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선형 회귀에 의한 광산란 초미세먼지 측정기의 황사 보정 기법
An Asian Dust Compensation Scheme of Light-Scattering Fine Particulate Matter Monitor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8, 2021년, pp.92 - 99  

백승훈 (중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산란법을 이용한 초미세먼지 측정기는 초 단위의 측정이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센서로 여러 크기별 (PM1.0, PM2.5, PM4.0, 및 PM10)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입자의 개수와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단위 부피당 무게인 농도로 변환하는 과정 때문에 큰 밀도를 가지는 황사에 대해서는 큰 오차를 나타낸다. 본 논문은 광산란 초미세먼지 측정기가 여러 크기별 PM 농도를 이용하여 황사 발생 시 초미세먼지(PM2.5)의 농도의 오차를 정확히 보정할 수 있고, 황사가 발생하지 않을 때도 영향을 받지 않는, 다중 선형외기 기법의 기계학습에 의한 보정 기법을 제시한다. 두 가지 또는 세 가지의 PM 크기 입력만으로도 광산란 미세먼지 측정 장치의 황사 오류를 크게 보정할 수 있음을 보인다. 한 달 동안 중부권대기환경연구소의 베타레이 측정기와 광산란 측정기의 측정값을 비교·분석하였다. 황사가 없는 구간에서 이 두 장비의 상관계수(R2)는 0.927이었고, 황사를 포함한 전 구간에서 상관계수는 0.763이었지만, 기계학습을 통하여 상관계수가 0.944로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ght-scattering fine particulate matter monitors can measure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s in every second and can be designed in a portable size. They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various PM sizes (PM1.0, PM2.5, PM4.0 and PM10) with a single sensor. They measure the number and size o...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1)

  1. J. Lelieveld, K. Klingmuller, A. Pozzer, U. Poschl, M. Fnais, A. Daiber & T. Munzel. (2019). Cardiovascular disease burden from ambient air pollution in Europe reassessed using novel hazard ratio functions. European heart journal, 40(20), 1590-1596. DOI : 10.1093/eurheartj/ehz135 

  2. B. Choubin, M. Abdolshahnejad, E. Moradi, X. Querol, A. Mosavi, S. Shamshirband & P. Ghamisi. (2020). Spatial hazard assessment of the PM10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in Barcelona, Spa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01, 134474. DOI : 10.1016/j.scitotenv.2019.134474 

  3. Kampa, M., & Castanas, E. (2008). Human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Environmental pollution, 151(2), 362-367. DOI : 10.1016/j.envpol.2007.06.012 

  4. X. Wu, R. C. Nethery, B. M. Sabath, D. Braun & F. Dominici. (2020).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COVID-19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MedRxiv. 

  5. Teledyne Advanced Pollution Instrumentation. (2018). User manual model T640 PM mass monitor. Teledyne API [Online], http://www.teledyne-api.com/ 

  6. Grimm Aerosol. (2012). GRIMM EDM 180 dust monitor, NAQC-EPA Monitoring Conference Denver. Colorado May 14th. 

  7. D. S. Kang, J. E. Oh, S. Y. Lee, H. J. Shin, H. K. Bong & D. S. Kim. (2018).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eal-time PM monitor based on optical scattering method,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14, 107-119. DOI : 10.11629/jpaar.2018.14.4.107 

  8. S. Son. & J. Kim, (2020). Evaluation and Predicting PM 10 Concentratio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Machine Learning.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6_3), 1711-1720. DOI : 10.7780/kjrs.2020.36.6.3.7 

  9. K. S. Harishkumar, K. M. Yogesh & I. Gad. (2020). Forecasting air pollution particulate matter (PM2. 5) using machine learning regression models. Procedia Computer Science, 171, 2057-2066. DOI : 10.1016/j.procs.2020.04.221 

  10. S. Abdullah, N. N. L. M. Napi, A. N. Ahmed, W. N. W. Mansor, A. A. Mansor, M. Ismail & Z. T. A. Ramly. (2020). Developmen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particulate matter (PM10) forecasting during episodic transboundary haze event in Malaysia. Atmosphere, 11(3), 289. DOI : 10.3390/atmos11030289 

  11. L. A. Diaz-Robles, J. C. Ortega, J. S. Fu, G. D. Reed, J. C. Chow, J. G. Watson & J. A. Moncada-Herrera, (2008). A hybrid ARIMA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model to forecast particulate matter in urban areas: The case of Temuco, Chile. Atmospheric Environment, 42(35), 8331-8340. DOI : 10.1016/j.atmosenv.2008.07.020 

  12. M. D. Mallet. (2021). Meteorological normalisation of PM10 using machine learning reveals distinct increases of nearby source emissions in the Australian mining town of Moranbah.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12(1), 23-35. DOI : 10.1016/j.apr.2020.08.001 

  13. J. M. Lim. (2019). An Estimation Model of Fine Dust Concentration Using Meteorological Environment Data and Machine 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18(1), 173-186. DOI : 10.9716/KITS.2019.18.1.173 

  14. A. Ibrir, Y. Kerchich, N. Hadidi, H. Merabet & M. Hentabli. (2021). Prediction of the concentrations of PM1, PM2. 5, PM4, and PM10 by using the hybrid dragonfly-SVM algorithm. Air Quality, Atmosphere & Health, 14(3), 313-323. DOI: 10.1007/s11869-020-00936-1 

  15. S. H. Sani, A. Rony, F. I. Karim, M. F. Mridha & M. A. Hamid, (2021). Evaluate and Predict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2.5)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Springer, Singapore. 771-785. DOI: 10.1007/978-981-15-5148-2_67 

  16. K. Yoo, H. Yoo, J. M. Lee, S. K. Shukla & J. Park. (2018).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pproach for prediction of potential hazards of urban airborne bacteria during Asian dust events. Scientific reports, 8(1), 1-11. DOI : 10.1038/s41598-018-29796-7 

  17. Y. Chun, J. Kim, J. C. Choi, K. O. Boo, S. N. Oh & M. Lee. (2001). Characteristic number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during Asian dust period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5(15), 2715-2721. DOI : 10.1016/S1352-2310(00)00404-0 

  18. W. Chueinta & P. K. Hopke. (2001). Beta gauge for aerosol mass measurement. Aerosol Science & Technology, 35(4), 840-843. DOI : 10.1080/027868201753227398 

  19. D. S. Kim, Y. K. Cho & Y. H. Yoon. (2014). Development of a real-time monitoring device for measuring particulate matter,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10, 1-8. DOI : 10.11629/jpaar.2014.10.1.001 

  20. M. Abadi, P. Barham, J. Chen, Z. Chen, A. Davis, J. Dean & X. Zheng. (2016). Tensorflow: A system for large-scale machine learning. In 12th USENIX symposium on operating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OSDI 16) , 265-283. 

  21.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Test procedure for class II and class III methods for PM 2.5 and PM, Legal Information Institute,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