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력단절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경험과 의미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 Assistant Teachers Taking a Career Break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4, 2021년, pp.49 - 71  

최현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정연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take a career break while working in daycare center as a teacher assistant. Methods: Seven assistant teachers and two child care teachers who took more than two years of career break were selected and given in-depth interviews over 1...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2)

  1. 강은진, 박진아 (2018).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근무실태 및 만족도. 육아정책연구, 12(2), 3-27. 

  2. 권태린 (2017). 어린이집 보조교사 역할적응 과정 연구 : 강릉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I.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4. 박미영 (2018). 어린이집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수행 요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은주, 전형미 (2017).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경력단절여성과 채용담당자가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한국콘텍츠학회논문지, 17(1), 166-182. dol:10.5392/JKCA.2017.17.01.166 

  6. 백연진, 이소현, 오은순 (2016).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보육교사의 일과 자녀양육 병행 경험 탐색.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1(21), 1-21. 

  7. 보건복지부 (2021. 2). 중앙보육정책위원회 개최, 2021년 보육 시행계획 확정.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37665에서 2021년 2월 15일 인출 

  8. 서영미 (2019). 경력단절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재취업에 관한 연구.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9(5), 27-57. dol:10.34226/gcl.2019.9.5.27 

  9. 이성미 (2014). 경력단절 보육교사의 재취업 적응과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임현선 (2013).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한국 여성의 생애단계 유형별 경력전환 결정요인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전은희 (2016). 어린이집 누리보조교사에 대한 현직 보육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용환 (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3. 조주연 (2015).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역할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윤미, 길혜지. (2012).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력전환 결정요인 탐색 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1-21. 

  15. 최효미 (2016). 어린이집.유치원에서의 보조교사 활용실태 및 충원의 어려움.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퍼, 1-22. 

  16. 통계청 (2020. 9).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84858_2&rs/assist/synap/preview에서 2021년 2월 15일 인출 

  17. 한인숙 (2017). 어린이집 보조교사 지원제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한 정책적 함의.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홍유나 (2019). 어린이집 보조교사 지원제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 Hall, D. T. (1996).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Th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10(4), 8-16. doi:10/5465/ame.1996.3145315 

  20. Louis, M. R. (1980). Carer transitions: Varieties and commonalit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3), 329-340. dol:10.5465/amr.1980.4288836. 

  21. OECD (2016). OECD Employment outlook. Paris: OECD. 

  22. OECD (2017). OECD Employment outlook. Paris: OEC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