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도-제주도 해역에 서식하는 저서다모류의 분포양상과 건강도 지수를 이용한 저서환경 평가
Distribution Patterns of Polychaete Assemblage and Benthic Quality Status Estimated by AMBI in Jindo-Jejudo Subtidal Area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0 no.4, 2021년, pp.203 - 214  

김광배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  정윤진 ((주)한국생태연구원) ,  오정규 ((주)한국생태연구원) ,  강훈 ((주)해양정보기술) ,  김동영 ((주)국토해양환경기술단) ,  이동훈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  임성률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  손대선 (순천향대학교) ,  마채우 (순천향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저서다모류 군집의 구조와 생태학적 건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에서 각 7개씩 총 14개 정점에서 2010년 8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5회에 걸쳐 반기별로 저서다모류 군집조사를 실시하였다. 저서다모류의 서식기질로서 퇴적물의 입도조성을 분석한 결과 진도 해역은 비교적 혼합질 퇴적상을 나타낸 반면 제주도 해역은 모래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14개 정점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는 68종, 231 ind./m2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진도 해역에서는 61종, 167 ind./m2, 제주도 해역에서는 62종, 295 ind./m2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출현종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제주도 해역에서 전반적으로 종수 및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출현 서식밀도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점종을 선정한 결과 진도 해역은 Heteromastus filiformis,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igambra tentaculata, Thelepus sp.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도 해역은 Amphicteis gunneri, Ampharete arctica, Prionospio sp., Spiochaetopterus costarum, Heteromastus filiformis 순으로 나타났다. 종조성과 정점 간 유사도에 근거한 집괴분석 결과 정점 5와 6을 제외한 정점에서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으로 확연히 구분되었다. AMBI 분석 결과 1.2-3.4의 결과를 보였으며, 모든 정점에서 V등급 저서다모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도 해역과 제주도 해역은 지리적 위치 및 퇴적상에 따라 저서다모류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시공간적인 큰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sessment of benthic quality status was implemented along the subtidal areas of Jindo and Jejudo to understand faunal structure of polychaete assemblages and ecological quality of the benthic environment. Sediment analysis was characterized by well sorted of both mud and sand in Jindo, and a littl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3)

  1. Borja A, Franco J, Perez V.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 Poll. Bull. 40(12): 1100-1114. 

  2. Borja A, Muxika I, Franco J. 2003. The application of a Marine Biotic Index to different impact sources affecting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along European coasts. Mar. Poll. Bull. 46(7): 835-845. 

  3. Bray JR,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4): 326-349. 

  4.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1): 117-143. 

  5. Clarke KR, Warwick RM.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ition), PRIMER-E Ltd. 1-144. 

  6. Conway MS. 1979. Middle Cambrian polychaetes from the Burgess Shale of British Columbia. Philos. Trans. R. Soc. London Ser. B. 285(1007): 227-274. 

  7. Fauchald K. 1974. Polychaete phylogency: A problem in protostome evolution. Systematic zoology. 23(4): 493-506. 

  8. Fauchald K. 1977. The Polychaete Worms, definitions and keys to the Orders, Families and Gener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Science Series. 28: 1-188. 

  9. Gomez Gesteira JL, Dauvin JC. 2000. Amphipods are good bioindicators of the impact of oil spills on soft-bottom macrobenthic communities. Mar. Poll. Bull. 40(11): 1017-1027. 

  10. Grassle JP, Butman CA, Mills SW. 1992. Active habitat selection by Capitella sp. 1 larvae. II. Multiple-choice experiments in still water and flume flows. Journal of Mar Res. 50(4): 717-743. 

  11. Grassle JF, Grassle JP. 1974. Opportunistic life histories and genetic systems in marine benthic polychaetes. J. Mar. Res. 32(2): 253-284. 

  12. Harlan KD. 2008. The use of polychaetes (Annelida)as indicator species of marine pollution: a review. Int. Journal Tro. Biol. 56(4): 11-38. 

  13. Hutchings P. 1998. Biodiversity and functioning of polychaetes in benthic sediment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7(9): 1133-1145. 

  14. KORDI. 1995. Management Technique for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Marine environment assessment based on the benthic faunal communities. [Korean Literature] 

  15. Le Bris H. 1988. Fonctionnement des ecosystemes benthiques cotiers au contact d'estuaires: la rade de Lorient et la baie de Vilaine. These de doctorat d'Oceanologie Biologique, Universite de Bretagne Occidentale, Brest. 1-311. 

  16. Light WJ. 1978. Spionidae (Polychaeta, Annelida). The box wood press, Pacific Grove, CA. 1-211. 

  17. Lim HS. 1993. Ecology on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of Korean. Ph. D. Thesis, National. Fish. University. Pusan. Korea. 1-311. [Korean Literature] 

  18. Lim HS, Je JG, Choi JW, Lee JH. 1991.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crozoobenthos at Yoja Bay in summer. Ocean Research of Korea. 13: 31-46. [Korean Literature] 

  19. Lim HS, Choi JW. 2001.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Macrobenthos in Hampyung Bay during Autumn in 1997, South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Fish. Soc. 34(4), 326-339. [Korean Literature] 

  20. Ma CW, Hong SY, Lim HS. 1995. Macrobenthic fauna of Deukryang Bay, Korea. Journal of Korean Fish. Soc. 28(5): 503-516. [Korean Literature] 

  21.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ical. General Systems. 3: 33-71. 

  22.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A guidebook for the seawater, sediment and marine biota analyses in ocean environmen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notice 2010-914, 495. [Korean Literature] 

  23. Paik EI. 1989.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1. Ministry of Education Press, Seoul. 1-764. [Korean Literature] 

  24.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ournal of Theoret. biol. 13: 131-144. 

  25. Rhoads DC. 1974. Organism-sediment relations on the muddy sea floor. Oceanogr. Mar. Biol. Annu. Rev. 12: 263-300. 

  26. Sanders HL. 1958. Benthic studies in Buzzards Bay. I.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Limnology and Oceanography. 3(3): 245-258. 

  27. Shannon CE,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 

  28. Simboura N, Zenetus A, Panayotides P, Makra A. 1995.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gragient. Mar. Poll. Bull. 30(7): 470-474. 

  29. Snelgrove PVR, Butman CA.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 revised: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u. Rev. 32: 111-177. 

  30. Ward TJ, Hutchings PA. 1996. Effects of trace metals on infaunal species composition in polluted intertidal and subtidal marine sediments near a lead smelter, Spencer Gulf, South Australi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3: 123-135. 

  31. Word JQ. 1978. The infaunal trophic index. Southern California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 Annual Report, 1978. SCCWRP, Long Beach. 19-39. 

  32. Yoon SM, Kim CC, Seo WI, Hwang SY, Lee SH, Han KH, Lee WB.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Polychaete Community in Kangjin Bay,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Yeosu National University. 6: 9-26. [Korean Literature] 

  33. Yoo JW, Hong JS. 1996. Community structures of the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in Kyonggi Bay and Han Estuary,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1(1): 7-1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