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시설 공급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인·아동·장애인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pply Status and Methods of Improvement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Focused on the Senior·Child·Disabled Welf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337 - 355  

최병소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화 및 저출산 등의 인구통계학적인 변화와 산업구조와 주거환경의 변화는 기존 도시개발 정책의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정부는 국가도시재생 정책에 생활 SOC 확충 계획을 포함시켜 국민들의 윤택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생활 SOC의 주요 중점과제에는 아동 및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 인프라 구축이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최근 복지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Q(입지계수)를 이용하여 전국 17 개 시·도의 노인·아동·장애인 복지시설 공급 현황을 분석 하였고, 지역별 공급 불균형의 원인을 도출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각각의 복지시설은 지역별로 편중화가 심하였고, 특히 접근성에 있어서는 대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재정은 일부 도시와 지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도시와 지방이 유사했으나, 생활수준이 매우 높은 도시의 경우에는 충분한 시설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법으로는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지시설의 복합화, 시·도별 생활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복지재정의 조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지시설에 대한 수요와 이용자 유형을 고려한 공급 방식의 차별화를 제언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mographic changes such as an aging and low fertility, as well as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vealed the limitations of urban development policie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ensure a prosperous life for the people by including the plan to ex...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회복지시설 중 노인·아동·장애인 복지시설의 공급 및 분포를 다룰 예정이며, 이에 관한 선행문헌들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의 사회복지시설공급현황을 살펴보고, 지역별 복지시설 분포의 불균형원인을 분석한 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의 지역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의 노인·아동·장애인 복지시설의 공급량 및 대상자 수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구형수, 이다예, 박정은, 지역밀착형 생활SOC의 전략적 공급.활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9. 

  2. 정정환, "인천광역시 사회복지행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인천시민자원봉사회 연구논문, 제5집. 2002. 

  3. W. Boehm, Objectives of the social work curriculum of the future(Vol. 1), New York: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1959. 

  4. A. Pincus and A. Minahan, Social Work Practice: Model and Method,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3. 

  5. 엄미선, 백은형, 양숙미, 한주빈, 사회복지시설 운영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6. 김문동, 장애인복지시설 서비스 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 표갑수, 사회복지개론, 서울: 나남출판, 2007. 

  8. 이영희, 사회복지 행정론, 서울: 세영문화사, 1996. 

  9. Y. Hasenfeld, Theoretical approaches to perspectives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in Y. Hasenfeld(Ed), Human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s(Newbury Park, CA: Sage), 24-25, 1992. 

  10. 백재영, 사회복지생활시설의 조직유효성 척도 개발,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2020. 

  12. 한경혜, 사회복지시설에서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3. 김민곤, 천지은, 박지형, "군 관련 시설의 입지는 지역경졔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 경제기반이론과 내.외생적 성장이론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63권, 제1호, pp.205-239, 2020. 

  14. R. E. Klosterman, Community analysis and planning techniques, Rowman & Little field Publishers, pp.134-139, 1990. 

  15. 김연희, "우리나라 복지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지역 간 노인복지시설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5권, 제3호, pp.189-216, 2013. 

  16. 김경호, "노인복지시설의 지리적 분포현황 분석: 노인복지 생활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4권, 제4호, pp.19-38, 2004. 

  17. 마세인, 김홍순,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70권, pp.61-75, 2011. 

  18. 최효미, 이정원, 김진미, "어린이집.유치원 인프라 격차에 따른 지역 유형화 연구," 연구보고, 육아정책연구소, 2015. 

  19. 김은정, "보육시설의 지역별 공급 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pp.59-67, 2014. 

  20. 김정현, 김가희, "지역복지 자원의 현황과 과제: 사회 복지 이용시설 분포의 영향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7권, 제4호, pp.1-23, 2015. 

  21. 이용재, "지역복지환경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지역 분포 불평등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75-84, 2018. 

  22.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지역별 노인복지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윈 연구보고서, 2003. 

  23. 이희선, 이동영, "사회복지비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학회보, 제8권, 제2호, pp.152-173, 2004. 

  24. 석재은, "공급자 관점에서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pp.34-4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