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지역 원삼국시대 흑색토기의 재질 및 발색 특성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and Color Formation for Black Potterie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Ulsa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2, 2021년, pp.77 - 89  

김수경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울산의 원삼국시대 장현동과 중산동 및 교동리 유적에서 출토된 흑색토기에 대하여 태토의 재료학적 특성과 제작기술을 검토하였다. 흑색토기의 표면은 흑색이지만 속심은 흑색 또는 적황색을 보인다. 현미경 관찰 결과, 태토는 붉은색 철산화물이 풍부한 토양을 사용하였으며 주로 석영알칼리 장석 및 운모류가 동정되었고, 부분적으로 미르메카이트 조직의 입자가 관찰된다. 또한 SiO2와 Fe2O3CaO 함량에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각 유적지 주변에 분포하는 모암과 태토의 조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근거리에서 채토하여 토기를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라만분광분석 결과, 이 토기의 흑색층에는 비정질 탄소인 연매가 사용되었다. 표면층과 접하는 기질에서는 투명한 갈색의 칠이 관찰되었고 탄소가 농집된 것으로 보아, 흑색층은 연매와 옻을 칠하여 흑색발색을 유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태토의 광물조성과 미세조직으로 볼 때 이 토기의 소성온도는 750~850℃의 범위로 추정되며, 칠은 468℃에서 열분해되었다. 따라서 흑색을 이루는 연매와 칠의 혼합층은 소지의 소성 이후에 칠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aterials and color formation techniques were assessed for black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Janghyeon-dong, Jungsan-dong and Gyodong-ri site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Ulsan, Korea. Although the black potteries were black superficially, the inner cores were either bl...

주제어

참고문헌 (22)

  1. Bellot-Gurlet, L., Neff, D., Reguer, S., Monnier, J., Saheb, M. and Dillmann, P., 2009, Raman studies of corrosion layers formed on archaeological irons in various media. Journal of Nano Research, 8, 147-156. 

  2. Clark, R.J.H., Wang, Q. and Correia, A., 2007, Can the Raman spectrum of anatase in artwork and archaeology be used for dating purposes? Identification by Raman microscopy of anatase in decorative coating on Neolithic (Yangshao) pottery from Henan, Chin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1787-1793. 

  3. Hwang, C.H., 2010, The study of the provenance of gneiss stone tools of the Bronze age in the Ulsan region. The Outdoor Archeology, 9, 323-3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E., Yu, J.A. and Chung, Y.J., 2017, Study on qualitative analysis for lacquer mixed with some additives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1), 5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S.C., 2007,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lacquer wares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Ph.D. Thesis, Chunbuk National University, 26-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K., Han, M,S, Nam, S.W. and Jang, S.Y, 2017,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lack burnished pottery from Pungnaptoseong, Beakj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6), 417-4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C. and Jo, S.M., 2013, Hwacheon Woncheon-ri Relics. Report of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13-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S.K., 2020, A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king techniques for black burnished pottery from Hanseong period of Baekje in ancient Korea. Ph.D.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114-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aciak, D., Borowski, M.P., Lydzba-Kopczynska, B., Baron, J. and Furmanek, M., 2019, Archaeometric characterization and origin of black coatings on prehistoric pottery. Geochemistry, 79(3), 453-466. 

  10. Lee, K.H. and Han, G.S., 2017, Study on applying techniques of wooden lacquerware artifacts excavated from Imdang-dong site, Gyeong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2), 6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Y.H., 2010, A study of the techniques of the ancient Korean lacquer wares. Master's Thesi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ucas, H.B., Silva, H.J.A., Tasayco, C.M.S., Munayco, P. and Faria, J.L.B., 2018, Archaeological pottery from Nasca culture studied by Raman and Mossbauer spectroscopy combined with X-ray diffraction. Vibrational Spectroscopy, 97, 140-145. 

  13. Nam, S.W., 2013, As production technology, The meaning of the black burnished pottery in Baekje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89, 94-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Nam, S.W. and Kim, S.K., 2014, Research on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black burnished pottery in Baekje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mental archaeology. The Baekje Hakbo, 12, 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hin, K.S. and Oh, M.M., 2010, The 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age polished pottery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Journal of the Korean Field Archaeology, 8, 35-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urnam, B.Y.R., Chui, C.H., Xiao, H. and Liang, H., 2016, Investigating atmospheric corrosion behavior of carbon steel in coastal regions of Mauritius using Ranman Spectroscopy. Revista Materia, 21(1), 157-168. 

  17. The Ulsan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1,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ancient tombs site at Jungsan-dong, Ulsan.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87, 1-468. (in Korean) 

  18. The Ulsan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3a,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Gyodong-ri II archeological site, Ulsan.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106, 1-558. (in Korean) 

  19. The Ulsan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3b, The excavation report of Janghyeon-dong I archeological site, Ulsan.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111, 1-218. (in Korean) 

  20. The Ulsan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3c, The excavation report of Janghyeon-dong IV archeological site, Ulsan. Research Report of Antiquities, 111, 1-489. (in Korean) 

  21. Yee, D.I., 2003, Live Korean History. Humanist, 80-83. (in Korean) 

  22. Yoon, D.J., 2017, Developments of the black burnished pottery in early Iron age.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120-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