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공감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을 통하여
The Effect of Empath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COVID-19 Disaster : through Risk Perception and Indirect Traum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1, 2021년, pp.609 - 625  

한정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일반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최주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일반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이상옥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일반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김유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일반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  김성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일반대학원 인문사회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일상생활에서 많은 면을 변화시킨 코로나19의 대유행이 한국에서 시작된 지 1년이 지났다. 코로나 대유행은 신체적 건강에만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주며,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집단적 사회 스트레스 현상을 일으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대유행을 재난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공감이 재난에 관련된 심리적 변수인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을 통해 불안과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 대중 214명의 설문 데이터를 구조방정식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53.3%가 불안을, 35.7%가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이는 2019년 정부에서 발표한 수치보다 약 6배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델에서 정서적 공감은 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공감은 간접적 외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은 모두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불안은 우울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인지적 공감만이 불안과 우울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코로나 대유행이라는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나타난 집합적 우울 현상을 개인의 인지적·정서적 공감 수준 관점에서 이해하려한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now been more than a year since the start of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which has claimed thousands of lives and changed every aspect of life. The corona pandemic not only caused physical damages but also psychological one which is a collective social stress phenomenon often termed as '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개인의 공감 수준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코로나 19 재난 상황에서 나타나는 ‘코로나 블루’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분석을 이용하여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개인의 ‘공감’ 수준이 ‘위험지각’과 ‘간접외상’과 같은 재난과 관련된 심리적 매개 변수를 통해‘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코로나19를 포함한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심리적 방역을 위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뿐만 아니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정서적 공감은 위험지각, 간접외상을 매개로 하여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은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은 사회적 재난과 관련된 변인인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의 매개효과로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연구의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가설 1. 인지적 공감은 위험지각, 간접외상을 매개로 하여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9)

  1. 이동훈, 김지윤, 강현숙, "메르스(MERS)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35권, 제2호, pp.355-383, 2016. 

  2. 보건복지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2020년 9월 국민 정신건강실태조사, 2020. 

  3. 박주언, 강석훈, 원성두, 노대영, 김원형, "재난 정신건강 평가도구," 대한불안학회지, 제11권, 제2호, pp.91-105, 2015. 

  4. 염소림, 최유석, "가정 내 사회적 자본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55-266, 2014. 

  5. 윤소진, 장혜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걱정과 반추의 공통 요인(반복적 부정적 사고)과 차별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24권, 제3호, pp.709-734, 2019. 

  6. 이응, 임란, "박탈경험과 불평등 인식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93-122, 2014. 

  7. Y. K. Wing and C. M. Leung, "Mental health impac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a prospective study," Hong Kong medical journal, Vol.18, pp.24-27, 2012. 

  8. 신지윤, 박혜윤, 김정란, 이정재, 이해우, 이소희, 신형식, "2015년 한국 메르스 사태 1년 이후 생존자들의 정신과적 문제," 신경정신의학, 제58권, 제3호, pp.245-251, 2019. 

  9. C. K. Ettman, S. M. Abdalla, G. H. Cohen, L. Sampson, P. M. Vivier, and S. Galea, "Prevalence of depression symptoms in US adult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AMA network open, Vol.3, No.9, p.19686, 2020. 

  10. G. Ustun, "Determining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in a society affected by COVID-19 pandemic,"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Vol.67, No.1, p.54, 2021. 

  11. 이동훈, 김예진, 이덕희, 황희훈, 남슬기, 김지윤,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4호, pp.2119-2156, 2020. 

  12.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89-297, 2020. 

  13. 이나윤, 강진호,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171-179, 2020. 

  14. 양혜진, "코로나 19상황에서 대학신입생들의 자아탄력성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심리적 정서의 차이,"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제6권, 제3호, pp.75-81, 2020. 

  15. 전종우, "코로나 위험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배양효과와 개인의 문화적 차이," 언론정보연구, 제58호, 제2권, pp,66-91, 2021. 

  16. P. Slovic, The perception of risk, Earthscan, 2000. 

  17. K. A. McComas, "Defining moments in risk communication research: 1996-2005,"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11, pp.75-91, 2006. 

  18. W. Leiss, "Three phases in the evolution of risk communication practice,"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545, No.1, pp.85-94, 1996. 

  19. 이영애, 이나경, "위험지각의 심리적 차원," 인지과학, 제16권, 제3호, pp.199-211, 2005. 

  20. 허연주, 이민규,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3권, 제3호, pp.381-407, 2017. 

  21. 이재식, "사회적 재난에 의한 간접외상 경험에서의 개인차: 안전 통제소와 안전 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 Journal of the Koren Data Analysis Society, 제21권, 제6호, pp.3179-3194, 2019. 

  22. S. S. Kim, S. Kaplowitz, and M. V. Johnston, "The effects of physician empathy on patient satisfaction and compliance," Evaluation & the health professions, Vol.27, No.3, pp.237-251, 2004. 

  23. 최효인,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과 도움행동,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4. 배정은, 신희천, 이민규, "원만성이 용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 과정," 상담학연구, 제11권, 제1호, pp.111-123, 2010. 

  25. M. H. Davis,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Social Psychology), Westview Press, 1994. 

  26. M. L. Hoffman, Interaction of affect and cognition in empathy,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03-131, 1984. 

  27. 박빛나, 손은정, "성폭력.가정폭력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공감방식과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8권, 제5호, pp.133-151, 2017. 

  28. 이희경, 김재환, "역할수용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1호, pp.15-29, 2001. 

  29. 김양태, "공감의 신경생물학적 이해," 생물치료정신의학, 제21권, 제3호, pp.141-148, 2015. 

  30. E. Kerem, N. Fishman, and R. Josselson, "The experience of empathy in everyday relationships: Cognitive and affective element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18, No.5, pp.709-729, 2001. 

  31. C. L. Yu and T. L. Chou, "A dual route model of empathy: a neurobiological prospective," Frontiers in psychology, Vol.9, p.2212, 2018. 

  32. D. Cramer and S. Jowett, "Perceived empathy, accurate empath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heterosexual coupl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27, No.3, pp.327-349, 2010. 

  33. S. Schreiter, G. H. M. Pijnenborg, and M. Aan Het Rot, "Empathy in adults with clinical or subclinical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50, No.1, pp.1-16, 2013. 

  34. J. Zaki, "Integrating empathy and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71, pp.517-540, 2020. 

  35. E. Teding van Berkhout, and J. M. Malouff, "The efficacy of empathy training: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63, No.1, p.32, 2016. 

  36. N. R. Silton and J. Fogel, "Religiosity, empathy, and psychopathology among young adult children of rabbis," Archive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Vol.32, No.3, pp.277-291, 2010. 

  37. C. Zahn-Waxler and C. Van Hulle, Empathy, guilt, and depression, Pathological altruism, pp.321-344. 

  38. 김미라, 중학생의 학업성취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9. 이수정, 장형숙,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 능력, 사회적 지지가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63-375, 2018. 

  40. 성미경, 박성희, "사이버상담자의 심리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공감만족, 소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231-242, 2021. 

  41. B. Rohrmann, "Risk perception, risk attitude, risk communication, risk management: A conceptual appraisal," In 15th Internaional Emergency Management Society (TIEMS) Annual Conference, 2008. 

  42. 류인평, 김영주, "관광 위험지각과 관광자 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6권, 제1호, pp.149-168, 2011. 

  43. 박유식, 한명희, "인터넷 쇼핑몰에서 위험지각과 품질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증신뢰성, 지각된 정보의 양, 주관적 지식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16권, 제1호, pp.59-84, 2001. 

  44. 이현영, 김남조, "미세먼지 위험지각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을 적용," 관광학연구, 제41권, 제7호, pp.27-44, 2017. 

  45. 송해룡, 김원제,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38-248, 2012. 

  46. 송해룡, 김찬원, 김원제,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공중의 위험관여도, 위험인식, 심각성 지각과 예방행동 의도의 관계," Crisisonomy, 제10권, 제5호, pp.33-49, 2014. 

  47. 최정실, 하준영, 이준수, 이윤탁, 정세웅, 신동준, 한준희, 이찬, 서동욱, "남자 고교생의 메르스 관련 건강행위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8권, 제3호, pp.150-157, 2015. 

  48. Y. Takebayashi, Y. Lyamzina, Y. Suzuki, and M. Murakami, "Risk perception and anxiety regarding radiation after the 2011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 systematic qualit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4, No.11, p.1306, 2017. 

  49. 김홍범, 임지영, 김나은, "위험지각이 관광객의 걱정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9권, 제6호, pp.171-193, 2010. 

  50. 이흥표, 최윤경, 이재호, 이홍석, "세월호 뉴스 노출을 통한 간접 외상의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2권, 제3호, pp.411-430, 2016. 

  51. 김신일, 김태형, 최말례, 정주리, 권혁민, 김형욱, 김병조, 은헌정, "중동호흡기증후군에 대한 공포감이 병원종사자와 일반인의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대한불안의학회지, 제15권, 제1호, pp.45-52, 2019. 

  52. K. T. Bernstein, J. Ahern, M. Tracy, J. A. Boscarino, D. Vlahov, and S. Galea, "Television watching and the risk of incident probabl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prospective evaluation,"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5, pp.41-47, 2007. 

  53. 이재식, "사회적 재난에 의한 간접외상 경험에서의 개인차: 안전 통제소와 안전 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 Journal of the Koren Data Analysis Society, 제21권, 제6호, pp.3179-3194, 2019. 

  54. C. Brewin, B. Andrews, and B. Valentine,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trauma exposed adul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8, No.5, pp.748-766, 2000. 

  55. T. A. Brown, L. A. Campbell, C. L. Lehman, J. R. Grisham, and R. B. Mancill, "Current and lifetime comorbidity of the DSM-IV anxiety and mood disorders in a large clinical sampl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0, No.4, p.585, 2001. 

  56.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제2판, 중앙문화사, 2005. 

  57. 양현주, 김대호, 장은영, 박선철, 박용천, "불안장애 및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증상의 차이," 신경정신의학, 제50권, 제4호, pp.297-304, 2011. 

  58. R. C. Kessler and P. S. Wang, "The descriptive epidemiology of commonly occurring mental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Annu. Rev. Public Health, Vol.29, pp.115-129, 2008. 

  59. N. C. Jacobson and M. G. Newman, "Avoid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over a decade lat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28, No.5, pp.437-445, 2014. 

  60. L. R. Starr and J. Davila, "Temporal patterns of anxious and depressed mood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daily diary stud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50, No.2, pp.131-141, 2012. 

  61. 최주희, 이상옥, 김성수, "신규간호사의 공감수준과 인지된 프리셉터의 공감수준이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313-327, 2017. 

  62. S. Kaplan, and B. J. Garrick, "On the quantitative definition of risk," Risk analysis, Vol.1, No.1, pp.11-27, 1981. 

  63. K. Kroenke, T. W. Strine, R. L. Spitzer, J. B. Williams, J. T. Berry, and A. H. Mokdad, "The PHQ-8 as a measure of current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14, No.1-3, pp.163-173, 2009. 

  64. R. L. Spitzer, K. Kroenke, J. B. Williams, and B. Lowe,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6, No.10, pp.1092-1097, 2006. 

  65.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9권, 제1호, pp.47-56, 2013. 

  66. https://www.phqscreeners.com 

  67.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1. 

  6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6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08~2019 지역건강통계, 2020. 

  70.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 1995. 

  71. Brown and A. Timoth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The Guilford Press, 2015. 

  7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73.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012. 

  74. R. J. Slavny and J. W. Moo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tentionality bias and its association with cognitive empath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22, pp.104-108, 2018. 

  75. G. D. Vitaglione and M. A. Barnett, "Assessing a new dimension of empathy: Empathic anger as a predictor of helping and punishing desires," Motivation and Emotion, Vol.27, No.4, pp.301-325, 2003. 

  76. J. Decety and K. J. Yoder, "Empathy and motivation for justice: Cognitive empathy and concern, but not emotional empathy, predict sensitivity to injustice for others," Social neuroscience, Vol.11, No.1, pp.1-14, 2016. 

  77. P. Slovic, M. L. Finucane, E. Peters, and D. G. MacGregor, "Risk as analysis and risk as feelings: Some thoughts about affect, reason, risk, and rationality," Risk Analysi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4, No.2, pp.311-322, 2004. 

  78. T. Kogut and I. Ritov, "The "identified victim" effect: An identified group, or just a single individual?,"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Vol.18, No.3, pp.157-167, 2005. 

  79. M. L. Meyer, C. L. Masten, Y. Ma, C. Wang, Z. Shi, N. I. Eisenberger, and S. Han, "Empathy for the social suffering of friends and strangers recruits distinct patterns of brain activation,"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Vol.8, No.4, pp.446-45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