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소득구조 불평등 기여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the Elderly to Income Inequa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478 - 488  

신규철 (충청남도사회복지사협회) ,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노년기 경제적 불평등을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에서 지니계수와 10분위 분배율로 노인의 소득불평등 기여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소득의 지니계수는 2007년 0.430, 2018년 0.383으로 점진적으로 불평등이 줄어들고 있었다. 또한,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소득증가율이 높아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소득 불평등은 증가하였고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불평등은 감소하였다. 전체소득에 대한 소득구조의 불평등 기여도 분석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적이전소득의 불평등 완화 역할을 공적이전소득이 대체하고 있었다. 노인의 기초생활유지를 위한 공적이전소득의 확대는 사적이전소득의 구축효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노인 소득원이며, 노인의 소득구조의 구성요소인 시장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은 상호 전체소득을 보완하는 성격이 있어 노인의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데 기여한 소득원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in the contribution of the elderly to income inequality by using the Gini coefficient and the decile distribution ratio from th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from 2007 to 2018 on economic inequality in old age. According to the study, the Gini coefficient of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패널자료의 방대한 노인소득 정보를 소득계층별 소득구조(시장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 이전소득, 전체소득)로 구조화하여 소득수준의 차이와 특성, 불평등 기여도를 시계열로 분석하여 노인의 소득구조별 소득불평등 변화 경향과 불평등 기여도의 시계 열적 변화를 살펴 노년기 삶의 질 제고를 위한 현재의 정책적, 사회․문화적 지지기반을 다지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제언을 통해 앞으로의 노인 소득불평등 해소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ttps://kosis.kr/index/index.do 

  2. OECD, 데이터-빈곤율(https://data.oecd.org/inequality/poverty-rate.htm) 

  3. A.M. O'Rand, "Nine - Stratification and the Life Course: Life Course Capital, Life Course Risks, and Social Inequality,"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Sixth Edition), R.H. Binstock, L.K. George, S.J. Cutler, J. Hendricks and J.H. Schulz, Burlington: Academic Press, pp.145-162, 2006. 

  4. 오혜인, 노인 가구와 비노인 가구의 소비지출 불평등 경향과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 이원진,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학, Vol.64, pp.163-188, 2012. 

  6. 홍석철, 전한경, "인구고령화와 소득불평등의 심화," 韓國經濟의 分析, Vol.19, pp.72-114, 2013. 

  7. 김태완, "노인의 소득 불평등-빈곤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pp.15-30, 2019. 

  8. 김경아, "국내 노인가구의 소득불평등 현황 및 공적연금의 소득불평등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Vol.32, pp.79-107, 2008. 

  9. 황선재, 김정석, "노년기 소득불평등 분해 분석," 韓國社會學, Vol.47, pp.201-226, 2013. 

  10. 이용재,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pp.591-600, 2016. 

  11. 장현주, "공적이전소득의 사적이전소득 구축 효과: 대도시권과 비대도시권 노인가구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Vol.23, pp.359-379, 2019. 

  12. 김진욱, "한국의 소득불평등 변화 요인 분석 -가구주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경제평론, Vol.19, pp.267-293, 2002. 

  13. 반정호, "우리나라 소득불평등 실태와 재분배 정책의 효과," 노동리뷰, Vol.94, pp.62-75, 2013. 

  14. 김대일, 이석배, 황윤제, "가구구성과 소득 불평등," 勞動經濟論集, Vol.37, pp.1-44, 2014. 

  15. 이종철, "한국의 가계소득 불평등과 근로소득의 역할," 經濟發展硏究, Vol.24, pp.35-68, 2018. 

  16. 김지훈, 강욱모, "이전소득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감소효과: 기초연금 도입 전후 비교," 사회과학연구, Vol.31, pp.127-144, 2020. 

  17. 허수정, 박희란, "기초연금 제도 변화에 따른 빈곤감소 및 소득불평등 정도 완화에 대한 효과성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pp.179-200, 2018. 

  18. 석재은, "지속가능한 노인 기본소득보장 위한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개혁방안: 세대 간 불공평 및 세대 내 불평등 개선,"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대회, Vol.2018, pp.73-96, 2018. 

  19. 한국복지패널, https://www.koweps.re.kr, 2020. 08.20. 

  20. 원종욱, "경제위기 이후의 적자가계와 흑자가계의 생활실태," 보건복지포럼, Vol.85, pp.19-3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