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이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별 이슈를 통한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Local Community Food Issue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cusing on Social Big Data through Regional Issu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546 - 558  

최홍규 (EBS 정책기획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살펴보았으며, 온라인 공간에서 생산된 소셜 빅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된 후 지역별 홈페이지와 온라인 커뮤니티인 카페에서 확산한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분석했다. 다음으로는 언론 뉴스, SNS, 포털 등에서 확산하는 먹을거리 관련 이슈의 내용을 살펴봤다. 그 결과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비해 여타 지역 홈페이지에 먹을거리 관련 게시물이 더 많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등록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먹을거리 관련 이슈가 더 많았다. 지역별 온라인 커뮤니티의 먹을거리 관련 키워드는 지역사회 경제와 관련한 내용을 주로 포함하고 있었다. 언론 기사, SNS, 검색포털 이슈에는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정책, 정보, 상품 등의 소비과정에서 논의될 수 있는 내용이 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단위로 특화한 정보 공유체계는 발견되지 않고, 온라인 커뮤니티가 현실적인 먹을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지역별 먹을거리 정책의 성과검증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social big data produced in the online space, dealing with issues related to food in the community in the context of COVID-19. First, this study analyzed food-related issues that spread through regional websites and online community(cafes) after social...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부각한 먹을거리 관련 이슈의 실체와 그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살펴보며, 온라인 공간에서 생산된 소셜 빅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상황에서의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이슈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지역별 광역자치단체 중 17개 시도 홈페이지, 지역사회별 온라인 커뮤니티(카페), 언론 기사, SNS, 포털 검색 결과에서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했고 분석결과를 통해 몇 가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ttp://www.globalbigdata.re.kr/news/articleView.html?idxno144, 2021.7.1. 

  2. 박광숙, 김영화, 염한솔, 황인섭, 권재우, 김미영, 박영준, 박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6개월 발생보고서(2020.7.19. 기준)," 주간 건강과 질병, 제13권, 제30호, pp.2186-2198, 2020. 

  3. http://www.kdca.go.kr/gallery.es?mida20503020000&bid0003&b_list9&actview&list_no144734&nPage1&vlist_no_npage1&keyField&keyWord&orderby, 2021.7.1. 

  4. 이은이,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블루," 코로나19 과학 리포트, 제11권, 2020. 

  5. G. Bello-Orgaz, J. J. Jung, and D. Camacho, "Social big data: Recent achievements and new challenges," Information Fusion, Vol.28, pp.45-59, 2016. 

  6. 최홍규,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디어 분석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7. F. N. Kerlinger and H. B. Lee,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4th ed.), Harcourt College Publishers, 2000. 

  8. H. F. Hsieh and S. 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5, No.9, pp.1277-1288, 2005. 

  9. 정용찬, "코로나, 미디어 지형을 바꾸다," KISDI STAT Report, 제21권, 제8호, pp.1-11, 2021. 

  10. 윤병선, 송원규, "푸드플랜 관점에서 본 서울시의 공공급식정책에 관한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31권, 제3호, pp.1135-1159, 2018. 

  11. 이해진, "먹거리 커먼즈와 청주시 지역먹거리정책의 방향,"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23권, 제1호, pp.107-156, 2019. 

  12. 주상현, "로컬푸드 성공요인 분석과 정책적 함의,"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3호, pp291-315, 2015. 

  13. 김종덕, "참먹거리에 대한 지역사회접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제15권, 제4호, pp.165-175, 2004. 

  14. 김흥주, "학교급식운동을 통한 지역먹거리체계 구축방안: 전남 나주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제19권, 제2호, pp.63-92, 2009. 

  15. 윤병선, 김철규, 송원규, "한국과 일본의 지역먹거리 운동 비교: 생협, 농민시장, 꾸러미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제23권, 제1호, pp.49-86, 2013. 

  16. 김종남, 구혜경, "대전.충청지역 소비자의 로컬푸드인식 유형에 따른 구매행태와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제31권, 제3호, pp.469-473, 2020. 

  17. 박기홍, 이보순, 김성훈, "음식문화축제 먹거리장터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완주와일드푸드축제의 로컬푸드 먹거리장터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 제24권, 제5호, pp.20-28, 2018. 

  18. 김호식, "대학생들의 전통시작 먹거리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8권, 제11호, pp.63-82, 2018 

  19. G. A. Hillery,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20, pp.111-123, 1955. 

  20. https://www.bigkinds.or.kr 

  21. https://some.co.kr 

  22. https://trends.google.co.kr/trends/?geoKR 

  2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 68816&cid67725&categoryId67725, 2021.7.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