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수산(김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관속식물상 변화 및 관리방안
A Study on the Vascular Flora and its Management Plan at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Gimp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4 no.4, 2021년, pp.311 - 338  

윤호근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이아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안종빈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  황태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이종원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김포의 최서북단 DMZ 접경지역 및 민북지역에 위치한 문수산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침입외래식물 등을 파악하고 확인된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7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총 95과 276속 395종 13아종 33변종 3품종 44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분류군의 약 9.09%로 나타났다.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 출현한 한반도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오동나무, 산이스라지, 백운산운추리 등 6종이 관찰되었다. IUCN 지정 희귀식물은 총 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 약관심종은 쥐방울덩굴과 창포가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초 39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IV등급은 바위말발도리 등 2분류군, III등급은 고광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등급은 잣나무 및 오리나무 등 총 1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침입외래식물은 개망초, 달맞이꽃 및 개쑥갓 등 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13.1%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18.0%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문수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과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최근 조사 구간이 더 넓고 다양한 경로를 조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 비해 분류군 수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희귀·특산식물의 수는 크게 감소하고 외래침입식물의 수는 임도 및 등산로 등으로 크게 확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자생식물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산림휴식년제 등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flora and remarkable plants and its factors and management plan in the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of Mt. Munsu, located in the DMZ and DMZ border area in Gimpo, Gyeonggi-do province. The survey was carried out 17 times from Ap...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3)

  1. Amarsanaa, G., S.Y. Jung, W.B. Cho, E.K. Han, S. So and J.H. Lee. 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2):183-204. 

  2. Baek, K.S, S.H. Jin, H.S. Kim, M.H, Kim, S.R. Ryu, Y.S. Ahn and K. An. 2013.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local forest protected areas for genetic resources - Focused on Borimsa temple forest (Torreya nucifera Forest) in Jangheung-gun -. J. of KIFR 24(2): 63-71 (in Korean). 

  3.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4.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5. Kim, J.H., G.H. Nam, C.Y. Yoon and B.Y. Lee.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 (Gyeonggi-do). JESI 19(4): 459-481 (in Korean). 

  6. Kim, J.M, Y.J. Yim and E.S. Jeon. 2000. Invasive Alien Plants in Korea. Science Books. Seoul, Korea. pp. 1-284 (in Korean). 

  7.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1. Border Area Support Act. (accessed on 10 April 2021). https://www.law.go.kr.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547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Pocheon, Korea. pp. 1-296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Pocheon, Korea. pp. 1-600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Pocheon, Korea. pp. 1- 609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on, Korea. pp. 1-1006 (in Korean). 

  13. Lee, D.H., M. Kang and S. Kim. 2016. Developing system and site level framework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for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in Korea. J. Korean For. Soc. 105(4):472-485 (in Korean). 

  14.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6 (in Korean). 

  15.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Seoul, Korea. pp. 1-912 (in Korean). 

  16.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24 (in Korean). 

  17.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p. 1-412 (in Korean). 

  1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p. 1-1270 (in Korean). 

  1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lin, Germany. pp. 1-666. 

  20. NamGung, J., C.Y. Yoon, Y.H. Ha and J.H. Kim. 2019.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Korean J. Plant Res. 32(4):355-378 (in Korean). 

  2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728 (in Korean). 

  22. Oh, H., D. Kim and J. You. 2017.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annam-Jeongmaek -Focused on Mt. Munsu, Mt. Gyeyang, Mt. Suri and Mt. Gwanggyo-. J. Environ. Impact Assess. 26(2):140-159 (in Korean). 

  23. Son, H.J., Y.S. Kim, C.H. Ahn and W.G. Park. 2016.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J. Korean For. Soc. 105(1):19-4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