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외향성-내향성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 -방과 후 학교 참여자 중심으로-
Difference in Self-Directed Abilit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traversion-Introversion Personality Type -Based on After-School Lectur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9, 2021년, pp.67 - 73  

조명기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과정부) ,  정선리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창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서도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자발적으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전남지역 12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외향성과 내향성 성격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외향성과 내향성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초등학생들이 피동적인 학습 참여 상황의 의무감에서 벗어났을 때 내향성의 학생들도 자신에게 적합한 학습 방법을 개척하고 개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learners occur in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personality types was analyzed for 12 el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8)

  1. M. U. Lee. (2021).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Related to Online Clas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7), 441-449. DOI : 10.14400/JDC.2021.19.7.441 

  2. H. S. Oh. (2017).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11-321. DOI : 10.14400/JDC.2017.15.8.311 

  3. S. J. Woo. (2016). Difference in Self-Directed Ability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MTIC Personality Type. Master's thesis. Gongju National Education University, Gongju. 

  4. I. B. Myers & M. H. McCaulley. (2009). Manu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Seoul : Assesta. 

  5. W. Mischel.. (1981). Introduction to personality (3rd ed.). New York: Holt. R & W. 

  6. P. Bordia. (1997). Face-to face vers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synthesis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The journal of business, 34(1), 99-120. 

  7. D. H. Jonassen. & B. Grabowski.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L. M. Guglielmino.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University, Georgia. 

  9. K. S. Jeong. (1999). Difference in Elementary Student's Type of Personality Self - Efficacy , Mental Health and Leisure Activity through MMTIC. The journal of Psychological Type & Human Development, 6(1), 121-147. 

  10. M. Y. Kim. & J. H. Lee. & W. S. Cho. (2006). A Study on the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and Psychological Types in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1(2), 332-349. 

  11. Edulabkorea. (2019). Edulabkorea(online). https://www.edulabkorea.com 

  12. Guglie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3. J. Y. Park. & W. S. Park.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s Research, 29(3), 95-124. 

  14. S. Kang. & J. H. Shin. (2013). The Effects of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hildcare Support, 9(1), 201-220. 

  15. H. J. Oh. (2001).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Division of Design Kwangju University, Kwangju 

  16. Yudeung Elenentary School(2011). Through brain-based learning training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http://www.jbedu.kr 

  17. J. J. Jeong(2003). Seoul : Hakjis 

  18. P. S. Kim, S. W. Choi, H. G. Kang, K. T. Jeon & M. K. Jhun. (2017). Development of a Blended-learning based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asurement Scale for You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1-11. DOI : 10.14400/JDC.2017.15.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