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eoMapApp 자료를 이용한 화산과 지진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공간 능력에 따른 공간적 사고의 발현 양상
Structuring of Elementary Students' Spatial Thinking with Spatial Ability in Learning of Volcanoes and Earthquakes Using GeoMapApp-Based Material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0 no.3, 2021년, pp.390 - 406  

송동혁 (서울대왕초등학교) ,  맹승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화산과 지진 단원의 수업에 GeoMapApp을 활용한 학습 자료를 적용하고, 공간 능력이 서로 다른 초등학생들이 인지한 공간 개념, 표현한 공간적 표상의 도구, 지형 구조를 표현하는 데 적용한 공간적 추론을 추출하여 공간적 사고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공간 능력 상위 집단 학생들은 인지한 공간 개념 정보를 수평 거리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화산과 지진의 지형 구조에 관한 심리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내적 공간 표상을 활용하거나, 인식한 공간 개념을 그대로 연결하는 공간적 추론의 사례를 보였다. 또한, 지진 자료를 보고 공간 개념을 변형하여 공간적 추론을 수행하는 예도 있었다. 공간 능력 하위 집단 학생들은 공간 개념을 직접 지형 구조로 연결하는 공간적 추론을 보이거나, 공간 개념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지형을 파악하는 공간적 추론 사례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학생들이 GeoMapApp 자료에서 거리, 높이, 깊이와 같은 공간 개념을 정확히 인식해야 더 나은 공간적 사고를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tudents with different spatial ability constructed spatial thinking process about on volcanoes and earthquakes with GeoMapApp-based materials. Students' spatial thinking process was analyzed in terms of spatial concept recognized, tools of spatial representati...

주제어

표/그림 (29)

참고문헌 (18)

  1. 마경묵(2010). 지리과 교실수업 평가에서의 공간적 사고의 평가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맹승호, 이기영(2015). 판구조론의 학습발달과정 개발을 위한 지구적 인지과정 평가의 횡단적 문항 반응 분석: Rasch 모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1), 37-52. 

  3. 박재용, 이기영(2015). 지질 전개도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지질 공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6(3), 280-299. 

  4. 송동혁, 맹승호(2019).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사고와 시각화 능력 함양을 위한 GeoMapApp 활용 화산 단원 수업 및 평가의 사례. 초등과학교육, 38(1), 116-129. 

  5. 이기영(2013).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야외답사의 활용이 중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 개념 이해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62-172. 

  6. 이효녕, 조현준, 박미란(2012).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른 10학년 학생들의 판 운동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3(4), 360-375. 

  7. Black, A. A. (2005).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402-414. 

  8. Bodzin, A. M., Anastasio, D., Sharif, R., & Rutzmoser, S. (2016). Using a web GIS plate tectonics simulation to promote geospatial think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4(4), 279-291. 

  9. Giorgis, S. (2015). Google earth mapping exercises for structural geology students-A promi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penetrative visualization ability.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3(2), 140-146. 

  10. Grossner, K. (2012). Finding the spatial in order to teach it. In K. A. Kastens, & C. A. Manduca (Eds.), Earth and mind II: A synthesis of research on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geosciences (pp. 87-89)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1. Kali, Y., & Orion, N. (1996). Spatial abilities of highschool students in the perception of geologic structur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4), 369-391. 

  12. Linn, M. C., & Petersen, A. C. (1985).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56(6), 1479-1498. 

  13. Michel, E., & Hof, A. (2013). Promoting spatial thinking and learning with mobile field trips and eGeo-Riddles. In T. Jekel, A. Car, J. Strobl, & G. Griesebner (Eds.), GI_Forum 2013: Creating the GISociety (pp. 378-387). Wichmann Verlag.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6). Learning to think spatiall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5.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16. Ryan, W. B. F., Carbotte, S. M., Coplan, J. O., O'Hara, S., Melkonian, A., Arko, R., Weissel, R. A., Ferrini, V., Goodwillie, A., Nitsche, F., Bonczkowski, J., & Zemsky, R. (2009). Global multi-resolution topography synthesis.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 10, Q03014. 

  17. Titus, S., & Horsman, E. (2009). Characterizing and improving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7(4), 242-254. 

  18. Tversky, B. (2005). Visuospatial reasoning. In K. J. Holoyoak & R. G. Morrison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thinking and reasoning (pp. 209-241).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