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남호·천수만의 갈수기와 강우기 수질 오염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공간 분포 특성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during dry and rainy seasons in Bunam Lake and Cheonsu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9 no.2, 2021년, pp.184 - 194  

이민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서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남호는 하굿둑 건설 이후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농업용수로 사용이 불가할 만큼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해수 교환이나 유통의 필요성이 있으나, 극히 오염된 부남호의 물을 대량 방류할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시기에 따른 환경 조사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4월)와 강우기(7월)에 천수만과 부남호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갈수기에는 부유 생물이 정체되어 부남호 내에서 남조류 Oscillatoria spp. 세포수가 8.92×107 cells L-1로 대증식하였고, Nitrate+Nitrite을 제외한 영양염 대부분이 소비되었다. 강우기에는 담수 유입의 영향으로 부남호에서 용존 영양염이 크게 증가하였고 부남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이 대증식하였다. 강우기 방류의 영향으로 천수만 내측 역시 높은 농도의 생물량을 보였다. 강우기 부남호에서 우점했던 남조류 Oscillatoria spp.와 Microcystis spp.가 천수만 내측에서도 다수 출현하였으며, 해수에서는 Cheatoceros spp., Eucampia zodiacus와 같은 규조류가 빠르게 증식하였다. 부영양화 지수는 부남호 내측에서 1을 초과하여 부영양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천수만은 강우기에 담수 방류의 영향을 받을 경우 부영양화 해역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부남호 내 방조제에 인접한 B3 정점의 8 m 이상 수심에서 정체된 해수 기원의 강한 빈산소 수괴가 관찰되었고, Nitrate+Nitrite를 제외한 영양염 농도가 극단적으로 높았다. 특히 COD 농도가 206 mg L-1로 심하게 오염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부남호는 지속적으로 육상기원의 영양염이 누적되며,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과 침강으로 수질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수역으로 판단되었고,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수유통을 통한 생태계 복원이 필수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construction of a dike in 1983, the water quality in the Bunam Lake has continued to deteriorate due to algal bloom caused by agricultural nutrient loading. Therefore, we evaluated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Bunam Lake and Cheonsu Bay, Korea...

주제어

참고문헌 (35)

  1. Canfield DE, B Thamdrup and E Kristensen. 2005. Aquatic Geomicrobiology. Elsevier Academic Press. Cambridge, MA. p. 48. 

  2. Choi KS, SW Kim, DS Kim, YT Oh, WM Heo, YK Lee and YS Park. 2008.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basic water quality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Korean J. Ecol. Environ. 41:206-215. 

  3. Choi JH, SU An, SH Kim, JH Shin, HJ Lee, JH Hyun and JS Mok. 2020. Biogeochemical properties of phosphorus during summer in the sediment of Yeongsan River, Lake and Estuary. J. Korean Soc. Mar. Environ. 23:286-296. 

  4. Dortch Q and TE Whitledge. 1992. Does nitrogen or silicon limit phytoplankton production in the Mississippi River plume and nearby regions? Cont. Shelf Res. 12:1293-1309. 

  5. Gray JS, RSS Wu and YY Or.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 Ecol. Prog. Ser. 238:249-279. 

  6. Greenwood JE, VW Truesdale and AR Rendell. 2001. Biogenic silica dissolution in seawater - in vitro chemical kinetics. Prog. Oceanogr. 48:1-23. 

  7. Hallegraeff GM, CJS Bolch, DRA Hill, I Jameson, JM LeRoi, A McMinn, S Murray, MF de Salas and K Saunders. 2010. Algae of Australia: Phytoplankton of Temperate Coastal Waters. CSIRO Publishing. Clayton, Australia. 

  8. Kamatani A and JP Riley. 1979. Rate of dissolution of diatom silica walls in seawater. Mar. Biol. 55:29-35. 

  9. Kattner G. 1999. Storage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poisoning with mercuric chloride. Mar. Chem. 67:61-66. 

  10. Kim BC, EK Kim, DJ Pyo, HD Park and WM Heo. 1995. Toxic cyanobacterial blooms in Korean lakes. J. Korean Soc. Water Environ. 11:231-237. 

  11. Kim GJ, JS Go, CG Lee, JW Kim, IC Shin, NC Baek, HJ Song and HW Noh. 2005a. Water quality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of Ganweol and Bunam lakes. J. CNIHE 15:51-74. 

  12. Kim DS, DI Lim, SK Jeon and HS Jung. 2005b.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Ocean Polar Res. 27:45-58. 

  13. Kim JG and YS Kim. 2002. Application of ecosystem model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coastal sea of Saemankeum Area-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nutrients released from sediments. Korean J. Fish Aquat. Sci. 35:348-355. 

  14. Kwon YJ, SH Park and SJ Jin. 2020.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restoration project of the Bunam Lake in Cheonsu Bay. J. Environ. Pol. Admin. 28:163-183. 

  15. Lee DK, KH Kim and JS Lee. 2016. Hypoxia and characteristics of nutrient distribution at the bottom water of Cheonsu Bay due to the discharge of eutrophicated artificial lake water. Korean Soc. Mar. Environ. Saf. 22:854-862. 

  16. Lee JY, MS Choi and Y Song. 2019.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seawater quality (Nutrients, organic materials and trace metals) in Cheonsu Bay. The Sea 24:519-534. 

  17. Lee SJ, SH Go and YI Kim.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Estuary in Chungcheongnam-do and the Plan to Restore Ecology.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Gongju, Korea. p. 147. 

  18. Lee YJ, BK Jeong, YS Shin, SH Kim and KH Shin. 2013.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an River using stable isotope ratios. Korean J. Environ. Ecol. 46:175-184. 

  19. Middleburg JJ and LA Levin. 2009. Coastal hypoxia and sediment biogeochemistry. Biogeosciences 6:1273-1293. 

  20. MLTM. 2020. Standard Methods for Examination of Marine Environmen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jong, Korea. 

  21. MOE. 2018. 2018 Groundwater Annual Report.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 684. 

  22. Moon CH, C Park and SY Lee.1993. Nutrients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Asan Bay. Korean J. Fish Aquat. Sci. 26:173-181. 

  23. Moore A and KR Reddy. 1994. Role of Eh and pH on phosphorus geochemistry in sediments of Lake Okeechobee, Florida. J. Am. Soc. Agron. 23:955-964. 

  24. Norton SA, K Coolidge, A Amirbahman, R Bouchard, J Kopacek and R Reinhardt. 2008. Speciation of Al, Fe, and P in recent sediment from three lakes in Maine, USA. Sci. Total Environ. 404:276-283. 

  25. Okaichi T. 1985. The Cause of Red-Tide in Neritic Water. Japan Fisheries Resources Conservation Association. Tokyo. pp. 58-75. 

  26. Omura T, M Iwataki, VM Borja, H Takayama and Y Fukuyo.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Tokyo. 

  27. Park JK, ES Kim, SR Cho, KT Kim and YC Park. 2003.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ies in the Shihwa Lake. Ocean Polar Res. 25:459-468. 

  28. Park SY, GS Park, HC Kim, PJ Kim, JP Kim, JH Park and SY Kim. 2006. Long-term Changes and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J. Environ. Sci. Int. 15:447-459. 

  29. Park SY, S Heo, J Yu, UK Hwang, JS Park, SM Lee and CM Kim. 2013.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he Cheonsu Bay of Yellow Sea, Korea. Korean Soc. Mar. Environ. Saf. 19:439-458. 

  30. Park YC, JK Park, MW Han, SK Son, MK Kim and SH Huh. 1997. Biogeochemical study of dissolved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under oxic/anoxic environment in Lake Shihwa. The Sea 2:53-68. 

  31.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p. 22. 

  32.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Harcourt Brace and Company. Toronto, Canada. pp. 858. 

  33. Yang JS, JY Jeong, JY Heo, SH Lee and JY Choi. 1999. Chemical mass balance of materials in the Keum River estuary: 1. Seasonal distribution of nutrients. The Sea 4:71-79. 

  34. Yoon SC, SH Youn and YS Suh. 2017. The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n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20:1-11. 

  35. Yoon SP, RH Jung, YJ Kim, SS Kim, JS Lee, JS Park, WC Lee and WJ Choi. 2007. Characteristics of benthic environment and polychaete communities of Gamak Bay, Korea. The Sea 12:287-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