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이론에 의한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성장과 발전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based on Grounded The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516 - 534  

박종환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박희성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 동료상담사와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9명의 현장경험을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은 '갑작스러운 장애 발생으로 고군분투함', '장애를 수용하며 새 삶을 꾸려나감', '장애에 대한 생각을 고침', '우연히 동료상담사 양성교육에 참여함'의 인과적 조건에 따라 '동료상담사 역할 수행'과 '역할 수행의 원동력'의 중심현상을 경험하였고, 이 현상은 '상담교육을 통한 변화 경험'과 '동료상담의 필요성 인식'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이 어렵게 느껴짐', '역량부족에 따른 자의식', '미흡한 동료상담의 현주소'의 중재적 조건에 따라 '내적 역량강화'와 '외적 활동 도모'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동료상담사로서의 변화와 성장', '동료상담직 외 활동 영역 확대', '동료상담의 발전 과제 제시'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의 성장과 발전 과정은 '장애를 넘어 상담교육 입문의 단계', '변화를 거친 성장의 단계', '역량강화를 통한 진로 모색의 단계', '역할 도전이 이룬 입신의 단계'의 4단계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러한 과정의 핵심 범주는 '동료상담사로서의 성장과 발전은 역량강화에 근거한다'였다. 이 연구결과는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행기관의 실무 매뉴얼 마련,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peer counselors in the field of disability. The field experiences of 19 peer counselors with disabilities and peer counselors who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장애분야 동료상담사들의 입문에서 성장 및 발전의 과정을 밝혀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에이블뉴스, 피플퍼스트서울센터 발달장애인 동료상담가 양성과정 참여자 모집, http://m.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4&newscode003420191203090551833921, 2021. 6. 7. 

  2. 나사렛대학교, 장애인동료상담사 양성교육, https://cms.kornu.ac.kr/IL/1010/subview.do. 2021. 8.10. 

  3. 복지뉴스, '제9기 부산장애인자립생활대학' 입학생 모집, https://www.rehabcenter.or.kr:450/?pageid6&tablecix_freeboard&PCview&idx687&page239&block23&page_id19692&uid33926&moddocument, 2021. 6. 7. 

  4.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서비스의 필요성과 제도화 구축 방향,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5. 

  5. 민간자격정보서비스, https://www.pqi.or.kr/inf/qul/infQulList.do, 2021. 6. 7. 

  6. 구본용, 구혜영, 이명우, 또래상담자 훈련프로그램 개발연구,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994. 

  7. 국은주, 중도장애인의 동료상담과 자립생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 김진선,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서비스 경험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10. 전혜인, "발달장애인 부모 동료에 의한 상담 시행방안," 발달장애연구, 제22권, 제3호, pp.25-45, 2018. 

  11.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12.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3. 조영길, "동료상담에 관한 제언," 한국특수교육학회학술대회 2012.12, pp.353-368, 2012. 

  14. 전혜인, "발달장애인 부모 동료에 의한 상담 시행방안," 발달장애연구, 제22권, 제3호, pp.25-45, 2018. 

  15. 송정문, 장애인 동료상담가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임기현, 중증장애인의 동료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7. 이진영, SERVPERF 모형을 이용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동료상담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정지훈, 동료상담서비스와 가족관계가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9. 박희성, 장애인 어머니의 동료상담 경험과 가족탄력성 및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0.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21.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22. 조성재, 허창덕, "중도시각장애인을 위한 동료상담활동 프로그램," 시각장애연구, 제28권, 제1호, pp.149-179, 2012. 

  23. 이성미, 장애인 동료상담의 공감 기술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주은선, 이성미,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22-35, 2019. 

  25. 김진선,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서비스 경험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6. 한채민, 김영근,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85-107, 2018. 

  27. 최하나, 정종화, 김은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재활복지, 제22권, 제2호, pp.127-159, 2018. 

  28. 류청한, 장애인 동료상담 구성요소와 상호작용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9.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5-39, 2013. 

  30. 복지타임즈, '동료상담 현황 및 발전방안 모색 세미나' 개최, http://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64, 2021. 8. 4. 

  31. 웰페어뉴스, 자립생활 위한 동료상담, '뛰는 미국.일본에 걷는 한국' https://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084, 2021. 8. 4. 

  32. 미디어생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의 동료상담의 역할과 과제, http://www.imedialife.co.kr/news/, 2021. 4. 3. 

  33. 웰페어뉴스,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서비스의 필요성과 제도화 구축 방향 세미나, https://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7779, 2021. 6. 7. 

  34. J.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학지사, 2015. 

  35. 김진숙, 이혁구, 이근무, "중산층에서 탈락한 개인들의 경험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접근-재진입 시도와 실패를 경험한 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4호, pp.195-230, 2012. 

  36.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1998. 

  37. Kathy Charmaz, 근거이론의 구성, 박현선, 이상균, 이채원 공역, 학지사, 2019. 

  38. E. G. C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981. 

  39.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1998. 

  40. B. A. Wright, Physical disability: A psychological approach(2nd ed), New York: Harper & Row, 1983. 

  41.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New York: SAGE Publications, Inc., 1998. 

  42. 송정문, 장애인 동료상담가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3.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44. 유성경, 심혜원,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4호, pp.789-812, 2005. 

  45. 김봉환, "조화와 통합 지향 카운슬링을 위한 상담자 역량 탐색," 상담학연구, 제13권, 제6호, pp.2697-2713, 2012. 

  46.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47. M.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Using the new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Arthur Pine Associates, Inc. 2002. 

  48. 현경자,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2호, pp.13-42, 2009. 

  49. R. Byrne, The secret, New York:Atria Books/Beyond Words, 2006. 

  50. 우후남, 정종화, "장애인부모 동료상담교육의 효과성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4권, pp.71-94, 2016. 

  51. 김순영, 여성장애인의 동료상담 교육이 자립생활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52. 임기현, 중증장애인의 동료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3. 한채민, 김영근,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85-107, 2018. 

  54. 박선영, "저소득층의 긍정적 정서 및 우울감과 희망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 및 조절 역할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40권, pp.189-214, 2013. 

  55. 임채원, 정주리, "대인간 스트레스 사건 이후 고립감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9권, 제6호, pp.55-72, 2018. 

  56.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5-39, 2013. 

  57. 미디어생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의 동료상담의 역할과 과제, http://www.imedialif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95, 2021. 6. 7. 

  58. 심흥섭,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59. 윤재영, 박찬오, 박정현,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pp.15-3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