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과 자기 돌봄의 관한 사례연구 -노래심리치료-
A Case Study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care of Childcare Teachers for Emotional Labor -Song psychotherapy-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6 no.3, 2021년, pp.9 - 17  

이지훈 (넘치는 어린이집) ,  신수원 (신곡어린이집)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육교직원은 보육현장에서 요구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억압, 과장, 통제, 조절, 규제하는 감정노동을 경험한다. 영유아 대상의 근무환경은 그 특성상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 원인이 되며, 나아가서 삶의 질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노래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므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에게 노래심리치료가 심리적 소진의 회복과 자기 돌봄 과정에서 긍정적인 삶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소진은 어떠한가?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자기 돌봄 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시기는 2017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였으며, 질적사례연구로 프로그램 진행과 심층인터뷰, 직접관찰, 참여관찰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 어린이집에서 2019년 6월부터 10월까지 구조화된 회기별로 12회기에 걸쳐 매 회기 50분간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은 자신 삶의 의지와 심리적으로 소진된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 인식하며 내면의 문제들을 직면하고, 소통하며 통찰할 수 있었다. 타인에게서 받은 정서적 지원은 정서적 고갈의 경험을 줄일 수 있으며 업무에서의 좌절로 인한 경험의 회복과 성취감 향상을 증명하였다. 둘째,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감정노동 보육교직원의 자기 돌봄은 시간적, 공간적, 관계적, 정서적 돌봄 과정을 증명하였고, 다른 사람을 돌보는 일과 자신을 돌보는 일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신체와 마음, 영성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며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과 자기 돌봄 과정은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내면을 탐색 및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과 자신의 돌봄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인적인 건강한 자아를 위한 통찰, 성장을 통해 삶의 질이 향상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ldcare teacher experience emotional labor that suppresses, exaggerates, controls and regulates their emotions in order to produce the positive image required in the nursery fiel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infants and toddlers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as a cause of psycholo...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9)

  1.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이진화(2007). 보육 교사의 정서 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박상희.문수경.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4. Skovholt, T. M.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유성경.유정이.이윤주.김선경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는 2001년 출간) 

  5. Bruscia, K. E. (2012). Case examples of the use of songs in psychotherapy. Gilsum, NH: Barcelona. 

  6. Baker, F. A., & Wigram, T. (2005). Songwriting: Method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7.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8. Baker, F., & Uhling, S. (2013). 음악치료에서의 목소리 활용기법. (정현주, 김수지, 곽은미, 김경숙, 이수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저 2011 출판) 

  9. Bruscia, K. E. (2014). Defining music therapy. Gilsum, NH: Barcelona. 

  10. Bruscia, K. E.(1998). Defining music therapy.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11. 정현주.김동민(2017). 「음악심리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2. Bruscia, K. E. (2006). 음악심리치료의 역동성(최병철.김영신 공역). 서울: 학지사. 

  13. Radocy, E. R., & Boyle, J. D. (1988).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2nd ed.).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14. Groke, D. & Wigram, T. (2011). 음악치료수용기법(문소영, 이은진 역). 서울: 학지사. 

  15. O'Callaghan, C. (1997). Therapeutic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music when using song writing in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Perspective, 15, 32-38. 

  16. Baker, F. & Wigram, T. (2008). 치료적 노래 만들기 : 음악치료의 임상 및 교육을 위한 지침서 (최미환역). 서울:학지사. (원전 2008 출판). 

  17. Clair, A. A., & Memmott, J. (2009). 「노인음악치료」(노인음악치료연구회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는 1996년 출간) 

  18.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5(1), 15-25. 

  19. 홍기묵(2014).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