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둔덕리 이웅재고가(李雄宰古家)의 공간 및 경관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nd Visual Composition of Yi Ung-Jae's Old House, Dundeok-ri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20년, pp.60 - 76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이정한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가치 발굴과 재조명을 목적으로, 임실 이웅재고가의 공간적·시각적 배치 특성과 경관과 정원 구조를 검토하여 전통정원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부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가가 입지한 둔덕리 동촌마을은 배산임수의 전형적인 형국으로 3개로 모인 물줄기 북측에 전착후관한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단구대와 삼계석문의 경승을 갖는 동촌마을은 노적봉과 계관봉은 안산(案山)으로 한 '지네가 하늘을 나는 형국(飛天蜈蚣形)'의 길지로 이해된다. 이웅재고가는 16C 중반 춘성정 이담손에 의해 조영된 전북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가이자 조선 왕실가문의 종가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및 일제강점기 일본에 저항한 충정과 대문채의 효자정려 그리고 편액과 주련에 담긴 충효의 가풍은 물리적인 가옥의 가치를 부상시키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경사진 지형에 거스르지 않게 배치된 사랑채나 안채의 배치 그리고 높은 돈대에 올린 사랑채는 최대한 원경을 차경하는 효과를 거두며 왕가 건물로서의 위엄성과 위계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사주문과 중문을 통한 안채 진입방식, 넓은 후원과 채원의 할애 그리고 안채에 배려된 공루 등의 가옥 구성은 일반 사대부가에 비해 매우 독특하다. 그러나 전후관계로 보면 사당을 주변으로 넓은 후원을 안배함으로써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는 한편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지금은 교란·훼손되었으나 외원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방지원도형(方池圓島型)의 지당(池塘)이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가에서 주목되는 식재수종은 후원의 소나무, 팽나무, 감나무, 매화, 홍단풍 그리고 측정의 산수유를 비롯하여 외원의 자두나무 등이다. 석축 위로 조성된 화계는 고가의 정원상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공간으로 정원 특성을 잘 간직한 공간이지만 화계 식생경관에 어울리지 않게 종 다양성과 사당에 어울리지 않는 화려함이 극도로 높아 식재의 짜임새를 상실한 느낌이다. 이웅재고가는 조선 전기 궁궐 밖에 조성된 궁가(宮家) 건축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는 조영물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웅재고가의 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atial and visu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Imsil Yi Ung-jae's old house's spatial and visual aspects in order to discover the value of landscape and traditional house ga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ongchon-village in Dundeok-ri,...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40)

  1. Choi S. H. (2004). The Story of a House That Reads Again as a Hanok. History of Warrior Culture. 

  2. Jeong, J. S. (2002). The State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3): 120-123. 

  3. Nam Y. H. and Yoon Y. H. (2004). A Study on the Chae(Building) Arrangement of Korean Traditional Private Houses and Their Garden Preservation: Centering on Korean Designated Cultural Asse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3): 1-14. 

  4. The National Folk Museum(2020). Korean Dictionary of Dietary Life: The Story of Main Life. 

  5. Choi Myung-hee(1996). Honbul 1. Hangilsa. 

  6. Jeonbuk Ilbo(2011). "I came to visit Jeonju, the home of yangban". Cultural section, October 19, 2011. 

  7. Shin, S. S. (1991). Constructive Organizations of the Landscape at the External Space of Korean Traditional Dwellings. Doctoral Dissertation at Korea University. 

  8. Kim, H. Y. (1991). Village Control of Sajok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Dundeokbang in Namwon. Han'guk Munhwa: Korean Culture. 12(-): 249-320. 

  9. Lee, J. Y. (2002).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of the Lineage Villages: Focus on the Dong-chon Village. Graduate Master's Degree Thesis at Wonkwang University. 

  10. Kang, I. A. (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in Use of Exterior Space in Traditional Residence: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District. Master's Thesis at Woos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11. Kang I. A. and Shin S. S.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in Use of Exterior Space in Traditional Residence: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Distric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 55-67. 

  12. Rho, J. H., Choi, Y. H. and Shin, S. S. (2014).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Garden Language of Mongsimjae in Namwon. MUNHWAJAE. 47(1): 32-45. 

  13. Genealogy of Jeonju Lee-ssi, Hyoryeongdaegun Jugyeun's familiy line . 

  14. http://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99695 

  15. Jeollabuk-do, Imsil-gun(2019). A Survey Report on the Actual Survey of Cultural Assets Aesignated: Yi Ung-jae's Old House. Jeonju Korean Culture Printing Co., Ltd. 

  16. http://people.aks.ac.kr 

  17. http://kostma.aks.ac.kr 

  18.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eonsanjo Jungjongjo 

  19. http://namwon.grandculture.net 

  20. Yongseongji(龍城誌) 

  21. https://www.ngii.go.kr/kor/main.do 

  2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Jeollabuk-do, Imsil-gun and Dundegi Village School(2017). The Story of Dundeok-ri Village with 500 Years of Closing. 

  23. Jeonbuk History and Culture Association(2007). Geumseongdaegye in Jeollabuk-do. 

  24. Honamjeoluirok(湖南節義錄) Vol. 1, Chungyeolgong Goje Volunteer Office(忠烈公 高霽峰事實) and Changuijegong Office(倡義諸公事實). 

  25. Yang, M. J. (2011). Father Lee Dae-yoon(李大胤) and His Son Lee Yup(李曄)'s "Causing Righteous Army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亂倡義)". Jeonbuk Culture Research. 22(-): 12-20. 

  26. Imsil-gun(2019). Imsil Cultural Heritage Story: p79. 

  27. http://tour.imsil.go.kr 

  28. http://www.k-heritage.tv 

  29. Families of Chunseong Jeongjong(2006). Dundeokgoeul Malt and Fragrance. 

  30. http://encykorea.aks.ac.kr 

  31. http://e-kyujanggak.snu.ac.kr 

  32. http://www.sjbnews.com 

  33. Choi S. H. (2019). In Addition to House Story 2nd Shopping Mall, Yi Ung-jae's Old House, Imsil, which was Built in a Unique Way According to the Mountains and Mountains. Rural Housing Life 2019. 09.21. 

  34. http://www.countryhome.co.kr 

  35. Kwon H. G. (2014). The royal family house in the mid-Joseon period. Housing journal. 312(-): 84-89. 

  36. Min, A. R. and Lee, J. H. (2019).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patial Relations of Architectural Elements in Private Gardens of Joseon Era and Their Geographical Characters.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4(2): 64-76. 

  37. Youn, L. L. (2010). Korean Men's Quarters. Busan Sanjini. 

  38. Yoo, Z. Y. (1993). Chonbuk Traditional Geographical View. Seoul: Minumsa Co., Ltd. 

  39. Rho, J. H., Shin, S. S. and Jo, C. M. (2007). An Actual Proof Study on the Viewing Structure of Palkyong: With Emphasis on Imsil-gu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1): 11-23. 

  40. Joo, N. C. (2003). Yeon Gyeong-dang, Seoul: Il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