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과 의미 탐색
Exploration in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Its Meaning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7 no.5, 2021년, pp.105 - 128  

안혜정 (연성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d health promoting activities for themselves.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course at one...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57)

  1. 강신영 (2011). 예비유아교사의 여가활동 실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95-118. 

  2. 고정수, 성창훈 (2005).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건강증진 행위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2), 121-131. 

  3. 고희선 (2016). 예비유아교사의 영양교육활동을 통한 식습관과 신체적 건강에 관한 연구. 예술인 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5), 309-320. doi:10.35873/ajmahs.2016.6.5.030 

  4. 교육부 (2021). 2021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세종: 교육부 교원양성연수과. 

  5. 구은미 (2007).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97-113. 

  6. 구은미 (2011). 보육교사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와 소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117-139. 

  7. 구은미 (2016).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7. 

  8. 김성재, 김창복 (2009).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167-191. 

  9. 김성재, 조형숙 (2006). 유치원교사의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323-348. 

  10. 김은주, 이강훈 (2017). 영유아건강교육 관련 대학교재의 출판동향 및 내용분석. 교사교육연구, 56(3), 324-335. doi:10.15812/ter.56.3.201709.324 

  11. 김은희 (2011). 유치원 교실에서 기록의 의미 알아가기: 3세반 두 교사의 기록 공유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5(1), 67-98. 

  12. 김정수 (2012). 여대생의 건강증진 경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9(2), 33-45. 

  13. 김정희, 김은심, 유지안 (2019).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한 교사 행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3(2), 65-92. doi:10.32349/ECERR.2019.4.23.2.65 

  14. 김혜금 (2011). 보육교사의 건강상태, 건강행동과 보육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49-166. 

  15. 김혜영 (2002). 일부 예비보육교사들에 대한 건강지식실천에 관한 실태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희수, 최정선 (2013). 예비유아교사의 자기능력 지각수준이 정신건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2), 67-82. 

  17. 나성식, 구수연, 박영례 (2013).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307-328. 

  18. 노진형, 이정희 (2008).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지식과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1), 29-48. 

  19. 박남심, 송승민 (2019). 보육교사의 자기 돌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3(6), 105-124. doi:10.32349/ECERR.2019.12.23.6.105 

  20. 박선해, 조준오, 정희남 (2010). 생활양식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 생태유아교육연구, 9(2), 23-39. 

  21. 박유미, 박선미 (2021). 예비유아교사의 건강 지식과 건강 행위, 건강교육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 477-484. doi:10.5762/KAIS.2021.22.1.477 

  22. 박유미, 안연경 (2012). 부모 교사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생활지도와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의 관계.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13(1), 67-91. doi:10.22845/wjoh.2012.13.1.003 

  23. 박은혜 (2013). 유아교사론(제4판). 서울: 창지사. 

  24. 박찬임, 이승렬, 윤자영, 신현구 (2013). 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산업재해 실태와 보호 방안(연구보고서 2013-03).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https://www.nkis.re.kr:4445/subject_view1.do?otpIdKLI00025570&otpSeq0&popupP에서 2021년 8월12일 인출 

  25. 보건복지부 (2020).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6.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20). 2020 개정 보육교사 2급 자격 취득 교과목 표준교과개요.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27. 손현숙 (2009). 예비보육교사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및 유아식생활지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유정하, 김재희 (2017).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근무환경, 소진 및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69-87. doi:10.14698/jkcce.2021.17.02.069 

  29. 육아정책연구소 (2019). 2019 영유아 주요통계.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0. 윤은종, 김희수 (2012).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양식 유형, 정신건강 및 자기능력 지각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4), 151-166. 

  31. 이경옥 (2002).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 목표지향성, 교사효능감 및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8, 195-212. 

  32. 이미숙 (2018). 간호대학생을 위한 운동습관형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진희, 조혜진 (2018). 유아교사의 구강건강지식 및 구강관리실천이 유아의 구강건강지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5), 845-865. doi:10.22251/jlcci.2018.18.15.845 

  34. 임진영, 박선희 (2010). 기록작업을 통한 유아교사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 열린교육연구, 18(1), 229-253. 

  35. 정수경 (2013).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6), 143-166. 

  36. 정인숙 (2003). 교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2), 179-196. 

  37. 정호범 (2014). 행동실천과 습관형성을 위한 교수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3), 115-132. 

  38. 정희정, 김애림, 주하나 (2020). 코로나위기에서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1359-1381. doi:10.22251/jlcci.2020.20.18.1359 

  39. 조경자, 이현숙 (2010). 유아건강교육(3판). 서울: 학지사. 

  40. 조영아 (2013). 예비유아교사의 건강행동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1. 지진구, 김귀백, 곽이섭 (2020). COVID-19 팬데믹과 운동중재에 관한 분석. 운동과학, 29(4), 339-346. doi:10.15857/ksep.2020.29.4.339 

  42. 최현실 (202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신입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73-286. doi:10.46392/kjge.2021.15.1.273 

  43. 허아림, 이희영 (2021). 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22(2), 399-423. doi:10.15818/ihss.2021.22.2.399 

  44. Campbell, T. L. (2018). Exploring pattern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of academic nurse educator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Gardner-Webb University, Boiling Springs, USA. 

  45. Cornacchia, H. J., Nickerson, C. J., & Olsen, L. K. (1988). Health in elementary schools (7th ed.). St. Louis, Mo: Times Mirror/Mosby College Pub. 

  46. Derscheid, L. E., Umoren, J., Kim, S., Henry, B. W., & Zittel, L. L. (201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taff members' perceptions of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practices for preschooler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4(3), 248-265. doi:10.1080/02568543.2010.487405 

  47. Gibson, J. (2019). A quantitative study on the construct of planning and designing instruc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elected tennessee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emphis State University, Memphis, USA. 

  48. Jackson, E. S., Tucker, C. M., & Herman, K. C. (2007). Health valu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self-efficacy as factors in a health-promoting lifestyle.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6(1), 69-74. doi:10.3200/JACH.56.1.69-74 

  49. Lovell, G., El Ansari, W., & Parker, J. K. (2010). Perceived exercise benefits and barriers of non-exercis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Kingdom.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7(3), 784-798. doi:10.3390/ijerph7030784 

  50. Merriam, S. B. (2018). Adult learning theory: Evolution and future directions. In K. Illeris (Ed.), Contemporary theories of learning(2nd ed) (pp. 83-96). London: Routledge. 

  51.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2), 116-127. doi:10.1080/00220670209598798 

  52. Pender, N. (2011, July). The health promotion model manual. Retrieved August 13, 2021 from https://deepblue.lib.umich.edu/bitstream/handle/2027.42/85350/HEALTH_PROMOTION_MANUAL_Rev_5-2011.pdf 

  53. Raemdonck, I., Gijbels, D., & Van Groen, W. (2014).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self-directed learning orientation on workplac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18(3), 188-203. doi:10.1111/ijtd.12028 

  54. Resor, J., Hegde, A. V., Stage, V. C., & Yeh, C. (2019). Standing up for broccoli: Explor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ECE) experience with nutrition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3(3), 414-429. doi:10.1080/02568543.2019.1609629 

  55. Rozmus, C. L., Evans, R., Wysochansky, M., & Mixon, D. (2005). An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and risk behaviors of freshman college students in a rural southern setting.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 25-33. doi:10.1016/j.pedn.2004.12.004 

  56. Sivkovych, H., Slyvka, L., & Hamerska, I. (2020).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for efficient health promoting school activities performance. Advanced Education, 7(16), 88-97. doi:10.20535/2410-8286.216792 

  57. Sparling, P. B., & Snow, T. K. (2002). Physical activity patterns in recent college alumni.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3(2), 200-205. doi:10.1080/02701367.2002.10609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