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안-아산지역 원삼국시대 토기의 제작특성과 원료산지 해석: 밖지므레 유적을 중심으로
Clay Source Interpretation and Making Characteristic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Potteries from Cheonan and Asan in Korea: Focusing on the Bakjimeure Sit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9 no.2, 2013년, pp.171 - 185  

김란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정제원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의 기형별 제작특성과 원료산지 해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토기편은 심발형토기, 원통형토기, 오리형토기 및 원저단경호편으로 이 중 원저단경호가 우점한다. 이는 인근의 용두리 진터 유적, 갈매리 유적과 백석동 유적에서도 확인되며, 태토의 색상, 흡수율 및 분급에서 상당히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4.57~25.19%의 흡수율 범위와 $850{\sim}1,150^{\circ}C$의 넓은 소성온도 범위를 가져 쓰임이 다양하게 이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원통형 및 오리형토기와 심발형토기는 재료과학적으로 동질성이 높고 $850{\sim}950^{\circ}C$의 소성온도 범위를 보인다. 그러나 심발형토기는 다른 기형에 비해 조립질의 석영 및 장석류가 다량 포함되어 기능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아산 밖지므레 유적 남단부의 3지점에서 수습한 토양시료는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동일 유적 토기 뿐만 아니라 다른 유적에서 수습한 대부분의 토기들과 가장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terpret making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s for Proto-Three Kingdoms period potteries which were excavated from Bakjimeure site in Tangjeong, Asan, Korea, on the basis of shape types. The pottery samples of the studied included deep bowl pottery, cylinder sh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을 중심으로 동일 시대 유구가 확인된 인근의 아산 용두리 진터 유적 외 2개 유적에서 출토된 원저단경호편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유적 토기의 제작기법 및 소성환경을 해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아산 밖지므레 유적 외 3개 유적에서 수습한 토기 및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재료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원료 산지와 제작기법을 규명하였다. 우선 토기를 대상으로 가비중과 흡수율을 측정(KSL 4008)하였으며, 각 유적 및 기형별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은 어떤 과정에서 확인되었는가?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은 아산시 탕정 LCD단지 조성부지(2구역) 중 Ⅱ지역에 대한 시굴 및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조성된 주거지 및 분묘유구가 주로 발견되었으며, 각 지점에서 약 350기 이상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에서 주로 발견된 것은?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은 아산시 탕정 LCD단지 조성부지(2구역) 중 Ⅱ지역에 대한 시굴 및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조성된 주거지 및 분묘유구가 주로 발견되었으며, 각 지점에서 약 350기 이상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특히 다량의 원삼국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동일시대 유물이 출토된 충청지역의 보령 관창리 및 천안 청당동 등과 비교해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cheong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2006; 2007a;2007b).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에서 지점별 각 몇 기의 유구가 발견되었는가? 아산 탕정 밖지므레 유적은 아산시 탕정 LCD단지 조성부지(2구역) 중 Ⅱ지역에 대한 시굴 및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조성된 주거지 및 분묘유구가 주로 발견되었으며, 각 지점에서 약 350기 이상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특히 다량의 원삼국시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동일시대 유물이 출토된 충청지역의 보령 관창리 및 천안 청당동 등과 비교해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cheong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2006; 2007a;2007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 Y.G. and Jo, S.K., 1995,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of Songjeoldong site in Cheongju, Korea; 1993.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Cheongju, 1-178. (in Korean) 

  2. Choi, S.A., 2002,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evolution of the Pungnabtoseong pottery, early Baekje.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cheo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8, Archaeological excavated report of archaeological site area 1-2 in the 2nd general and regional industrial compex Ga district, Tangjeong, Asan, Korea; Asan Yongduri Jinter site. Chungcheo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Gongju, 1-28. (in Korean) 

  4.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2006, Archaeological excavated report of archaeological site area 2-1 in LCD industrial compex 2nd district, Tangjeong, Asan, Korea.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Gongju, 1-29. (in Korean) 

  5.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2007a, Archaeological excavated report of archaeological site area 2-2 in LCD industrial compex 2nd district, Tangjeong, Asan, Korea.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Gongju, 1-17. (in Korean) 

  6.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2007b, The 5th presentation source book for Archaeological excavation of archaeological site area 3 in LCD industrial compex 2nd district, Tangjeong, Asan, Korea. Chungnam Institute of History and Culture, Gongju, 1-29. (in Korean) 

  7. Han, L.H., 2007, Archaeometric interpret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ottery from the Hyangnam relic site in Hwaseong, Korea.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1-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M.R., 1995, Study of the Three Kingdoms potteries; through the making experiment and analysis of potteries. Journal of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2, 11-68. (in Korean) 

  9. Kim, R.H., Lee, S.M., Jang, S.Y. and Lee, C.H., 2009,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the Nongseori site in Giheu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255-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Y., 1994, A study on the Iron age potteries in Korean Peninsula. Ph. D.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S., 1988, A classification of the paste of the Proto-Three Period pottries based on chemical analyses. Yongnam Archaeological Review Yongnam KOGOHAK, 5, 19-41. (in Korean) 

  12. Lee, S., 2008,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raftspecialization in Ceramic Product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68, 88-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S.J., Kim, R.H., Gwon, M.H. and Lee, C.H., OSL age dating and archaeometric analysis of the large jar of the Hanseong period of the Baekje from Cheonggyeri relic sites in Hwaseong, Korea. The 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of Cultural Heritage, 30, 169-170. (in Korean) 

  14.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1007-1032. 

  15. Pearce, J.A., 1983,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 continental margines. In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Eds. Hawkesworth C.J. and Norry M.J.), Shiva, 230-349. 

  16. Seo, O.S., 1990, The toms and potteries of Three Kingdoms poeriod in Cheonan, Korea; Charateristics of Cheongdangdong sit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17, 601-606. (in Korean) 

  17. Shin, B.W., Nam, K.S. and Lee, J.D., 1979,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the Cheonan shee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