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 민첩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원문보기

벤처혁신연구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v.4 no.3, 2021년, pp.69 - 87  

박성열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  정병규 (성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증대되고 있는 경영 환경하에서 조직의 장기적 생존에 필요한 혁신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이슈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신호이론(Signaling theory),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직무요구-자원이론(Job Demands-Resources Theory)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또한 학습 민첩성 및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국적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팀장과 팀원 총 252쌍(한국 142쌍, 미국 11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슈 리더십은 종업원들의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 민첩성은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인 피드백 추구성향, 정보 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의 각각에 대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5개의 하위 구성 요인 모두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첩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정보 지향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관계에서 학습 민첩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한 일부 연구는 있지만, 이를 세분화해서 살펴본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고 사료 된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조직의 학습 민첩성 제고를 하고자 할 때 어느 부분을 더 집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innovative behavior necessary for the long-term survival of an organization in a business environment in which uncertainty and complexity are increasing.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70)

  1. 강영순,김영춘(2016), "학습목표지향성 및 상사의 변화지향적 행동과 혁신행동간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 상업교육연구, 30(1), 43-63. 

  2. 곽기영,최지선,백기복(2016), "중소기업 CEO 이슈리더십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CEO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29(2), 195-212. 

  3. 권세현,이진구(2020), "직무도전성, 학습민첩성, 업무몰입, 혁신적 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K 기업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2), 83-107. 

  4. 김동산,백기복,김보영(2014),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검증," 인사조직연구, 22, 99-136. 

  5. 김미애(2018), 제조업 근로자의 개인 및 직무 변인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재훈(2015), "집단정체성, 네트워크 중심성, 구성원의 이슈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리더십연구, 6, 45-82. 

  7. 김종훈,신제구(2018), "The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Subordinates' Grit: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Learned Helplessness," 리더십연구, 9(4), 35-66. 

  8. 김택진,이희수(2016), "학습민첩성이 조직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1), 27-46. 

  9. 박원우,김미숙,정상명,허규만(2007),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15, 89-133. 

  10. 박정호,최우재,백기복(2019), "팀장의 이슈리더십이 팀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8(2), 407-434. 

  11. 백규선,백기복,김익택(2015a), "이슈리더십 3 차원과 리더십유효성의 관계에 있어 리더집단전형성의 조절효과 검증,"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9, 147-175. 

  12. 백규선,백기복,김익택(2015b), "시나리오 실험법을 통한 이슈리더십과 리더호감 간의 향상초점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28(3), 939-959. 

  13. 백기복(2000), 이슈리더십, 창민사. 서울. 

  14. 백기복(2006), "이슈리더십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2006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9-115. 

  15. 백기복(2012), "이슈리더십: 주의자원(attention resource)의 관점, 리더십연구, 4, 67-85. 

  16. 백기복(2014), "이슈리더십의 매개변인 탐색," 리더십연구, 5, 133-153. 

  17. 백기복(2014), "이슈리더십과 리더십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창의적 역할 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무역연구, 10, 445-463. 

  18. 백기복(2016), 리더십리뷰, 창민사, 서울. 

  19. 백유성,신영숙(2007), "이슈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 성과와의 관계," 한국경영학회통합학술논문집, 1-25. 

  20. 변영실,백기복(2015),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494-508. 

  21. 변영실,최지선,백기복(2016), "인적자본투자와 OCB-s 및 동료지향 정보공유행동 관계에서 다차원 이슈리더십의 매개효과," 상업교육연구, 30(4), 155-180. 

  22. 송종영,백기복,최우재(2016), "이슈리더십이 부하의 창의적 행동과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0, 171-195. 

  23. 신성현,백기복,최지선(2015),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463-476. 

  24. 오호준,신제구(2017),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합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된 집단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9(1), 115-150. 

  25. 이상훈,조태준(2020), "역할과부하와 학습민첩성의 비선형적 관계: 변화지향 리더십의 조절효과," 역량개발학습연구, 15(3), 1-29. 

  26. 이재희,백기복(2006),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79-115. 

  27. 이창준,윤정구(2007), "정서와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모형의 검증: 카리스마적 및 감성적 리더십, 집단정서, 집단효과성," 인사조직연구, 15(3), 1-51. 

  28. 임창현,이희수(2011), "상사의 역기능 리더십 행동, 선행요인 그리고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1-22. 

  29. 전기석,최순원(2020), "군 직무특성 및 개인 학습민첩성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6), 197-210. 

  30. 최우재,신제구,백기복(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은 무엇인가?," KBR, 22(3), 175-195. 

  31. Afsar, B., Y. F. Badir, and B. B. Saeed(201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14(8), 1270-1300. 

  32. Arun, N., P. T. Coyle, and N. Hauenstein(2012). "Learning Agility: Still Searching for Clarity on a Confounded Construct".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90-294. 

  33.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ception. The Free Press, NY. 

  34. Bedford, C. L. (2011).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in Workplace Performance and Career Advanc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35. Bennett, N., and G. J. Lemoine(2014). "What a Difference a Word Makes: Understanding Threats to Performance in a VUCA World". Business Horizons, 57(3), 311-317. 

  36. Conger, J. A., and R. N. Kanungo(1987). "Toward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4), 637-647. 

  37. Connolly, J. J. (2001).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Measure of Learning Ag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38. Damanpour, F., and D. Aravind(2012). "Managerial Innovation: Conceptions, Processes, and Antecedents".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eview, 8(2), 423-454. 

  39. Deci, E. L., and R. M. Ryan(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New York. . 

  40. DeMeuse, K. P. (2017). "Learning Agility: Its Evolutio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and Its Empirical Relationship to Leader Success".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69(4), 267-295. 

  41. DeMeuse, K. P., G. Dai, and G. S. Hallenbeck(2010). "Learning Agility: A Construct Whose Time Has Come".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62(2), 119-130. 

  42. DeMeuse, K. P., G. Dai, V. V. Swisher, R. W. Eichinger, and M. M. Lombardo(2012). "Leadership Development: Exploring, Clarifying, and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Learning Agility".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80-286. 

  43. DeRue, D. S., S. J. Ashford, and C. G. Myers(2012). "Learning Agility: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5(3), 258-279. 

  44. Dries, N., and R. Pepermans(2008). "Real" High-Potential: An Empirical Study Into the Perspectives of Organizations and High Potentials". Personnel Review, 37(1), 85-108. 

  45. Drucker, P. F. (2002). "The Discipline of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0(8), 95-103. 

  46. Hayes, A. H.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NY. 

  47. Henrich, J. (2009). "The Evolution of Costly Displays, Cooperation and Religion: Credibility Enhancing Displays and Their Implications for Cultural Evolution".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30, 244-260. 

  48. House, R. J. (1971). "A Path-Goal Theory of Leadership".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6, 321-339. 

  49. Jasssen, O., E. Van de Vliert, and M. West(2004). "The Bright and Dark Sides of Individual and Group Innovation: A Special Issue Introduc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2), 129-145. 

  50. Khalil, M. D., A. Mehrangiz, A. Amin, B. Bhagyashree, C. G. Rosemary, G. Noeline, I. Ghassan, and M. Zachery(2020). "Leadership Competencies and The Essential Rol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imes of Crisis: A Response to Covid-19 Pandem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23(4), 380-394. 

  51. Knowles, M. S., E. Holton, and R. Swanson(2005). "The Adult Learner: The Definitive Classic in Adul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37(7), 366-366. 

  52. Lombardo, M. M., and R. W. Eichinger(2000). "High Potentials as High Learn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39(4), 321-329. 

  53. Mathieu, J. E. and S. R. Taylor(2007). "A Framework for Testing Meso: Mediational Relationships in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8,141-172. 

  54. McCall, M. W., M. M. Lombardo, and A. Morrisson(1988). Lessons of Experience: How Successful Executives Develop on The Job. The Free Press. 

  55. Mumford, M. D., and J. R. Van Doorn(20010. "The Leadership of Pragmatism Reconsidering Franklin in The Age of Charisma". The Leadership Quarterly, 12,279-309. 

  56. Oldham, G. R., and A. Cummings(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 607-634. 

  57. Osborne, S. P. (1998). "The Innovative Capacity of Voluntary Organizations: Managerial Challenges for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Studies, 24(1),19-40. 

  58. Piaget, J. (1971). The Theory of Stages in Cognitive Development, Measurement and Piaget. McGraw-Hill. 

  59. Podsakoff, P. M.,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79. 

  60. Schin, J., and G. E. McClomb(1998). "Top Execu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n Investigation of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Social Work Administration, 22(3), 1-21. 

  61. Scott, S. G., and R. A. Bruce(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62. Shamir, B., R. J. House, and M. B. Arthur(1993).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 Science, 4(4), 577-594. 

  63. Silzer, R., and A. H. Church(2009). "The Potential for Potential".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4), 446-452. 

  64. Smith, B. C. (2015). How Does Learning Agile Business Leadership Differ? Exploring a Revised Model of The Construct of Learning Agility in Relation to Executive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65. Swisher, V. V. (2013). "Learning Agility: the "X" factor in Identifying and Developing Future Leaders".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45(3), 139-142. 

  66. Swisher, V. V., G. S. Hallenbeck, J. E. Orr, R. W. Echinger, M. M. Lombardo, and C. C. Capretta(2013). Learning Agility: A Must-Have Resource for High Potential Development, Korn/Ferry company. 

  67. Van, de Ven A. H. (1986).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32(5), 590-607. 

  68. Voydanoff, P. (2005).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4), 822-836. 

  69. Vroom, V. H. (1964). Work and Motivation. Wiley, New York. 

  70. Zhang, X., and K. M. Bartol(2010).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3(1), 107-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