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간장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9, 2015년, pp.1399 - 1406  

이상기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성빈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유성률 (세명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지역에서 생산한 한국 전통 간장의 이화학적 분석, 색도 및 갈색도,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총 폴리페놀의 함량, protease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H는 4.34~5.37, 염도는 16.77~34.71%, 환원당은 3.00~32.04 mg/mL, 총 고형분 함량은 19.95~36.86%,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23.10~41.70oBrix의 범위를 보였다. 총 질소 함량은 무주(JMJ) 간장이 12.60%로 가장 높았고, 평창(GPC) 간장이 2.23%로 가장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는 JMJ 간장에서 139.30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28.23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Protease 활성은 JMJ 간장에서 2.20 U/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GPC 간장에서 0.35 U/mL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JMJ 간장에서 11.20 GAE mg/mL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고, GPC 간장에서 2.37 GAE mg/mL로 가장 적게 포함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JMJ 간장에서 63.39%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8.96%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FRAP는 JMJ 간장에서 2.41 AE 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0.12 AE mg/mL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ORAC는 JMJ 간장에서 115.69 TE mg/mL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8.42 TE mg/mL로 가장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실험항목 간 상관관계를 본 결과 protease 활성이 총 폴리페놀 함량과 0.995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0.973으로 상관성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its relationship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Seventeen samples of soy sauce prepared by using a Korean traditional method were obtained from six provinces of Korea. The most powerful antio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의 전통 간장을 수거 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전통 발효 식품 업계 및 소비자 등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장은 무엇인가? 간장은 콩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료 중 하나이다(1). 한국 전통 간장은 삶은 콩을 찧어서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4~5개월 동안 자연 발효하여 만든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대략 2~3개월 침지시킨 후 그 여액을 옹기에 옮겨 발효, 숙성시키는 식품이다(2,3).
한국 전통 간장은 어떻게 만드는 식품인가? 간장은 콩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료 중 하나이다(1). 한국 전통 간장은 삶은 콩을 찧어서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4~5개월 동안 자연 발효하여 만든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대략 2~3개월 침지시킨 후 그 여액을 옹기에 옮겨 발효, 숙성시키는 식품이다(2,3). 간장은 숙성 되는 동안 콩에 있는 단백질, 전분질, 지방 등이 미생물에 의해 아미노산, 유리당, 유기산 등으로 분해되어 짠맛 외에 구수한맛, 단맛, 신맛 등이 서로 어울러져 독특한 맛과 향을 내는 검붉은 액체가 된다(4).
우리나라 고유의 조미료 중 하나인 간장의 색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간장은 숙성 되는 동안 콩에 있는 단백질, 전분질, 지방 등이 미생물에 의해 아미노산, 유리당, 유기산 등으로 분해되어 짠맛 외에 구수한맛, 단맛, 신맛 등이 서로 어울러져 독특한 맛과 향을 내는 검붉은 액체가 된다(4). 간장의 색은 Maillard 반응에 의한 변화로 메주 숙성 중 형성된 melanoidin이 간장에서 오랜 숙성 중 용출되거나 간장의 저분자 단백질, amino acid 등이 carbonyl 화합물과 반응하여 형성된다(5). Choi 등(1)은 대기업 시판 간장과 소규모 농가 생산 간장을 분석한 결과 간장의 환원당과 아미노태 질소 함량 및 산도는 관능적 특성 중 액젓 향미, 감칠맛에 영향을 미치고, 염도는 전체적인 향미 강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hoi NS, Chung SJ, Choi JY, Kim HW, Cho JJ. 201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f mass produced vs. small scale farm produced in the Gyeonggi area. Korean J Food & Nutr 26: 553-564. 

  2. Kang S, Lee S, Ko JM, Hwang I. 2011. Comparison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with varying soybean seeding periods and regions of production. Korean J Food & Nutr 24: 761-769. 

  3.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8.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wangil Pub, Seoul, Korea. p 27-29. 

  4. Kim HS, Lim JM, Kwon HJ, Yoo JY, Park PS, Choi YH, Choi JH, Park S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t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containing Astragalus memvranace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Preserv 20: 467-474. 

  5. Kim DH. 1995. Food chemistry, Maillard reaction. Tamgudang, Seoul, Korea. p 403-416. 

  6. Park KY, Moon SH, Baik HS, Cheigh HS. 1990.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 paste) toward aflatoxin. J Korean Soc Food Nutr 19: 156-162. 

  7. Kwon HJ, Kim HS, Choi YH, Choi JH, Choi HS, Song J, Park SY.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maturation period of the soy sauce with Gastrodia elata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Preserv 21: 231-238. 

  8. Shin YJ, Lee CK, Kim HJ, Kim HS, Seo HG, Lee SC. 2014.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ow-salt soy sauce with anti-hypertensive activity by addition of miduduk tunic, mulberry, and onion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854-858. 

  9. Kang JH. 1999.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soy protein hydrolysate.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3): 66-72. 

  10. Lee NK, Ryu YJ, Yeo IC, Kwon KO, Suh EM, Hahm YT.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fermented royal court soy sauce, Gungjung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9-155. 

  11.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 353-358. 

  12. Chae SH. 2000. Color characteristics and antioxidizing 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from different condition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3. Shin JH, Kang MJ, Yang SM, Lee SJ, Ryu JH, Kim RJ, Sung MJ. 2010.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and garlic added kanjang.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 39-48. 

  14.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H. 2006. Analysis of standard food. 3rd ed.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99-300,460-463. 

  1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6. AOAC. 2005. Official methods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70.59. 

  17. Moon GS, Cheigh HS. 1990. S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61-465. 

  18. Park SK, Han CG, Kyung KH, Yoo YJ. 1990. Effect of oxygen on the browning of soy sau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307-311. 

  19. NREL. Standard Procedures for Biomass Compositional Analysis. http://www.nrel.gov/biomass/analytical_procedures.html (accessed Jul 2013). 

  20. Yoon KH, Shin HY. 2010. Medium optimization for the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Cheongkookjang.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385-390. 

  21.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Woo KS.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17-324. 

  22. Ahn JB, Park JA, Jo HJ, Woo IH, Lee SH, Jang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Korean J Food & Nutr 25: 142-148. 

  23.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Byrne DH.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 J Food Comp Anal 19: 669-675. 

  24.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25. Jeong JK, Zheng Y, Choi HS, Han GJ, Park KY. 2010. Ca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54-1859. 

  26. Jeon MS, Sohn KH, Chae SH, Park HK, Jeon HJ. 2002.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prepared under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38. 

  27. Park OJ. 1995. Studies on the nitrogen and flavor components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by two difference fermentation jars. MS Thesis. Younsei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YA, Kim H, Chung MJ. 1996. Physicochemic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Soc Food Sci 12: 273-279. 

  2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3.jsp?idx54 (accessed Feb 2015). 

  30. Kim ND. 2007. Trend of research papers on the soy sauce tastes in Japa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2(1): 40-50. 

  31. You MJ. 2008.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ukjang with different condition of bean roasting.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2. Kim BS, Lee CH, Hong YA, Kwon TH, Shin MK, Kim JH, Woo CJ, Kim YB, Park HD. 2008. Changes of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 during fermentation in the using Bacillus sp. SP-KSW3. Korean J Food Preserv 15: 293-299. 

  33. Ki WK, Kim JK, Kang DH, Cho YU. 1987. Development of excellent mutants for manufactur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5: 21-28. 

  34. Kim JK, Kim SD. 1988. Genetic breading of Korean soy sauce-fermenting Bacillus by UV mu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1: 346-350. 

  35. Lee SY, Baik SH, Ahn YJ, Song J, Kim JH, Choi H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orean types of fermented soybean sauces in Chin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96-800. 

  36. Kim HE, Han SY, Jung JB, Ko JM, Kim Y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61-368. 

  37.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38.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2003.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FL))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1: 3273-3279. 

  39. Hwang JH, Park KY, Oh YS, Lim SB. 2013.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itrus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53-160. 

  40. Kwon OJ, Kim MA, Kim T, Kim DG, Son DH, Choi UK, Lee SH.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with salts obtained from deep ocean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7: 820-825. 

  41. Lee YJ, Kim DB, Cho JH, Baik SO, Lee OH. 201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ioresource juices from J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93-298. 

  42. Pratt DE, Di Pietro C, Porter WL, Giffee JW. 1981. Phenolic antioxidants of soy protein hydrolyzates. J Food Sci 47:24-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