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보험을 필요로 하는가? - 보험 인식 및 사회경제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
Who Needs Life Insurance? - Focusing on Recognition of Insurance and Socioeconomic Values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315 - 328  

구혜경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1년 이내 생명보험을 가입한 경험이 있는 25-54세 성인소비자 1,500명을 보험 필요성 인식 수준에 따라 필요성 인식 상위, 중위, 하위의 3개 집단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보험 및 금융에 대한 인식 및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험 및 금융관련 전반적 인식 요인, 보유 보험 개수, 보험 만족도 이외에 사회경제적 가치인식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험 및 금융관련 전반적 인식 요인은 '보험을 전문관리 및 재테크 수단으로 인식', '자기주도적 보험 설계 및 가입', '보험에 대한 경제적 부담 인식'으로 구분되었고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 요인은 '사회경제적 자족감', '워라밸 가치추구', '경제적 가치추구'로 구분되었다. 보험 필요성 인식 상위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필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위집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험을 전문관리 재테크 상품으로 인식하는 것이었으며, 상위집단은 워라밸 가치추구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 집단 모두 자기주도적 보험 설계 및 가입 요인이었다. 향후 보험 가입율 증진을 위해 워라밸 가치 추구를 위해 보험이 필수적인 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교육, 소통해야 하며 소비자들이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정보탐색 여건의 지속적인 개선이 보험시장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dentified 1,500 adult consumers aged 25-54 years with life insurance within the last year as three groups, top, middle and bottom of need recognition,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insurance and finance perception and socioeconomic value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study sought to i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험 필요성의 인식수준에 따라 보험에 대한 전반적 인식 및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보험가입 및 거래실태 등에 대한 전반적 인식 및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대한 척도를 구성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변인을 축소하는 과정을 거쳤다.
  • 본 연구는 어떠한 소비자가 보험을 더 필요로 하는지 그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소비자의 보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그리고 생활 가치관으로서 워라밸 인식과 사회경제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및 만족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소비자의 보험 및 금융 전반에 대한 인식과 사회경제적 가치관 항목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둘째, 보험 필요성 인식 수준에 따라 소비자는 어떻게 유형화되는가? 셋째, 보험 필요성 인식 수준 유형별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보험 인식 특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보험 필요성인식 수준 집단별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 연구문제로 삼았다.
  • 본 연구는 최근 1년 내 보험가입 경험이 있는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보험의 필요성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을 결정짓는 구체적인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에 보험 필요성 파악을 위한 연구들이 인구 통계적 특성이나 소득 수준 등에 초점을 맞춘 것에 비해 사회적 지지나 워라밸 가치추구와 같은 새로운 요인을 고찰하고 영향요인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명보험 가입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보험 필요성 인식 수준에 따라 유형화하고, 보험을 더욱 필요로 하는 소비자 집단의 특성에 사회경제적 가치관이나 보험 인식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고찰한 소비자의 보험가입 특성을 고려할 때, 위험 대비를 위한 보험 가입의 필요성, 금융상품으로서 보험 관리에 대한 인식, 그리고 보험 가입 과정에서 정보탐색이나 설계사 등 가입경로 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척도로 활용 가능한 항목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그 어느 때보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워라밸을 추구하는 소비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 소비자의 보험 및 금융상품 인식 등 보험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요인 이외에 사회적 요소로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과 워라밸 가치 추구가 보험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보험연구원, 2019년 보험소비자설문조사, 보험연구원, 2019. 

  2. 이형석, 김기석,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국내 생명보험산업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3권, 제5호, pp.192-206, 2008 

  3. L. L. Berekson, "Birth order, Anxiety, Affiliation and the Purchase of Life Insurance," J. of Risk and Insurance, Vol.39, No.1, pp.93-108, 1972. 

  4. J. J. Burnett and B. A. Palmer, "Examining Life Insurance Ownership through Demographic and Psychographic Characteristics," J. of Risk and Insurance, Vol.51, No.3, pp.453-467, 1984. 

  5. M. J. Browne and K. Kim, "An International Analysis of Life Insurance Demand," J. of Risk and Insurance, Vol.60, No.4, pp.616-634, 1993. 

  6. 류건식, 이경희, "생명보험상품에 대한 소비자구매성향분석," 보험학회지, 제58권, pp.199-224, 2001. 

  7. E. N. Zietz, "An Examination of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Review, Vol.6, No.2, pp.159-191, 2003. 

  8. 민경선,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77-388, 2018. 

  9. 박정현, 워라밸 (Work and Life Balance) 정착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0. 김은경, "보험계약법과 보험소비자 문제," 기업법연구, 제22권, 제4호, pp.489-521, 2008. 

  11. 나종연, 구혜경, 김효정, 이진명, 이해랑, 이화옥, "금융소비자의 정보탐색 유형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4권, 제4호, pp.99-124, 2013. 

  12. 구혜경, "생명보험소비자의 금융인식 유형별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9권, 제4호, pp.605-616, 2018. 

  13. 쿠키뉴스, 2021. 3. 23, "보험, 2030세대에게 가장 따뜻한 재테크," 김동운 기자,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103230162, 2021. 5. 5. 

  14. H. Yun,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제30권, 제2호, pp.99-128, 2008. 

  15. 백인립, 변성수, 박현수, "사회적 취약계층의 민간의료보험 가입과 가입자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31권, 제1호, pp.127-151, 2012. 

  16. 유창훈, 강성욱, 권영대, "민간의료보험 시장 규모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2호, pp.165-177, 2012. 

  17. 매일경제, 2020. 12. 4 "보장에서 재테크까지, 보험 가입의 주요 혜택-저축성보험 비과세, 보험료 세액공제도 쏠쏠,"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2/1247756/, 2020. 5. 5. 

  18. 김태완, 정석용, 황규진, "저축성 보험에 대한 조세정책과 개선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7호, pp.59-66, 2013. 

  19. 장연주, 최현자, "보험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별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6권, 제5호, pp.125-152, 2015. 

  20. 이현진, 조혜진, 최현자, "보험이해력과 자기결정성이 생명보험 소비자의 후회감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25권, 제5호, pp.189-213, 2014. 

  21. 김민정, 구혜경, "텔레마케팅(TM) 보험판매자의 금융소비자보호 역량 강화 평가 - 금융소비자보호 교육수료자를 중심으로,"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12권, 제1호, pp.1-29, 2019. 

  22. 조선일보, 2021. 3 14 "종신, 암, 연금보험, 섣불리 갈아타면 후회합니다-보험리모델링 광고주의보," https://www.chosun.com/economy/stock-finance/2021/03/14/4ACK35JEWVES5KCY2C4RPD5HBE/, 2021. 5. 5. 

  23. 연합뉴스, 2021. 3, 14. "홈쇼핑, 광고 '보험 리모델링' 주의보-조건 불리해질수도," https://www.yna.co.kr/view/AKR20210313058900002?input1195m, 2021. 5. 5. 

  24. 박창제a,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275-297, 2008. 

  25. 박창제b, "연령별 재무적 노후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4권, 제4호, pp.139-166, 2008. 

  26. 정순둘, 성민현,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249-272, 2012. 

  27.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53-261, 2013. 

  28. 정순희, 신민경,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험자산보유율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4권, 제4호, pp.1-20, 2011. 

  29. 유용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738-747, 2013. 

  30. 김정희, 박지영,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210-222, 2015. 

  31. N. M. Bradbur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 al well-being, 1969, https://www.norc.org/PDFs/publications/BradburnN_Struc_Psych_Well_Being.pdfm, 2021. 5. 5. 

  32. 이갑숙,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33. 배지연, 김원형, 윤경아,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 제25권, pp.59-73, 2005. 

  34. 김옥수, 백성희,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지지, 가족 기능간의 관계 연구,"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33권, 제3호, pp.425-432, 2003. 

  35. 이신숙, 이경주,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20, 2002. 

  36. 김혜경, 김지혜, "노인의 노후준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및 죽음불안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449-457, 2020. 

  37. 이재완, 강혜진,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2권, 제3호, pp.267-291, 2018. 

  38. 이은환, 김욱, "경기도민 삶의 질 IV: 웰빙 (삶의 질, 워라밸, 건강수준)," 이슈 & 진단, 제348호, pp.1-22, 2018. 

  39. 김혜연, 김시월, "보험에 대한 소비자지식 및 태도가 보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소비자의 성격유형 차이를 중심으로,"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9권, 제4호, pp.21-47, 2016. 

  40. 김현민, 박찬욱, 양효붕, "보험소비자의 구매성향이 보험유통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11권, 제2호, pp.67-95,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