum for Devlopment of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urriculum",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1, no. 5, pp. 242-51, 2011. 

  6. JW Kil, JH Park, YG Kim, "Study o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Training Education in Radiologic Science for Reduced x-ray Exposur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1, no. 12, pp. 2810-15, 2014. DOI: http://dx.doi.org/10.5573/ieie.2014.51.12.174 

  7. SS Choi,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2, pp. 759-67,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2.759 

  8. OS Lee, MO Gu,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6, pp. 2749-59,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749 

  9. SY Son, MA Jeong, "The Comprehension of health care service bill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dental hygienist and the study of necessity of including the service supply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4, pp. 1696-702,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4.1696 

  10. KK Do, "The health effects of low-dose radiatio exposure", J Korean Med Assoc, vol. 54, no. 12, pp. 1253-61,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12.1253 

  11. Amy Berrington de Gonzaiez, Sarah Darby, "Risk of cancer from diagnostic X-ray: estimates for the UK and 14 other countries", THE LANCET, vol. 363, no. 4, pp. 345-51, 2004. 

  12.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60: 1990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Pergamon Press, vol. 23, 1991. 

  13.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Publication 103, 2007. 

  14. National instuti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Annual report on radiation exposure dose on persons engaged in radiation related job of medical institutes", KFDA, 2011. 

  15. SM Baek, ES Jang, "Comparative evaluation of radiation exposure in radiation-related workers",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5, no. 4, pp. 195-200, 2011. DOI: http://dx.doi.org/10.7742/jksr.2011.5.4.195 

  16. JH Kwak,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Radiation Exposure Dose for Radiological Workers in Third Medical Facilities in Pusan",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17. KR Dong, "A study on Radiation Exposure Doses for Radiological Workers in Third medical Facilities in Seou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2003. 

  18. PA. Jursinic, "Changes in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 dosimeter characteristics with accumulated dose", Medical Physics, vol. 37, no. 1, pp. 132-40, 2010. DOI: http://dx.doi.org/10.1118/1.3267489 

  19. JA Lee, SY Son, JW Min, KW Choi, SR Na, HW Jeong, "The neutron dosimet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ortals for prostate cancer IMRT(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734-40,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734 

  20. I. Mrcelal, T. Bokulicl, J. Izewska,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in vivo dosimetry for radiotherapy: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clinical measurements in Co-60 beam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56, no. 18, 2011. 

  21. G. Cabral, A Amaral, L. Campos and M. I. Guimaraes, "Investigation of maximum doses absorbed by people accompanying patients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s",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101, no. 1, pp. 435-38, 2002. DOI: http://dx.doi.org/10.1093/oxfordjournals.rpd.a006020 

  22. Yang, "Five-Year Individual Exposure Doses of Korean Radiation Workers:A Follow-up Study under ICRP 103",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2013. 

  23. TS Jeong, BC Shin, CW Moon, YD Cho, YH Lee, HY Yum, "The Analysis of radiation exposure of hospital radiation workers", J Korean Soc Ther Radiol Oncol, vol. 18, no. 2, pp. 157-66, 2000. 

  24. JI Lee, CS Park, "A Study on Clinical Practice of Radiologic Technology Department", Journal of Daegu Health College, vol. 20, pp. 91-106, 2000. 

  25. MN Ha, "Assessment of the Glycophorin a mutant assay as a biologic marker for low dose radiation exposur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