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7세기 대례용 용잠의 제작기법 조사와 보존처리 - 국가민속문화재 제4호 외재 이단하 내외옷 용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Yongjam, Ceremonial Hairpin with a Dragon-shaped Engraving in 17th Century - Focusing on Yongjam of the Clothes Worn by Oejae Yi Dan-ha and His wife,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4 -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3, 2021년, pp.270 - 281  

유동완 (하이문화재케어) ,  안보연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량미 (서울공예박물관) ,  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영환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유하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민속문화재 제4호로 지정된 외재 이단하 정경부인의 용잠은 대례복 일습을 구성하는 머리 장신구로, 착용자의 신분과 유물의 시기가 명확하다는 점에서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용잠은 대체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지만 문양부분에 다양한 이물질 및 부식물이 고착되어 있어 보존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비파괴 분석을 실시하여 용잠의 제작기법과 소재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잠은 머리에 꽂았을 때 무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으며, 금색과 적색, 흑색의 색상이 대비되도록 만들어졌다. 용잠은 머리 부분과 비녀의 몸체를 따로 제작하였으며, 몸체는 구리, 은, 아연의 합금으로 접합부분은 겹쳐지는 부분이 없이 정교하게 연결하였다. 머리 부분은 용의 얼굴이나 수염, 뿔, 몸, 갈퀴에서 합금 비율에 차이가 있으며, 섬세한 문양이 표현된 용의 얼굴 부분은 은과 구리의 합금으로 용의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ongjam of Oejae, Yi Dan-ha's wife, is an ornamental hairpin with a dragon-shaped engraving;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4. It is also a component of the ceremonial costume, and an artifact of great value as it clearly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wearer and the perio...

주제어

참고문헌 (10)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 A view of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 dress & embroidery, Daejeon, 124-129.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s) 

  2. Dankook University Seokjuseon Memorial Museum, 2004, Report on the garments belonging to Yi Danha and his wife, 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4, Seoul, 1-15. (in Korean) 

  3. Hyun, Y.K., 2010, A study on the making technique of hair ornaments Youngchin Queen's in ChinYoung 1922, Journal of Science of Art & Design, 13(4), 43-62, Korean Society for Science Art & Design.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s) 

  4. Ku, J.H., 2008, A study on the women's silver ornament of Joseon Period through non-destructive analysis-Focusing on Material and welding technique, Yongin University, Yongin. 

  5. Lee, C.H., Jo, Y.H. and Jun, B.K., 2015, Interpretation of manufacturing ag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n the upper part gilt bronze pagoda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Paekche-Moonhwa, 1(52), 60-61. 

  6. Lee, H.J., 2012, A study on the reproduction traditional Odong technique, Yongin University, Yongin, 1-3.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s) 

  7. National Museums Search Portal [eMuseum], Yongjam [dragon hairpin]. http://www.emuseum.go.kr/headerSearch?category&rows20&pageNum1&radioSearchCheckunifiedSearch&headerSearch&keyword%EC%9A%A9%EC%9E%A0&keywordHistory%EC%9A%A9%EC%9E%A0 (February 8, 2021) 

  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4, Conservation report on the costumes of the Important Folklore Material from 1992 to 1994. (in Korean) 

  9. Oh, S.H., 2008, A study on women's Binyeo (hairpin) in Joseon Period,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71.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s) 

  10. Wikipedia, Yidanha. https://ko.wikipedia.org/wiki/%EC%99%B8%EC%9E%AC_%EC%9D%B4%EB%8B%A8%ED%95%98_%EC%84%A0%EC%83%9D_%EB%AC%98 (February 28,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