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가의론 수업에서 학습한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A Survey on Student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5 no.2, 2021년, pp.13 - 31  

조학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조나영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박정수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and to survey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 Methods : The class of theories of Korean medical famous physicians was newly designed and was...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4)

  1.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한의과대학 학습목표 기초 의학편(2006년 개정판). 2006. 

  2.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2017 역량중심 한의학교육학습목표 개발 - 2017 기초편. 서울. (재)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2017. 

  3. Bae SC, Kim JH, Uhm TH, Han ET, Park JH. Application of Explanation Meeting of Cadaveric Structure Using Communication Skill in Anatomical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9;11(1B):153-166. 

  4. Im SJ, Yune SJ, Lee SY, Jeong HJ, Kang SY, Kam BS, Yoon HG, Choi HJ, Lee SH, Kim HG. Do Pers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Breaking Bad News Influenc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8;20(3):221-240. 

  5. Kim Sun, Lee SJ, Choi CJ, Hur YR.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kills of Pre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6;18(2):171-182. 

  6. Kim SJ.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07;9(2):93-97. 

  7. Han HH, Kim Sun. Trends of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9;21(1):35-42. 

  8. Cho CS. Student Satisfaction Study and Interrater Comparative Study on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Score of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in Korean Medical Education.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5;29(2):152-159. 

  9. Steven A. Cole, Julian Bird 저. 김대현, 서영성, 김정범 역. 의학면담. 서울. 학지사. 2002:7. 

  10. Jung NK, Kim JH. The Developing and Valid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Scale. Korean Society for Creative Education. 2010;10(1):85-109. 

  11. Park HK. Asssessment of the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at KMLE. Korean Medical Conference 2021. 

  12. Kim SA, Park JH, Lee HH.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mprehensive Communi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4):412-420. 

  13.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한의학교육 인증기준 2021-2025(KAS2021). 2019:31. 

  14. 한의진단학회 편찬위원회, 한의진단학(진단편). 파주. 군자출판사. 2019:182-194. 

  15. Kim KO, Kim HK, An HJ, Shin HT. A Study about the Medical Communication Pro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Students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ith Hwa-Byoung.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ventive. 2013;17(1):163-179. 

  16. An HJ, Yang SJ, Shin HT. A study about the medical communication pro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students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f Infertility.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ventive. 2014;18(3):1-10. 

  17. Richard L. Cruess, Sylvia R. Cruess, Yvonne Steinert. 최숙희, 이명진, 노현재 번역.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 서울. 광연재. 2017:37. 

  18. Yang EB.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8;20(2):99-107. 

  19. 강희철. 임상의학입문. 의학교육논단. 2003;5(2):41-51. 

  20. 한경 경제용어사전. MZ세대. [cited on July 5, 2021]: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4621&cid42107&categoryId42107 

  21.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한의사 직무 및 역량. [cited on July 3, 2021]: Available from: http://www.ikmee.or.kr/html_2016/03/03.php 

  22. 안상윤, 문상식, 오상환 공저. 보건의사소통. 서울. 보문각. 2014. 

  23. Laurie Kelly McCorry, Jeff Mason 저. 나희자, 문소정, 문애은, 이미림, 이효철 역. 보건의료전문가를 위한 의사소통기술. 서울. (주)바이오사이언스 출판. 2014. 

  24. 천성문, 박은아, 안세지, 문정희, 선혜민, 전은주, 윤정훈, 박선우,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