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스파라거스를 이용한 전통장류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 Traditional Fermented Sauces Made with Asparagus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9 no.1, 2021년, pp.95 - 100  

김예은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  지근호 (부경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전통장류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아스파라거스의 항산화능은 농도와 무관하게 나타났으며 7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메주의 경우 유기용매 분획별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분획 중 물층과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측정 결과 물층의 경우 tannic acid 1.437 mg/g,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tannic acid 0.77 mg/g과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물층의 경우 각각 27.6%, 9.04%의 활성을 보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각각 10.7%, 52.4%의 활성을 보였다. 아스파라거스 함유 전통장류의 항산화 활성은 9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장류는 간장이며, 간장은 가장 넓은 범위의 농도에서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스파라거스가 함유된 전통 장류의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진행될 연구를 통해 전통장류의 우수성이 증대되고, 새로운 장류의 개발에 기여하여 전통장류의 세계화 및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paragus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Since the high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sauces was discovere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sing asparagus.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raditional sauces containing asparagus was confirmed.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6)

  1. Lee SG, Oh SC, Jang JS. 2015.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unshiu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Korean J. Food Nutr. 28: 458-464. 

  2. Mok JY, Kang HJ, Cho JK, Jeon IH, Kim HS, Park JM, et al. 2011.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Korean J. Herbol. 26: 39-47. 

  3. Lee JW, Heo BG, Bae JH, Ku YG. 2015. Comparison of plant growth, dormancy breaking, yiel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in four asparagus cultivars. Korean J. Horticul. Sci. Technol. 33: 796-804. 

  4. Han J, Kim HJ, Lee SS, Lee IS. 1999. Inhibitive effects of Meju extracts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fungi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Meju on the human leukemia cell line. Korean J. Mycol. 27: 312-317. 

  5. Jeong JK, Zheng Y, Choi HS, Han GJ, Park KY. 2010. Ca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Nutr. 39: 1854-1859. 

  6. Kang HJ, Nam DH, Kim JS. 2010. Effects of alternatively prepared Meju methanolic extracts on dietary lipid digestion. Korean J. Food Nutr. 15: 249-254. 

  7. Kim JD, Lee YI, Kim BR, Choi YS, Lee SY. 1997. Effects of Meju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Korean J. Food Nutr. 26: 314-318. 

  8. Zhang Q, Zhang J, Shen J, Silva A, Dennis DA, Barrow CJ.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 445-50. 

  9.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11.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ul. Food Chem. 50: 4959-4964. 

  12. Wang M, Li J, Rangarajan M, Shao Y, LaVoie EJ, Huang TC, et al.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13. Lee EJ, Kwon OJ, Im MH, Choi UK, Son KH, Lee SI, et al. 2002. Chemical changes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51-756. 

  14. Son JY, Kim TO. 2011.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t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567-575. 

  15. Choi JS, Han SD, Jang TW, Lee SH, Park JH. 2019.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rts of Rhus javanica L. J. Appl. Biol. Chem. 62: 195-202. 

  16. Kwak CS, Choi HI. 2015.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sequential fractions of flowers of Prunus persica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439-1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