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원심모형 시험을 이용한 지진 시 방파제의 내진안정성 검토
Seismic Stability Evaluation of the Breakwater Using Dynamic Centrifugal Model Test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7 no.6, 2021년, pp.39 - 50  

김영준 (한서대학교 건설공학과) ,  장동인 (한서대학교 건설공학과) ,  곽창원 (인하공업전문대학 견설환경공학과) ,  박인준 (한서대학교 인프라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에 리히터 규모 5.0 이상의 지진의 빈도수가 늘어남에 따라 지진피해가 늘어나면서 내진설계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발생한 포항지진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고, 항만시설물 또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 중 외곽시설인 직립식 방파제의 지진 시 발생하는 동적 거동을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사법칙을 적용한 직립식 방파제 모형에 포항지진파, 인공지진파 I, II의 총 세 가지 지진파를 적용하고, 지반에 대하여 DCM보강, 사석치환의 두 가지 방식의 보강을 한 경우를 고려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획득한 지진 시 직립식 방파제의 동적 거동에 대하여 가속도, 수평·수직 변위를 분석하여 내진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방파제 기초지반이 DCM보강 및 사석치환을 통해 지지력 및 강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속도 증폭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the occurrence of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5.0 or higher in Korea increases, many studies and interests in seismic design are increasing. A lot of damage was caused by the Pohang earthquake in 2017, and port facilities such as a breakwater were also damaged. This study analyzed t...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8)

  1. Han, S.M., Park, E.H., Ham I.K., Park, S.C, Jeon, Y.S., Jo, E.Y., and Lee, C.W. (2014), "Technical Report for the Observation Environment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ismic Observator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NIMRTN-2014-007, pp.54. 

  2. Heo, T.M., Kim, J.H., Kim, J.K., and Lee, J.H. (2018), "Response Spectra of 2017 Pohang Earthquake and Comparison with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Journal of the Korea Earthquake Engineering Association, Vol.22, No.3, pp.129-137. 

  3. Kim, D.S., Kim, N.R., Choo, Y.W., and Cho, G.C. (2012), "A Newly Developed State-of-the-art Geotechnical Centrifuge in Korea",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7, pp.77-84. 

  4. Kim, D.S., Lee, S.H., Choo, Y.W. and Perdriat, J. (2013), "Self-Balanced Earthquake Simulator on Centrifuge and Dynamic Performance Verification",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7, pp.651-661. 

  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Pohang earthquake analysis report". 

  6. Lee, H.J. (2020), "Effect of input motion on the permanent displacement of the gravity quay wall", Master's thesis at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Jeollabuk-do, Korea. 

  7. Lee, S.H., Choo, Y.W., and Kim, D.S. (2013), "Performance of an Equivalent Shear Beam (ESB) Model Container for Dynamic Geotechnical Centrifuge Tests",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44, pp.102-114. 

  8. Nam, S.H. (2020), "The examination of aseismic stability of breakwater by centrifugal model test", Master's thesis at Han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ivil Engineer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