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천연기념물 멸실신고로 본 자연유산 현황
A Current Status of Natural Heritage Using the Bird's Carcass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9 no.2, 2021년, pp.50 - 54  

이성경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신용운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천연기념물 중 야생조류의 폐사체 현황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신고된 천연기념물의 폐사체는 총 38종 5,036개체이었다. 2020년에 34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폐사하였고 2019년에 1,095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기록되었다. 가을철에 가장 많은 종수가 확인되었고 가장 적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여름철에 적은 종수와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연중 11월이 가장 많은 종이 폐사하였고 6월에 가장 많은 개체가 폐사하였다. 전체 폐사체 중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가 약 20%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수리부엉이(Bubo bubo), 솔부엉이(Ninox scutulata), 소쩍새(Otus sunia), 참매(Accipiter gentilis), 독수리(Cinreous Vulture), 새매(Accipiter nisus) 등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봄철과 여름철은 국내 번식하는 종이 폐사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겨울철에는 큰고니, 독수리 등 월동개체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천연기념물의 멸실신고는 사람에 의한 신고로 폐사체 현황만으로는 천연기념물의 국내 군집특성을 파악할 순 없으나, 야행성으로 자세한 조사가 수행되지 않은 올빼미목의 국내 개체수 파악과 국내 천연기념물 폐사체 현황 자료의 제공으로 천연기념물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arcasses of wild birds among natural monuments in Korea. In Korea, from 2016 to 2020, a total of 38 species and 5,036 individual carcasses of natural monuments were found. The year 2020 saw the highest numbers of species death with 34 and in 201...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8)

  1. 문화재청(2003). 천연기념물 백서. 570쪽 

  2. 강정훈, 김인규, 유승화, 강태한, 백운기(2008). 한국의 천연기념물 조류의 현황과 서식실태. 한국조류학회지. 15(1): 73-84. 

  3. 김영준(2006). 한국 야생동물 조난원인 유형분석.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4. 유승화, 이기섭, 박종화(2010).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사고사례 및 전선 충돌 원인분석. 한국조류학회지. 17(4): 331-343. 

  5. 빙기창, 최창용, 남현형, 박종길, 홍길표, 김성진, 채희영, 최영복(2012). 중간기착지에서 조류 사인에 대한 고찰. 한국조류학회지. 19(1): 23-31. 

  6. 이경주, 탁종훈, 박선일(2014). 우리나라 고속도로에서 야생동물 로드킬에 관한 시공간 추이 분석. 한국임상수의학회지. 31(4): 282-287. 

  7. 김봉균(2019). 충청남도 내 야생동물 조난 실태와 원인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유승화, 이기섭, 김수호, 김동원, 김화정, 김진한, 조영호(2019). 철원지역 두루미류 개체수 증가와 사고사례 및 사망사고 방지방안. 한국조류학회지. 26(1): 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