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용형 시야 가리개가 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Blindfold in Improving Concentra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4 no.1, 2021년, pp.37 - 44  

정순철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과학기술대학 ICT융합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최미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과학기술대학 ICT융합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  김형식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과학기술대학 ICT융합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시야의 좌측과 우측만 가리는 시야 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 시야 가림에 따른 집중력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시야 가리개는 가로와 세로 5 cm × 4.8 cm 의 사다리꼴 모양으로 안경의 좌측과 우측에 고정 클립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재질은 검정색의 폴리프로필렌(Polyprolylene)소재를 이용하였으며 클립을 포함하여 무게는 2.3 gram이었다. 건강한 20대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15일간 시야 가리개를 사용하도록 한 후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평가는 집중력 향상과 시야 가리개의 구조에 대한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정량평가를 위하여 주의력 집중이 필요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전두엽(frontal lobe) 영역인 F4 위치에 대한 Mid β 밴드(15~20Hz) 신호의 파워(power)와 ERD/S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0명 중 80%인 40명이 시야 가리개를 착용하였을 때 집중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정량평가 결과 시야 가리개를 착용하고 동영상을 시청하였을 때 ERS peak(p=.023)와 ERD+ERS peak 값이 유의(p=.017)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시야 가리개만을 사용하여도 집중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야를 모두 가리는 덮개 형태 또는 시야의 상측과 하측을 가리지 않더라도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간편한 방법으로 집중이 필요한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improving concentration by obscuring the peripheral vision using a blindfold that only cover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eld of view. The blindfold was trapezoidal in shape (5 × 4.8 cm in length and width) and wa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주제어

참고문헌 (20)

  1. Choi, K. S., Cho, W. H., Hong, J. S., Lee S., & Kang M. (2000).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questionnaire according to item arrangement.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7(2), 180-188. 

  2. Choi, Y. J. (2003). How to fill out a questionnaire. Retrieved March 23, 2021, from http://www.snudhpm.ac.kr/pds/files/%BC%B3%B9%AE%C1%F6%C0%DB%BC%BA%B9%FD(%C3%D6%BF%EB%C1%D8).pdf 

  3. Dujardin, K., Derambure, P., Defebvre, L., Bourriez, J. L., Jacquesson, J. M., & Guieu, J. D. (1993). Evaluation of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ERD) during a recognition task: Effect of attenti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86, 353-356. DOI: 10.1016/0013-4694(93)90049-2 

  4. Gola, M., Magnuski, M., Szumska, I., & Wrobel. (2013). EEG beta band activity is related to attention and attentional deficits in the visual performance of elderly su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89(3), 334-341. DOI: 10.1016/j.ijpsycho.2013.05.007 

  5. Goncalves, O. F., Rego, G., Conde, T., Leite, J., Carvalho, S., Lapenta, O. M., & Boggio, P. S. (2018). Mind wandering and task-focused attention: ERP correlates. Scientific Reports, 8(1), 7608, 1-14. DOI: 10.1038/s41598-018-26028-w 

  6. Hwang, M. C., & Choi, Chul. (2004). A study on consistency between the repetition degree of movement and ERD/ERS of EEG for the computer interface.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3(4), 57-66. DOI: 10.5143/JESK.2004.23.4.057 

  7. Jang, J. K., & Kim, H. S. (2011). EEG analysis of learning attitude change of female college student on e-lear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4), 42-50. DOI: 10.5392/JKCA.2011.11.4.042 

  8. Jang, Y. S., & Han, J. W. (2014). Analysis of EEG generated from concentration by visual stimulus task.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9(5), 589-594. DOI: 10.13067/JKIECS.201.9.5.589 

  9. Kim B. S. (2013).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lor of the learn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4(2), 681-687. DOI: 10.5762/KAIS.2013.14.2.681 

  10. Kim, Y. Y., Kim, E. N., Jung, C. Y., Go, H. D., & Kim H. T. (2002). The efficacy of biofeedback in reducing cybersickness in virtual navigation.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5(2), 29-34. 

  11. Lee, S. Y. (2006). Partition furniture's role and research about application for maximization of company business work environmen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7(4), 495-508. 

  12. Lee, K. H. (2009). Evaluation of attention and relaxation levels of archers in shooting process using brain wave signal analysis algorithms.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12(3), 341-350. 

  13. Lee, Y. H., Oh, S. Y., Song, H. M., Kim, D. B., Heo, C. E., Lee, D. I., Son, Y. J., & Lee, K. S. (2017). An Analysis of the light conditon improvement in education facility (교육공간에서의 실내 빛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In Proceeding of 2017 Autumn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24-1128. 

  14. Luck, S. J., Woodman, G. F., & Vogel, E. K. (2000). Event-related potential studies of atten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4(11), 432-440. DOI: 10.1016/S1364-6613(00)01545-X 

  15. Michie, P. T., Karayanididis, F., Smith, G. L., Barrett, N. A., Large, M. M., O'Sullivan, B. T., & Kavanagh, D. J. (1999). An exploration of varieties of visual attention: ERP findings. Cognitive Brain Research, 7(4), 419-450. DOI: 10.1016/S0926-6410(98)00047-0 

  16. Oh, H. S. (2018). Effect of audio-visual concentration training time to the brain area activity and task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6(3), 675-692. 

  17. O'Toole, L., & Dennis, T. A. (2012). Attention training and the threat bias: An ERP study. Brain and Cognition, 78(1), 67-73. DOI: 10.1016/j.bandc.2011.10.007 

  18. Park, W. S., & Lee, S. H. (2000). Comparison between New threshold visual field strategy, SITA-standard and full threshold strategy and their clinical usefulness.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y Society, 41(5), 155-162. 

  19. Shin, J. H., & Park, S. H.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umphrey static perimetry and the goldmann kinetic perimetry: Application of the humphrey static perimetry to visual disability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y Society, 54(12), 1907-1917. DOI: 10.3341/jkos.2013.54.12.1907 

  20. Son, S. W., Kim, K. H., & Chung, D. S. (2015). A study on dental equipment color improvement by brain wave analysis.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9(1), 31-4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