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프로그램 수준 건설사업에서 지연관리지수(Delay Management Index)를 활용한 공사지연 예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evention of Construction Delays Using the Delay Management Index in Program Level 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1 no.4, 2021년, pp.347 - 359  

유준혁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buk University) ,  김옥규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bu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건설공사는 초대형화로 단일 공사규모가 복잡해지고 천문학적인 공사비가 소요되는 프로그램 관리 형태의 성격을 지니는 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건설사업과 같이 프로그램 수준에서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사업은 계획된 일정 및 비용에 대한 전제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구체적인 공사지연에 관한 관리기준이 부재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장기간 진행되는 프로그램 수준의 대규모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공정지연 및 부진사업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지연관리지수(Delay Management Index, DMI)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대규모 복합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수준 건설사업을 위한 지연예방체계를 구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onstruction projects have emerged in the form of program management, which is complicated by the large-scale of construction, and requires astronomical construction costs. In particular, projects that absolutely require management at the program level, such as large-scale construction pro...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7)

  1. Lee KC. Program management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nstruction project(phase1).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20 Jun;21(3):9-13. 

  2. Back MC, Yoon YD. Introduction to program management of the USFK base relocation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9 Jun;20(3):9-13. 

  3. Yoo KH. Program management of the Sejong city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20 Jun;21(3):14-8. 

  4. Han JK, Chin SY, Kim YS. An analysis on delay factors of major trade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3 Mar;19(3):163-70. 

  5. Ji KC, Yu JH, Kim CD. The root cause analysis process for schedule delay in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6 Oct;7(5):138-48. 

  6. Lee HC, Lee JH, Go SS.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work delay factors in steal-frame work using FMEA.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9 Jan;10(1):91-101. 

  7. Lim GJ, Son CB. An analysis on the delay influence factors in apartment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7 Sep;33(9):43-50. https://doi.org/10.5659/JAIK_SC.2017.33.9.43 

  8. Ahn SH, Yu JH, Kim CD. An analysis on work delay factors in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s Management. 2007 Dec;8(6):159-66. 

  9. Lee HC, Lim SY, Yeo SK, Go SS. A study on the work delay factors of reinforced concrete work in apartment hou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 Apr;9(2):55-61. https://doi.org/10.5345/JKIC.2009.9.2.055 

  10. Park CW, Yun SH. A case study on reason analysis for schedule delay of apartment hous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 Feb;9(1):89-94. https://doi.org/10.5345/JKIC.2009.9.1.089 

  11. Lee SH, Kim YM, Kim JH, Kim JJ. Analysis of delay factors based on importance of construction subject-classified in apartment finishing wor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1 Feb;11(1):73-81. https://doi.org/10.5345/JKIC.2011.02.1.073 

  12. Ryu HG, Yu JH, Lee HS. A method of calculating schedule delay considering lost productiv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2 Oct;18(10):117-24. 

  13. Kim YJ, Hong JS, Kim KR, Shin DW. An analysis method for the concurrent delay using delay section concep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4 Jun;20(6):141-8. 

  14. Koo JM, Lee JS. Construction delay analysis method considering productiv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4 Apr;20(4):147-54. 

  15. Lee JS. Delay analysis using learning effect and linear scheduling i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8 May;24(5):185-92. 

  16. Kim YJ, Kim TK, Jo DS, Lee HK. A study on substantiation methodology for extension of time in international mega-project claim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5 May;16(3):165-76. https://doi.org/10.6106/KJCEM.2015.16.3.165 

  17. Kim SG, Kwon SW. Case analysis on application of project delay analysis method in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9 Nov;20(6):98-106. https://doi.org/10.6106/KJCEM.2019.20.6.0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