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mart Media Addiction Caus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619 - 628  

원소희 (삼육중독심리재활연구소) ,  최유리 (삼육대학교 대학원 통합예술학과) ,  서경현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을 스마트 미디어 중독이 매개하는 모형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1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조절된 매개효과PROCESS Macro 3.5 모델 7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소외감과 BAS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이나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도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소외감과 BAS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소외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BAS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소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몰입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런 영향은 BAS 수준이 높을수록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and examined the mediating model of smart media addiction moderat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Participants were 36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있으며 스마트폰을 1개월 이상 소유하고 있는 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7로 계획한분석들을 기초로 최소 표본 수를 산출하였는데 300명 정도의 표본이 필요하여 불성실한 응답할 참여자들까지 감안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참여 동의한 학생들은 420명이었으나 41명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사용한 지 1개월이 되지 않아 연구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11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제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박세준, 2020.10.29. "2020 중독 치유 해법 포럼...코로나로 스마트폰 중독 늘었다," 신동아.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225943/1 

  2. 조일주,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185-204, 2009. 

  3. 이은주, 마예원, "여고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면시간 및 우울간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4호, pp.533-542, 2018. 

  4. 김명만, 조준오,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36권, 제1호, pp.57-78, 2016. 

  5. C. Bachleda and L. Darhiri, "Internet addiction and mental and physical fatigue," The International Technology Management Review, Vol.7, No.1, pp.25-33, 2018. 

  6. R. Cerruti, V. Spensieri, F. Presaghi, C. Valastro, A. Fontana, and V. Guidetti, "An exploratory study on Internet addiction, somatic symptom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functioning in school-aged adolescents," Journal of Treatment Evaluation, Vol.14, No.6, pp.374-383, 2017. 

  7. S. Boschert, "Teen smartphone addiction correlates with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iatry News. https://www.mdedge.com/psychiatry/article/59016/pediatrics/teen-smartphone-addiction-correlates-psychopathology 

  8. 박혜정, 최은숙,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8권, 제3호, pp.280-290, 2017. 

  9. M. Z. Yao and Z. Zhong, "Loneliness, social contacts and Internet addiction: A cross-lagged panel stud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0, pp.164-170, 2014. 

  10. 박봉선, "청소년의 또래 소외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제62호, pp.1-27, 2018. 

  11. 이만제, 장해순, "대인불안, 외로움, 소외감이 대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1호, pp.71-96, 2009. 

  12. 이혁준, 임진섭,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482-496, 2019. 

  13. S. E. Akbay, "Smartphone addiction, fear of missing out, and perceived competence as predictors of social media addiction of adolescents,"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8, No.2, pp.559-566, 2019. 

  14. T. Matthews, A. Danese, J. Wertz, A. Ambler, M. Kelly, A. Diver, A. Caspi, T. E. Moffitt, and L. Arseneault, "Social isolation and mental health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ntry: A longitudinal cohort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54, No.3, pp.225-232, 2015. 

  15. M. E. Loades, E. Chatburn, N. Higson-Sweeney, S. Reynolds, R. Shafran, A. Brigden, C. Linney, M. N. McManus, C. Borwick, and E. Crawley, "Rapid systematic review: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on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context of COVID-19,"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Vol.59, No.11, pp.1218-1239, 2020. 

  16. 조윤숙, 이경님,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가족환경 및 학교생활 부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8권, 제8호, pp.27-37, 2010. 

  17. M. N. Forsatkar, O. Safari, and C. Boiti,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growth, stress response, and immunity of zebrafish," Acta Ethologica, Vol.20, pp.255-261, 2017. 

  18. H. J. Eysenck,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Springfield, IL: Charles Thomas, 1967. 

  19. D. C. Fowles, "The three arousal model: Implications of Gray's two-factor learning theory for heart rate, electrodermal activity, and psychopathy," Psychology, Vol.17, pp.87-104, 1980. 

  20. J. A. Gray, "Brain systems that mediate both emotion and cognition," Cognition and Emotion, Vol.4, pp.269-288, 1990. 

  21. M. Abbasi, H. Sadeghi, Z. Pirani, and L. Vatandoust,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system's role in predicting addictive behaviors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of Roozbeh Psychiatric Hospital,"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Vol.21, No.6, pp.616-621, 2016. 

  22. R. N. Zisserson and T. P. Palfai,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sensitivity and reactivity to alcohol cues among hazardous drinkers," Addictive Behaviors, Vol.32, pp.2178-2186, 2007. 

  23. D. Y. Ki and, J. H. Lee, "Effects of the BAS and BIS on decision-making in a gambling task,"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pp.1131-1135, 2011. 

  24. J. S. Simons, R. D. Dvorak, and C. Lau-Barraco, "Behavioral inhibition and activation systems: Differences in substance use expectancy organization and activation in memory,"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Vol.23, No.2, pp.315-328, 2009. 

  25. Y. Kim, J. Jeong, and H. Cho, "Personality factors predicting smartphone addiction predisposi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activation systems, impulsivity, and self-control," PLoS ONE, Vol.11, No.8, e0159788, 20016. 

  26. R. Y. Mau, "The validity and devolution of a concept: Student alienation," Adolescence, Vol.27, No.107, pp.731-742, 1992. 

  27. 이은숙, "남.여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지, 제37권, 제4호, pp.576-585, 2007. 

  28. 김동일, 권미수, 정여주, 이윤희, 전호정, 김병관, 안지영, 오정수, 남길우, 고영삼, 스마트미디어 중독 척도(S-척도) 개편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9. C. S. Carver and T. L. White, "Behavioral inhibition, behavioral activation, and affective responses to impending reward and punishment: The BIS/B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p.319-333, 1994. 

  30. 김교헌, 김원식,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BAS/BIS) 척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2호, pp.19-37, 2001. 

  3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39권, pp.707-719, 2000. 

  32. S. A. Spiller, G. J. Fitzsimons, J. G. Lynch, and G. H. McClelland, "Spotlights, floodlights, and the magic number zero: Simple effects tests in moderated regres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50, No.2, pp.277-288, 2013. 

  33.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Sage, 1995. 

  34. M. Hosseinbor, S. M. Y. Ardekani, S. Bakhshani, and S. Bakhshani, "Emotional and social lonelines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bstance dependence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 Risk Behaviors and Addiction, Vol.3, No.3, e22688, 2014. 

  35. M. Bebinger, 2020.03.30. "Addiction is 'A disease of isolation' - So pandemic puts recovery at risk" Kaiser Family Foundation. https://khn.org/news/addiction-is-a-disease-of-isolation-so-pandemic-puts-recovery-at-risk/ 

  36. 김준수, 조진무, 송윤미, 이정권, "PC방 이용자들의 인터넷중독과 우울, 불안 및 대인회피 성향과의 연관성," 가정의학회지, 제25권, pp.455-461, 2004. 

  37. A. Bener, E. Yildirim, P. Torun, F. Catan, E. Bolat, S. Alic, S. Akyel, and M. D. Griffiths, "Internet addiction, fatigue, and sleep problems among adolescent students: A large-scal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Vol.17, pp.95-969, 2019. 

  38. 단현주, 배노연, 구종모, 오향화, 김미영,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77-286, 2015. 

  39. 김세진, 김교헌, "인터넷 중독 개선을 위한 인지적 접근; 조절실패와 갈망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3호, pp.421-446, 2013. 

  40. J. Berkson,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Fourfold Table Analysis to Hospital Data," Biometrics Bulletin, Vol.2, No.3, pp.47-53, 19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