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번방 사건에 관한 뉴스 노출과 세상에 대한 신념의 관계: 간접 외상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Exposure to the News of the nth Room Case and World Assump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Indirect Trauma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7 no.3, 2021년, pp.237 - 258  

김차영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박혜경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n번방 관련 뉴스 노출과 간접 외상, 그리고 세상에 대한 신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총 22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5.0을 통해 분석한 결과, n번방 사건이 밝혀진 직후 관련 뉴스를 많이 접했을수록 당시에 더 높은 수준의 간접 외상을 경험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 외상은 당시 뉴스 노출과 현재의 세상에 대한 신념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즉, 당시 뉴스 노출량이 많았을수록 간접 외상 수준이 높아졌으며, 높은 수준의 간접 외상은 세상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과 관련되었다. 본 연구는 재난뿐만 아니라 성범죄 사건도 뉴스를 통해 제3자인 사람들에게 간접 외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뉴스 노출이 간접 외상을 매개로 세상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20대 성인에 한정되었으며, 연구 참가자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므로, 추후 더 다양한 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서, 후속 연구로 뉴스 노출과 간접 외상의 관계를 정서 전염이 매개 혹은 조절할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mpirically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news of the nth Room Case, indirect trauma, and beliefs about the world among adults in their 20s. A total of 228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esigned to study the association above.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76)

  1. 김보경 (2012). 성폭력, 성매매 상담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와 대리 외상의 관계에서 외상 신념의 매개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주환 (2020). "내 주변 남자들도?" 'n번방' 사태에 불안 느끼는 여성들.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328056500004?input1179m 에서 2020, 1, 20 인출. 

  3. 김지은 (2013). 간접 외상 기억 심상과 반추 수준에 따른 외상 후 분노 수준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하형, 김수영 (2020). 비일관적 매개효과 모형의 해석 방향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1), 91-115. 

  5. 김한균 (2020). 디지털성범죄 차단과 처단 - 기술매개 젠더기반 폭력의 형사정책 -. 저스티스(178), 369-392. 

  6. 김현주, 최희정 (2012).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적 삶의 질. 간호행정학회지, 18(3), 320-328. 

  7. 김희진 (2020). '빨간 비디오'가 'n번방'이 되기까지...눈감아준 'n번의 순간'들이 '성착취' 만들었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6170600005&code940100 에서 2021, 01, 20 인출. 

  8. 나선영, 안명희 (2011). 부모와의 유대가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331-355. 

  9. 노지민 (2020). 코로나19.텔레그램 성착취 사건뉴스에 우울하십니까.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187 에서 2020, 1, 20 인출. 

  10.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 디지털 성범죄.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53543#L1 에서 2021, 1, 10 인출. 

  11. 류경희, 김태경 (2017). 경찰관의 대리외상화에 대한 연구. 경찰학연구, 17(3), 59-86. 

  12. 박노일, 장석환, 정지연 (2018). 미디어 이용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4), 673-683. 

  13. 박상의, 정유지, 이정현 (2018). 미디어 노출에 의한 간접외상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설문 조사 연구. 대한불안의학회지, 14(2), 71-79. 

  14. 백준혁, 정영은, 채정미, 명준표, 임현우, 채정호 (2010). 소방 공무원에서 간접 외상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불안의학회지, 6(1), 65-70. 

  15. 서지효, 장혜인 (2021). 아동기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에 대한 지각이 성인진입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우울경험양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4(1), 1-19. 

  16. 손승희 (2014).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 간접외상 및 관련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21(10), 269-294. 

  17. 이동훈, 신지영, 김유진 (2016). 세월호 재난으로 친구를 잃은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89-120. 

  18. 이미혜, 성승연 (2014). 상담자들의 대리외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09-137. 

  19. 이혜정 (2020). 디지털 성범죄 "이런 수법 조심하세요". EBS. http://news.ebs.co.kr/ebsnews/allView/20253722/N 에서 2021, 1, 20 인출. 

  20. 이홍표, 최윤경, 이재호, 이홍석 (2016). 세월호 뉴스 노출을 통한 간접 외상의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411-430. 

  21. 정의문 (2014). 세월호 사건 매체노출이 대학생들에게 미친 간접외상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조용래 (2012). 한국판 외상 후 인지 검사의 요인구조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 외상경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 12(3), 369-391. 

  23.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24. 좌보경, 윤문영, 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 특성, 위험 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 이슈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4), 72-109. 

  25. 트위터 (2020). 트위터에서 함께 보낸 2020년. https://blog.twitter.com/ko_kr/topics/insights/2020/spending-2020-together-on-twitter-ko.html 에서 2021, 1, 12 인출. 

  26. 특별취재팀 (2019). "소라넷 계보 잇겠다"...올초 어느 블로거의 'n번방 선언'.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18637.html 에서 2021, 2, 07 인출. 

  27.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2019). 한국언론연감 2019. 한국언론진흥재단(한국언론재단). 

  28. 한효정, 김민, 남상인 (2017). 세월호 참사 추모활동 대학생의 의도적 반추, 자기노출, 추모활동이 간접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6), 179-204. 

  29. 허연주, 이민규 (2017).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3), 381-407. 

  30. Ahern, J., Gales, S., Resnick, H., Kilpatrick, D., Bucuvalas, M., Gold, J., & Vlahov, D. (2002). Television imag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Psychiatry, 65(4), 289-300. 

  31. Ahern, J., Galea, S., Resnick, H., & Vlahov, D. (2004). Television images and probabl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September 11: the role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event exposures, and perievent panic.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2(3), 217-226. 

  32. Aronson, E. (2011). The social animal. (11th Eds.) Worth Publishers Ltd. 인간, 사회적 동물. (박재호 역, 2014). 서울: 탐구당. 

  33. Baird, K., & Kracen, A. C. (2006).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A research synthesis.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19(2), 181-188. 

  34. Ball-Rokeach, S. J., & DeFleur, M. L.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3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6. Bernstein, K. T., Ahern, J., Tracy, M., Boscariono, J. A., Vlahov, D., & Galea, S. (2007). Television watching and the risk of incident probabl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5(1), 41-47. 

  37. Chiricos, T., Padgett, K., & Gertz, M. (2000). Fear, tv news, and the reality of crime. Criminology, 38(3), 755-785. 

  38. Crockett, M. J. (2017). Moral outrage in the digital age. Nature Human Behaviour, 1(11), 769-771. 

  39. Duffy, E., Avalos, G., & Dowling, M. (2015). Secondary traumatic stress among emergency nurses: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3(2), 53-58. 

  40. Dworkin, E. R., Ojalehto, H., Bedard-Gilligan, M. A., Cadigan, J. M., & Kaysen, D. (2018). Social support predicts reductions in PTSD symptoms when substances are not used to cope: A longitudinal study of sexual assault survivo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29, 135-140. 

  41. Fan, R., Xu, R., & Zhao, J. (2016). Higher contagion and weaker ties mean anger spreads faster than joy in social media. ArXiv e-prints, August 2016. 

  42. Feldman, D. B., & Kaal, K. J. (2007). Vicarious trauma and assumptive worldview: Beliefs about the world in acquaintances of trauma victims. Traumatology, 13(3), 21-31. 

  43.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C. R. Figely (Ed.),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p. 1-20). New York: Brummer/Mazel. 

  44. Gilovich, T., Keltner, D., Chen, S., & Nisbett, R. E. (2016). Social Psychology (4th ed.). New York: Norton. 

  45. Goldenberg, A., & Gross, J. J. (2020). Digital emotion contag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4(4), 316-328. 

  46. Gottfried, V. M. (2010). Indirect trauma syndrome: Empirical validation of a model that synthesizes secondary and vicarious trauma. University of Louisville. 

  47. Han, L., Sun, R., Gao, F., Zhou, Y., & Jou, M. (2019). The effect of negative energy news on social trust and helping behavior.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2, 128-138. 

  48. Hatfield, E., Cacioppo, J., & Rapson, R. (1993). Emotional contag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Ltd.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이형권 역, 2015). 서울: 신영사. 

  50. Janoff-Bulman, R. (1989). Assumptive worlds and the stress of traumatic events: Applications of the schema construct. Social Cognition, 7(2), 113-136. 

  51. Janoff-Bulman, R., & Frieze, I. H. (1983).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reactions to victimiza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39(2), 1-17. 

  52. Jenkins, S. R., & Baird, S. (2002).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vicarious trauma: A validational stud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5(5), 423-432. 

  53. Kensinger, E. A. (2007). Negative emotion enhances memory accur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4), 213-218. 

  54. Knight, C. (2013). Indirect trauma: Implications for self-care, supervision, the organization, and the academic institution. Clinical Supervisor, 32(2), 224-243. 

  55. Kramer, A. D. I., Guillory, J. E., & Hancock, J. T. (2014). Experimental evidence of massive scale emotional contagion through soci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1(24), 8788-8790. 

  56. Li, Y., Yang, S., Zhang, S., & Zhang, W. (2019). Mobile social media use intention in emergencies among Gen Y in China: An integrative framework of gratifications, task-technology fit, and media dependency. Telematics and Informatics, 42, 1-20. 

  57. Lowrey, W. (2004). Media dependency during a large-scale social disruption: The case of September 11. Mass Communication & Society, 7(3), 339-357. 

  58. MacEachern, A. D., Jindal-Snape, D., & Jackson, S. (2011). Child abuse investigation: Police officers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17(4), 329-339. 

  59. MacKinnon, D. P., Fairchild, A. J., & Fritz, M. S. (2007). Mediation analysi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 593-614. 

  60.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s.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61. Magwaza, A. S. (1999). Assumptive world of traumatized South African adult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9(5), 622-630. 

  62. Mairean, C. (2016).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Social Science Journal, 53(1), 14-21. 

  63. Matthews, L. T., & Marwit, S. J. (2004). Examining the assumptive world views of parents bereaved by accident, murder, and illnes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48(2), 115-136. 

  64. McCann, I. L., & Pearlman, L. A. (1990).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 131-149. 

  65. McCormick, C. B., & Kennedy, J. H. (2000). Father-child separation, retrospective and current views of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self-esteem in late adolescence. Psychological Reports, 86(3), 827-834. 

  66. Ochsner, K. N. (2000). Are affective events richly "remembered" or simply familiar? The experience and process of recognizing feelings pas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9(2), 242-261. 

  67. Pfefferbaum, B., Doughty, D. E., Reddy, C., Patel, N., Gurwitch, R. H., Nixon, S. J., Tivis, R. D. (2002). Exposure and peritraumatic response as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in children following the 1995 Oklahoma City bombing. Journal of Urban Health: Bulletin of the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79(3), 355-363. 

  68. Poulin, M. J. & Silver, R. C. (2019). When are assumptions shaken? A prospective,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negative life events and worldviews in a national samp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83, 1-12. 

  69. Schwartzberg, S. S., & Janoff-Bulman, R. (1991). Grief and the search for meaning: Exploring the assumptive worlds of bereav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0(3), 270-288. 

  70. Sexton, L. (1999). Vicarious traumatisation of counsellors and effects on their workplace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27(3), 393-403. 

  71.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72. Silver, R. C., Holman, E. A., Anderson, J. P., Poulin, M., McIntosh, D. N., & Gil-Rivas, V. (2013). Mental- and physical-health effects of acute exposure to media images of the September 11, 2001, attacks and the Iraq War. Psychological Science, 24(9), 1623-1634. 

  73. Silver, R. C., Holman, E. A., McIntosh, D. N., Poulin, M., Gil-Rivas, V., & Pizarro, J. (2006). Coping with a national trauma: A nationwide longitudinal study of responses to the terrorist attacks of September 11. In Y. Neria, R. Gross, R. D. Marshall, & E. S. Susser (Eds.), 9/11: Mental health in the wake of terrorist attack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Van Bruggen, V., ten Klooster, P. M., van der Aa, N., Smith, A. J., Westerhof, G. J., & Glas, G. (2018). Structural validity of the world assumption scale.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6), 816-825. 

  75. Wagner, S. L., McFee, J. A., & Martin, C. A. (2009). Effects of traumatic stress on firefighters' world assumptions. Traumatology, 15(1), 75-84. 

  76. Wilson, T. D., Meyers, J., & Gilbert, D. T. (2003). "How happy was I, anyway?" A retrospective impact bias. Social Cognition, 21(6), 421-44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