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류의 영향을 받는 준설매립지역에서 지하수위 이력을 고려한 계측침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Monitoring Settlement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Dredged Landfill Area Affected by Alga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7 no.7, 2021년, pp.13 - 23  

장지건 ((주)광림엔지니어링) ,  손수원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  홍석우 (동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약한 점성토나 유기질토로 구성된 지반위에 도로, 교량, 건물 등이 축조된다면 침하량이 과대하여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침하 및 안정성 등 지반 공학적으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 축조된 구조물의 전단파괴 또는 붕괴로 까지 나타날 수 있어, 지반의 강도증가 및 침하억제 등을 위한 지반개량공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로 준설매립된 지반에서의 침하량 예측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지하수위 조건에 대하여 계측결과를 이용하여 각 지하수위 조건에 따른 침하량을 분석하고 준공 5년 후의 발생침하량과 비교하여 침하분석 시 적용 지하수위 조건에 대해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침하분석 시의 지하수위는 시공중에는 계측 지하수위를 적용하고, 공용중에는 소조평균저조위(L.W.O.N.T)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점토로 준설매립된 지역의 경우 원지반점토층 상부 통수층에서의 수두 관측결과와 원지반점토층 하부 통수층에서의 수두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점토층에서 작용하는 수압은 비선형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 roads, bridges, buildings, etc. are built on the ground with soft clay or organic soil, there may be a lot of problem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such as settlement and stability due to the large settlement and lack of bearing capacity. In extreme cases, it may appear due to shear failure or col...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5)

  1. Asaoka, A. (1978), "Observational Procedure of Settlement Prediction", Soils and Foundations, Vol.18, No.4, pp.87-101 

  2. Barron, R.A. (1948), "Consolidation of Fine Grained Soils by Drain Wells", Transactions of ASCE, Vol.113, pp.718-754. 

  3. Casagrande, A. and Fadum, R.E. (1940), "Notes on Soil Testing for Engineering Purposes", Harvard Univ.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Publication No. 8, quoted by Das, B.M., 1983, Advanced soil mechanics, McGraw-Hill Book Company, pp.292-293. 

  4. Choi, I.G. (2013), "A Case Study for Engineering Evaluation on the Soft Ground Behavior at Large Scaled Site Preparation Works", PhD thesis, Hong Ik University, pp.76-77. 

  5. Choo, Y.S., Kim, J.H., Hwang, S.H., and Chung, C.K. (2010), "The Optimization of Hyperbolic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with the Field Data for Preloading on the Soft Grou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6, No.7, pp.153-159. 

  6. Hoshino, K. (1962), "Research on Several Recent Problems at the Foundation", Japan Sociey of Civil Engineers, Vol.47, No.7, pp. 63-67 (In Japanese). 

  7. Jang, J.G. (202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according to Field Comditions at the Field of Soft Ground", PhD thesis, Pusan Nation University, pp.186-191. 

  8.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1977), Report of the test embankment in the Iwamizawa City for Dou expressway (In Japanese). 

  9. Monden, H. (1963), "A New Time-fitting Method for the Settlement Analysis of Foundation on Soft Clays", Memoir Faculty of Engineering, Hiroshima Univ., Vol.2-1, No.21, pp.21-29. 

  10. Nomura, S., Ikeda, T., Katagiri, M., and Terachi, M. (2008), "Consolidation Settlement Prediction of Reclaimed Land with Dredged Clay Case Record of Kita-Kyushu Airport", Journal of the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Vol.56, No.9, pp.10-13 (In Japanese). 

  11. Tan, S.A. (1970), "An Empical Method of Estimating Secondary and Total Settlement", Proceedings of 4th ACSMFE, Bankok, Vol.2, pp.147-151. 

  12. Tavenas et al. (1979), "Embankments on soft Clay", pp.170-178. 

  13. Terzaghi, K. (1925), "Erdbaumechanik auf Boden-physicalischen Grundlagen", Deuticke, Vienna. 

  14. Yang, T.S. (2005), "A Case Study of Measuring Residual Groundwater Level on Reclaimed and Dredging Clay Layer",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21, No.7, pp.63-72. 

  15. Yoshikuni, H. (1979), Design and construction control of vertical drain methods, Gihodo, Tokyo, Foundation Engineering Series, Dissertation, Hiroshima University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