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on Job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262 - 273  

박정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최도림 (충남대학교 행정학과) ,  이순호 (충남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 사이에서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제6차 자료를 활용하여 19세-64세에 해당하는 응답자 중 현재 직장에 다니고 있는 기혼여성 근로자 2,01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가정 균형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일·가정 균형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 가정영역 사이에서의 정서적 연결성을 재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일·가정 균형을 위한 제도적 접근뿐만 아니라 가족친화문화와 같은 문화적 접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6th data of the Women's Family Panel was used to analyze 2,016 married female workers who ar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을 활용하여 일·가정 균형, 직무만족, 가족친화문화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측면에서 일·가정 균형을 다루고 있는 선행연구들은 일과 가정이 균형을 이룰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선제적 요인에 대한 연구와 일과 균형이 이루어질 경우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경향에서 보다 나아가 제도와 성과 사이에서 개인의 심리적 측면 또는 가정과의 연계성에 주목하였다. 일·가정 균형에 대한 제도가 수립되었다 하더라도 조직 내부적으로 이에 대하여 수용하지 못할 경우 형식적인 제도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만약 구성원들 일과 가정 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조직 내 공유된 문화가 존재할 경우 일·가정 균형이 보다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를 가족친화문화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로 접근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관계 사이에서의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 또한, Chung & Megginson(1981)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의 욕구충족 정도로 정의하고 있다[44]. 이들 정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직무만족을 직무에 대한 흥미, 열정, 가치 등과 관계되는 전반적인 만족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제도들에 주목하고, 일·가정 균형, 직무만족 및 가족친화문화의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일·가정 균형이 개인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가정친화문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일·가정 균형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가족친화문화는 일·가정 균형과 직무만족 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다양한 정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정리한 일·가정 균형 (work-life balance)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일-가정 갈등은 일터에서 비롯되어 가정에 대한 방해 또는 갈등을, 가정-일 갈등은 가정에서 비롯되어 일터에 대한 방해 또는 갈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22]. 이들 정의를 종합하면, 일·가정 균형 (work-life balance)이란, 근로자가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모두 잘 해내고 있다고 느끼는 상태 또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균형있게 수행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두 영역 사이의 균형이 이루어질 경우, 개인은 개인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차원의 자원 또는 에너지를 균형있게 분배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삶의 주체성과 만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9][23][24].
국가적 차원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국가적 차원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도입·운영해 왔다. 임신·출산 및 자녀 양육과 관련된 육아장려정책, 일·가정 균형을 위한 육아휴직·배우자 육아휴직제도·탄력근무제도·육아기 근로시간단축제 등의 근무시간단축·아이돌보미 지원 서비스·직장보육시설에 대한 지원 등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시도되었을 뿐만 아니라, 출산장려금과 고위험 산모 진료비 지원· 양육수당 지급·보육비 지원·자녀학자금 지원 등 금전적 차원의 노력 또한 지속되어 왔다[2]. 이처럼,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규모 재정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개선되지 않아‘고비용 무효율 정책’이라는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직무만족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직무에 대한 태도는 개인이 담당하고 있는 직무나 직무 상황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평가로 나타난다[41][42]. 일반적으로 직무만족(job satisfaction)은 조직 내 근로자가 직무를 수행하면서 직면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함에 따라 느끼는 직무에 대한 긍정적 정서의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McCormick & Iigen(1985)은 직무를 통해 얻어지거나, 직무로부터 경험하는 욕구충족의 정도로 정의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김래주, 대통령이 다스리는 나라 총리가 다스리는 나라 : 청소년을 위한 정치의 역사, 서울: 북네스트, 2018. 

  2. 한영선, 이연숙,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 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3권, 제1호, pp.49-66, 2015. 

  3. 안현미, "일본의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 정책분석을 통한 한국 저출산정책의 함의," 사회복지정책, 제30권, pp.311-338, 2007. 

  4. 김은정, "일가정양립지원 정책 목표와 대상 간 정합성 연구," 가족과 문화, 제24권, 제3호, pp.131-160, 2012. 

  5. 노호창,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에 관한 몇 가지 쟁점의 검토," 한국노동법학회, 제51권, pp.167-198, 2014. 

  6. V. Chandra, "Work-life balance: 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3, No.5, pp.1040-1056, 2012. 

  7. C. J. Collins and K. D. Clark, "Strategic Human Resource Practices, Top Management Team Social Networks, and Firm Performance: The Role of Human Resource Practices in Creating Organiz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No.6, pp.740-751, 2003. 

  8. D. M. Randall and M. P. O'driscoll, "Affective Versus Calculative Commitment: Human Resource Implication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37, No.5, pp.606-617, 1997. 

  9. 허준영, 권향원, "'일과 삶 균형' 저해요인에 관한 탐색적 이론화 연구: 세종시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한 근거이론의 적용," 행정논총, Vol.54, No.2, pp.1-30, 2016. 

  10. 김선녀,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유아교육, 보육시설현황 분석 및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연구," 아동교육, Vol.23, No.4, pp.163-189, 2014. 

  11. 김근세, 김대건, 이명석, "저출산.고령 정책의 행정자원과 휴먼서비스: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5권, 제1호, pp.103-131, 2013. 

  12. 성미애, 최연실, 이재림,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남성의 출산 연기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 요구도," 가족과 문화, 제27권, 제4호, pp.1-33, 2012. 

  13. 송유미, 이제상,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1호, pp.27-61, 2011. 

  14. 황민수, 장태호, 정세현, 김명주, 윤초롱, "우리나라 저출산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대도시를 중심으로," 동양대학교 행정경찰학부 학술대회, 제4권, pp.199-215, 2010. 

  15. 정성호,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한국인구학회, 제33권, 제2호, pp.113-136, 2010. 

  16. 강제상, 주재현, 김광구, 정원희, 김주경, "저출산 사회에 대응한 공무원 인사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7권, 제3호, pp.95-114, 2008. 

  17. 김주엽, 박상언, 지혜정,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4권, 제1호, pp.1-29, 2011. 

  18. 윤병훈, 송봉규, "경찰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에 대한 인식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향: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경찰연구, 제13권, 제1호, pp.91-116, 2014. 

  19. 오현규, 박성민,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공공 및 민간 조직 내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6권, 제4호, pp.901-929, 2014. 

  20. 이용엽, 양해술, "셀프리더십이 직무몰입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통업 종사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95-321, 2012. 

  21. 김태홍, 유희정, 강민정, 전용일, "여성인력관련 사회경제정책의 효과분석과 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22. B. A. Gutek, S. Searle, and L. Klepa,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No.4, pp.560-568, 1991. 

  23. J. P. Martel and G. Dupuis, "Quality of work lif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and presentation of a new model and measuring instrument,"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77, No.22, pp.333-368, 2006 

  24. A. McCarthy, C. Darcy, and G. Grady, "Work-life balance policy and practice: Understanding line manager attitudes and behavior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20, No.2, pp.158-167, 2010. 

  25. 김정운,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제5권, 제3호, pp.53-69, 2008. 

  26. 손미혜, 신홍철, "호텔종사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6호, pp.301-321, 2018. 

  27. E. Y. Kim, H. S. Oh, and Miaomiao Huo, The "Effect of work 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Vol.9, No.2, pp.1-28, 2017. 

  28. 한정희, 일.가정양립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석사학위논문, 2015. 

  29. 최진욱, 노종호, "일과 삶의 균형정책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33권, 제1호, pp.57-92, 2019. 

  30. S. Zedeck and K. L. Mosier, "Work in the family and employing organiza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45, No.2, pp.240-251, 1990. 

  31. J. H. Greenhaus, and N. J. Beutell,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1, pp.76-88, 1985. 

  32. 김선아, 김민영, 김민정, 박성민, ""일과 삶 균형" 정책과 정책 부합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7권, 제1호, pp.201-237, 2013. 

  33. 박정민, 윤영채, "차별적 경험과 성역할 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양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3호, pp.21-38, 2018 

  34. 배호중,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35. 문신용, 윤기찬, "가정친화적 복지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공무원과 사기업직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pp.445-473, 2007. 

  36. 이혜정, 유규창,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제80권, 제1호, pp.37-79, 2011. 

  37. 김태희, 오민지, "일-가정 양립정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 사 부문 여성관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pp.119-144, 2019. 

  38. 문은영, 일-가정 양립 지원을 통한 서울시 저출산 극복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pp.144-153, 2009. 

  39. 박선영,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용경험이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정효과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40. 김희경, 조규진, "공사조직 간 일가정 양립수준 및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행정연구, 제26권, 제2호, pp.217-246, 2017. 

  41.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M. 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1297-1349, 1976. 

  42. H. M. Weiss, "Deconstructing job satisfaction: Separating evaluations, beliefs and affective experien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12, No.2, pp.173-194, 2002. 

  43. E. J. McCormick and D. R. Iige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rentice Hall, 1985. 

  44. K. H. Chung and L. C. Megginson,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managerial skills, Harper & Row, 1981. 

  45. 장예지, 가족친화제도에 대한 근로자의 유용성 지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Y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46. 김일경, 가족친화제도의 활용용이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일/가정 양립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공기업 정책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47. 강혜경,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경힘과 성별관계의 변화: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실천의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제30권, 제2호, pp.133-167, 2013. 

  48. 송다영, 장수정, 김은지,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 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7권, 제3호, pp.27-52, 2010. 

  49. 이창길, "조직통합으로 인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변화요인 분석: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비교,"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3권, 제1호, pp.263-285, 2012. 

  50. 원숙연, "여성이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차원과 그 영향요인: 차별인식과 일-가정양립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3권, 제3호, pp.57-81, 2015. 

  51. 신황용, 이희선, "조직문화의 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혁신적 업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농.수.산림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7권, 제1 호, pp.123-147, 2013. 

  52. 최도림, 권향원, 박정민, "공무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윤리풍토의 매개효과,"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5권, 제2호, pp.173-202, 2016. 

  53. 이수창, 이환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행정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분석: 경상북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0권, 제2호, pp.139-162, 2008. 

  54. 김영춘, 정민숙, "리더십,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01-211, 2012. 

  55. K. Allard, L. Haas, and C. P. Hwang,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fathers' experiences of work-family conflict in Sweden," Gender, Work & Organization, Vol.18, No.2, pp.141-157, 2011. 

  56. 전방지, 이동선, "여성 관리자의 일.가족 전이가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8권, 제2호, pp.514-523, 2017. 

  57. 유효정, "가정친화정책과 가정친화조직 분위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pp.145-171, 2019. 

  58. 고선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정책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산하출자출연기관을 중심으로,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학위논문, 2017. 

  59. A. Cook, "Connecting work-family policies to supportive work environments,"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Vol.34, No.2, pp.206-240, 2009. 

  60. J. Kim and M. E. Wiggins, "Family­friendly human resource policy: is it still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71, No.5, pp.728-739, 2011. 

  61. 김진욱, 권진,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 제22권, 제3호, pp.265-302, 2015 

  6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63. 윤성욱, 정미애, 오나래, "미취학 자녀를 둔 치과위생사의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327-335, 2019. 

  64. 손영미, 박정열,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03-215, 2015. 

  65. 왕동, 차윤석, 남윤성, "일 (가정)-가정 (일) 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 지각된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568-577, 201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