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향상 관련 변인 메타분석: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Focused on Soci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7 no.1, 2021년, pp.113 - 138  

윤민지 (이화여자대학교) ,  윤수란 (이화여자대학교) ,  공현정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향상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총 34편(학술지 논문 14편, 학위논문 20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17,530). 일-가정 갈등과 향상은 방향에 따라 일→가정, 가정→일, 구분하지 않음으로, 사회적 지지의 지지자원은 가정, 배우자, 조직, 상사, 동료, 구분하지 않음으로, 지지유형은 정서적, 도구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로 나누어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지자원과 지지유형 모두 일-가정 갈등 및 향상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지지자원에 따라 일→가정에서는 갈등과 향상 모두 상사가, 가정→일에서는 갈등에는 가정이, 향상에는 배우자가 가장 유의하였고, 지지유형은 일-가정 갈등에서 일→가정은 평가적, 정서적 순으로, 가정→일은 평가적 정보적 순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4 studies (14 academic papers, 20 dissertations in academic journals) conducted in Korea from 2000 to 2020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enhancement and social support. (N=17,530). Work-fa...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91)

  1. 강명수 (2018).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일-가정 갈등, 삶의 의미 간의 관계. 성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명수, 류은진, 이수경 (2019). 중년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31(3), 110-138. 

  3. 강승하 (2008). 배우자 지원과 멘토 지원이 여성 공무원들의 직장-가정 갈등에 미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강혜련, 최서연 (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5. 김다미, 정현선, 박동건 (2016).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일-가정 갈등 및 대인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22(1), 87-118. 

  6. 김미정 (2016). 기혼 취업 여성의 정서표현양가성이 일-가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수정 (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수정, 유성경 (2016). 일-가족 양립에 관한 배우자 지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971-1002. 

  9. 김수정, 이혜진, 김유진, 박지은, 유성경 (2012). 한국 여성의 일-가족 향상 척도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3(2), 561-583. 

  10. 김민선, 서영석 (2016). 고학력 기혼 여성들의 진로지속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63-88. 

  11. 김시연, 서영석 (2010). 스트레스, 배우자 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89-213. 

  12. 김유미 (2019). 사회적 지지가 직장-가정 간의 촉진, 직무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구조관계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유리, 김은정 (2015), 미취학자녀를 둔 남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지원 정책에 대한 태도: 지지정도와 참여의향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2), 279-302. 

  14. 김인선, 이동명 (2009). 조직의 지원환경이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산업관계연구, 19(2), 67-94. 

  15. 김주엽 (2006). 일과 가정의 균형에 관한 문헌적 검토. 인적자원개발연구, 8(1), 83-117. 

  16. 김준기, 양지숙 (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17. 김지민 (2018). 맞벌이 남성과 여성의 배우자 지지 및 일-가정 양립 촉진적 자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지영, 구유정 (2018). 유자녀 기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제가 일-가정간의 상호전이를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20(2), 113-140. 

  19. 김화연, 오현규, 박성민 (2015). 공공 및 민간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2), 483-513. 

  20. 김현숙 (2013). 기혼직장여성의 인지적 유연성과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희진 (2008). 가족 및 직장지지가 일-가정 갈등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직장인 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23. 박경숙, 김영혜 (2003).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 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24. 박선주, 강민주 (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3), 87-111. 

  25. 박은선, 손은영, 임지숙 (2016).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93-1216. 

  26. 박인숙 (2016).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박정열, 손영미, 신규리 (2016). 기혼 직장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69-81. 

  28. 박주희 (2020). 가족주의 가치관, 직장지지가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2), 63-81. 

  29. 박지원 (2007).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 상호관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서종수 (2019). 배우자 지지와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조절효과: 기혼 남성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6), 609-620. 

  31. 손영미, 박정열, 전은선 (2015).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족 양립 관련 가치관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53-277. 

  32. 원숙연 (2005).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둘러싼 수사(修辭)와 현실-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4(2), 157-189. 

  33. 원숙연, 박지원 (2009).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학논집, 26(2), 3-32. 

  34. 오지현 (2020). 아동기 자녀를 둔 워킹맘의 일 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오혜은 (2017). 시간과 소득의 동시 빈곤에 관한 연구: 남녀 가구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4(1), 161-185. 

  36. 유계숙 (2008).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7-37. 

  37. 유성경, 임인혜 (2020).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551-578. 

  38. 유성경, 한영주, 조윤진 (2011). 기혼 직장 여성의 개인 특성 및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6), 1955-1975. 

  39. 유성경, 홍세희, 박지아, 김수정 (2012). 한국여성의 일-가족 갈등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1), 1-29. 

  40. 이강민 (2015). 여성근로자의 일-가족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미자 (2019). 항공 객실 승무원 조직에서 사회적 지원이 일-가정 충실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세인 (2006).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과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소연 (2017). 기혼남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갈등과 문제 중심 대처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이슬기 (2019). 남성규범과 새로운 아버지 신념에 따른 아버지 유형과 공동양육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유덕 (2009). 종업원의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이인영 (2019). 기혼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정 갈등 일가정 향상 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재림, 손서희 (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48. 정서린, 장윤옥 (2017).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지지, 직장 지지 및 일-가족 전이가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97-119. 

  49. 조광주 (2013). 영업사원들의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0(3), 87-110. 

  50. 조윤진, 유성경 (20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 

  51. 최윤정, 김계현 (2010). 대졸 기혼 직장여성의 개인특성, 환경적 지지 및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완화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049-1073. 

  52. 최윤정 (2011). 대졸기혼직장 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다중역할 현실성에 따른 집단 분류와 일-가족 갈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2), 219-241. 

  53. 통계청 (2015). 한국의 사회동향 

  54. 통계청 (2019). 2019 일.가정 양립지표. 

  55. 통계청 (2020). 2019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56. 허승은 (2014). 레크리에이션 강사의 사회적 지원에 따른 일-가정 갈등과 직무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8(4), 21-34. 

  57. Adams, G. A., King, L. A., & King, D. W. (1996). Relationships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4), 411-420. 

  58. Barnett, R. C., & Hyde, J. S. (2001). Women, men, work, and family: An expansionist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56(10), 796. 

  59. Bernas, K. H., & Major, D. A. (2000). Contributors to stress resistance: Testing a model of women's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4(2), 170-178. 

  60.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 Rothstein, H. R. (2011).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61. Byron, K. (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169-198. 

  6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63.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64. Duval, S., & Tweedie, R. (2000).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5(449), 89-98. 

  65. Ford, M., Heine, B., & Langkamer, K. (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66. French, K. A., Dumani, S., Allen, T. D., & Shockley, K. M. (2018). A meta-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bulletin, 144(3), 284-314. 

  67. Friedman, S. D., & Greenhaus, J. H. (2000). Work and family-allies or enemies?: What happens when business professionals confront life choice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68. Frone, M. R. (2003).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 143-16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9.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 

  70. Ganginis Del Pino, H. V. (2011). Work-Family Experiences Among Employed Mothers (Doctoral dissertation). 

  71. Greenhaus, J. H., & Parasuraman, S. (1994).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Women in management: Current research issues, 213-229. 

  72. Greenhaus, J. H., & Parasuraman, S. (1999). Research on work, family, and gende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In G. N. Powell (Ed.), Handbook of gender and work (p. 391-412). Sage Publications, Inc 

  73.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74. Grzywacz, J. G., & Butler, A. B. (2005).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work-to-family facilitation: Testing a theory and distinguishing a construc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2), 97-109. 

  75. Grzywacz, J. G., Carlson, D. S., Kacmar, K. M., & Wayne, J. H. (2007). A multi level perspective on the synergies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0(4), 559-574. 

  76. Grzywacz, J. G., & Marks, N. F. (2000).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11-126. 

  77. Hanson, G. C., Hammer, L. B., & Colton, C. L.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3), 249. 

  78. House, J. S., Umberson, D., & Landis, K. R. (1988). Structures and processes of social support.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1), 293-318. 

  79. Kossek, E. E., Pichler, S., Bodner, T., & Hammer, L. B. (2011). Workplace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A meta analysis clarifying the influence of general and work-family specific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Personnel psychology, 64(2), 289-313. 

  80. Kurtessis, J. N., Eisenberger, R., Ford, M. T., Buffardi, L. C., Stewart, K. A., & Adis, C. S. (201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meta-analytic evalua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ory. Journal of management, 43(6), 1854-1884. 

  81. Lambert, S. J. (1990). Processes linking work and family: A critic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Human relations, 43(3), 239-257. 

  82. Lapierre, L. M., Li, Y., Kwan, H. K., Greenhaus, J. H., DiRenzo, M. S., & Shao, P. (2018). A meta 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workfamily enrich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9(4), 385-401. 

  83. McNall, L. A., Nicklin, J. M., & Masuda, A. D. (2010).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family enrichmen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5(3), 381-396. 

  84. Mitchel, J. S., Kotrba, L. M., Mitchelson, J. K., Clark, M. A., & Baltes, B. B. (2011).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A meta analytic review.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2(5), 689-725. 

  85. Mitchel, J. S., Mitchelson, J. K., Pichler, S., & Cullen, K. L. (2010). Clarifying relationships among work and family social support, stressor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6(1), 91-104. 

  86. O'Brien, K. M., Ganginis Del Pino, Heather V., Yoo, S., Cinamon, R. G., & Han, Y. (2014).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3), 461-472. 

  87. Repetti, R. L. (1989). Effects of daily workload on subsequent behavior during marital interaction: The roles of social withdrawal and spouse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4), 651-659. 

  88. Ten Brummelhuis, L. L., & Bakker, A. B. (2012). A resource perspective on the work-home interface: The work-home resources model. American psychologist, 67(7), 545-556. 

  89. Van Daalen, G., Willemsen, T. M., & Sanders, K. (2006).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through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9(3), 462-476. 

  90. Wayne, J. H., Grzywacz, J. G., Carlson, D. S., & Kacmar, K. M. (2007). Work-family: A theoretical explanation and model of primary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7(1), 63-76. 

  91. Won, S. Y., & Pascall, G. (2004). A Confucian war over childcare? Practice and policy in childcare and their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gender regim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8(3), 270-28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