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별망둑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조직학적 특성 및 동소 망둑어과 출현종들과의 비교연구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Pisces, Gobiidae), Compared to Sympatric Intertidal Gobi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3 no.1, 2021년, pp.1 - 7  

김현태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전북대학교 부설 생물다양성연구소) ,  박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전북대학교 부설 생물다양성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의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동소종(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들과 비교하였다. 별망둑은 튜브형 전비공, 표면과 평행하는 후비공, 세로배열의 한 개 후판, 두 개 비낭, 후상피 하부에 풍부한 림프구, 호산구, 후감각뉴런에서 후돌기 직경의 1/4의 섬모 길이의 일반적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특징들 중 1) 0.5~1.0 mm의 전비공 직경, 0.2~0.5 mm의 후비공 직경(vs. 미끈망둑의 0.2~0.3 mm, 0.2~0.3 mm; 날개망둑의 0.2~0.4 mm, 0.1~0.3 mm의 전비공과 후비공 직경), 2) 감각상피에서의 상대적으로 풍부한 림프구, 3) 비감각섬모의 부재(vs. 미끈망둑에서 높은 분포; 날개망둑에서 낮은 분포), 4) 후감각뉴런의 후돌기 대비 1/4의 섬모 길이(vs. 미끈망둑의 1/4에서 1 : 1 비율 혼재; 날개망둑의 2~3배)는 두 동소종들과 비교되는 특이적인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별망둑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특징들은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서 다른 동소종들 보다 더 적극적인 면역반응과 활동적인 움직임에 적응된 결과로 간주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stereo,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we researched the 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ructure of Chaenogobius gulosus's olfactory organ and compared it to those of sympatric gobies Luciogobius guttatus and Favonigobius gymnauchen.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

주제어

참고문헌 (24)

  1. Baeck, G.W., C.I. Park, J.M. Jeong, M.C. Kim, S.H. Huh and J.M. Park. 2010.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g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2: 41-48. 

  2. Barbar, V.C. and A. Boyde. 1968.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cilia. Z. Zellforsch, 84: 269-284. 

  3. Chernova, N.V. 2008. Systematics and phylogeny of fish of the genus Liparis (Liparidae, Scorpaeniformes). J. Ichthyol., 48: 831852. 

  4. Cox, J.P. 2008. Hydrodynamic aspects of fish olfaction. J. R. Soc. Interface, 5: 575-593. https://doi.org/10.1098/rsif.2007.1281. 

  5. Doving, K.B., M. Dubois-Dauphin, A. Holley and F. Jourdan. 1977.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of fish and the ciliary mechanism of water transport. Acta Zool., 58: 245-255. https://doi.org/10.1111/j.1463-6395.1977.tb00260.x. 

  6. Hansen, A. and B.S. Zielinski. 2005. Diversity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bony fishes: development, lamellar arrangement, sensory neuron cell types and transduction components. J. Neurocytol., 34: 183-208. 

  7. Hansen, A. and Z. Eckart. 1998.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 of the zebrafish, Danio rerio: an ultrastructural study. Chem. Senses, 23: 39-48. 

  8. Hara, T.J. 1986. Role of olfaction in fish behaviour. In: Pitcher, T.J. (ed.), The behaviour of teleost fishes. Croom Helm, London, U.K., pp. 152-176. 

  9. Hirase, S. and M. Ikeda. 2014. Divergence of mitochondrial DNA lineage of the rocky intertidal goby Chaenogobius gulosus around the Japanese Archipelago: reference to multiple Pleistocene isolation events in the Sea of Japan. Mar. Biol., 161: 565-574. https://doi.org/10.1007/s00227-013-2359-5. 

  10. Horn, M.H., K.L. Martin and M.A. Chotkowski. 1999. Intertidal Fishes: Life in Two World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399pp. 

  11. Kasumyan, A.O. 2004. The olfactory system in fish: structure, function, and role in behavior. J. Ichthyol., 44: 180-223. 

  12. Kim, H.T. 2018. A comparativ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of 17 fishes in South Korea. Doctoral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75pp. 

  13. Kim, H.T., H.S. Kim and J.Y. Park. 2016. Th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sand goby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 Gobiidae). Korean J. Ichthyol., 28: 2834. 

  14. Kim, H.T. and J.Y. Park. 2016. The anatomy and histoarchitecture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flat-headed goby Luciogobius guttatus (Pisces; Gobiidae). Appl. Microsc., 46: 51-57. https://doi.org/10.9729/AM.2016.46.1.51. 

  15. Kim, H.T. and J.Y. Park. 2020. Microscopic research on the olfactory organ of the Far Eastern brook lamprey Lethenteron reissneri (Pisces, Petromyzontidae). Appl. Microsc., 50: 1-7. 

  16. Kim, H.T., S.W. Yun and J.Y. Park. 2019. Anatomy, histology, and histochemis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the Korean shuttles mudskipper Periophthalmus modestus. J. Morphol., 280: 14851491. https://doi.org/10.1002/jmor.21044. 

  17. Kim, H.T., Y.J. Lee, J.S. Park and J.Y. Park. 2014.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eripheral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mudskipper, Scartelaos gigas (Pisces, Gobiidae). Korean J. Ichthyol., 26: 281-287. 

  18.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615pp. 

  19. Kim, S.Y., C.B. Park, J.W. Kang, Y.C. Choi, S. Rho, H.J. Bawk, H.B. Kim and Y.D. Lee. 2004.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gluttonous goby Chasmichthys gulosus (Guichenot). Korean J. Ichthyol., 16: 261-270. 

  20. Menco, B. 1992. Ultrastructural studies on membrane, cytoskeletal, mucous, and protective compartments in olfaction. Microsc. Res. Tech., 22: 215-224. https://doi.org/10.1002/jemt.1070220303. 

  21. Masselink, G. and R. Gehrels. 2014. Coastal environments and global change. John Wiley and Sons, Chichester, U.K., 438pp. 

  22. Oh, J., T.W. Kim and S. Kim. 2016.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Chaenogobius gulosus (Gobiidae, Perciformes) from the South Sea, Korea. Mitochondrial DNA A. DNA Mapp. Seq. Anal., 27: 4207-4208. https://doi.org/10.3109/19401736.2015.1022742. 

  23. Press, C.M. and O. Evensen. 1999. The morphology of the immune system in teleost fishes. Fish Shellfish Immunol., 9: 309-318. 

  24. Thornhill, R.A. 1967. The ultrastructur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the lamprey Lampetra fluviatilis. J. Cell Sci., 2: 591-6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