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대학교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관한 탐색적 논의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 Commitment of C-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213 - 220  

윤지원 (창신대학교 한국어교육과) ,  이하정 (창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미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재학생들의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19일부터 11월 26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고, 연구대상자는 경남 창원 소재의 C대학교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몰입은 평균 3.30점이었고, 대학생활만족도는 평균 3.62점. 대학풍토는 평균 3.39점, 비교과프로그램만족도는 평균 3.48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대학 몰입은 대학생활만족도, 대학풍토, 비교과프로그램만족도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대상자의 대학 몰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만족도였으며 그 다음으로 비교과프로그램만족도, 대학풍토 순이었다. 이 결과는 대학 몰입이 소속 전공 및 대학생활만족도, 대학풍토, 비교과프로그램만족도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대학생활만족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한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ve the way to promote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of the students enrolled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affects on their institutional commitment.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starting from November 19, 2020 until November 26, 2020 by using online question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대학교 재학생의 대학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남 창원 소재 C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대학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총 220명의 학생들이 응답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한동욱, 강민채, "교육만족도 관점에서 학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3-71, 2016. 

  2. 이은정, 이정훈,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4호, pp.317-330, 2021. 

  3. 홍지인,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의 대학 몰입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 J. P. Bean, "Interaction effects based on class level in an explanatory model of college student dropout syndrom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2, No.1, pp.35-64, 1985. 

  5. J. M. Braxton, J. F. Milem, and A. S. Sullivan, "The influence of active learning on the college student departure proces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1, No.5, pp.569-590, 2000. 

  6. A. F. Cabrera, M. B. Castaneda, A. Nora, and D. Hengstler, "The convergence between two theories of college persistence,"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63, No.2, pp.143-164, 1992. 

  7. A. F. Cabrera, A. Nora, and M. B. Castaneda, "College persistence: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est of an integrated model of student retention,"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64, No.2, pp.123-139, 1993. 

  8. L. Hausmann, J. Schofield, and R. Woods, "Sense of belonging as a predictor of intentions to persist among african american and white first-year college student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48, No.7, pp.803-839, 2007. 

  9. E. T. Pascarella and D. W. Chapman, "A multiinstitutional, path analytic validation of Tinto's model of college withdraw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0, No.1, pp.87-102, 1983. 

  10.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s of student attrition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11. M. A. Titus,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context on student persistence at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A multilevel approach,"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45, No.7, pp.673-699, 2004. 

  12. L. C. Strauss and J. F. Volkwein, "Predictors of student commitment at two-year and four-year institutions,"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5, No.2, pp.203-227, 2004. 

  13. 권도희, '대학생-대학환경 적합성'과 '대학조직 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4. 배상훈, 한송이,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 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53권, 제2호, pp.323-356, 2015. 

  15. 홍지인, 배상훈,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3호, pp.351-379, 2015. 

  16. 최정윤, 신혜숙,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한 대학 몰입의 영향 요인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 분석: Tinto의 대학-학생 상호작용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34권, 제2호, pp.1-22, 2016. 

  17. 전하람,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권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5권, 제4호, pp.37-63, 2017. 

  18. 송영명, 유신복, 김명주, "대학생의 대학 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전공 및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0호, pp.977-995. 2018. 

  19. 서경화, 이상향,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몰입 양태와 대학기관 예측요인 분석," 한국교육, 제47권, 제3호, pp.149-176, 2020. 

  20. 한송이, 대학 몰입(institutional commitment)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환경 특성,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1. 신윤미, 오미자,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대학몰입, 비교과 만족이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205-216,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