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공에 따른 케어 로봇에 대한 인식,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보건계열 및 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care robots, digital literacy and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major -in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engineering- 원문보기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v.7 no.3, 2021년, pp.47 - 54  

이도영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윤상석 (신라대학교 융합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형명의 의료 삶의 질을 향상시켜줄 케어로봇에 대하여 미래 의료 산업 발전을 주도할 보건전공 대학생과 공학전공 대학생의 케어로봇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케어로봇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은 케어로봇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 경험이 두 군 모두 미흡하였다. 더욱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경우 케어로봇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공학계열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낮았으며, 수강 요구도 또한 낮았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공감능력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영역인 행동적 공감에서 관계형성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4차 산업에 따른 의료 분야의 교육의 다학제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공에 따른 학습자들을 위한 이해와 준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care robots which would enhance the medical quality of life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engineering who would lead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medical industry and to find out the differ...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1)

  1. K.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NY: Crown Business. 2016. 

  2. World Economic Forum(Eds),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Geneva. 2015. 

  3.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Geneva. 2016. 

  4. Y.H.Ka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rec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key competenc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pp.1305-1324, 2018. 

  5. T.J.Sung. "Suggestions for the human character and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55, No.2, pp.1-2, 2017. 

  6. D.Y.Lee, J.H.Bae,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subject choice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life for improving core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cience & Technology, Vol.29, No.4s, pp.247-254, 2020. 

  7. H.M.Choi, "Development of university convergence major standards to promote key competencies," [Ph.D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9. 

  8. S.W.Bea et. al.,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inter disciplinary major curriculum," Korea Research Foundation, Seoul, 2003. 

  9. H.M.Choi,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walker's naturalistic model to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development," Holistic Education, Vol.24, No.4, pp.149-168, 2020. 

  10. Y.Eshet-Alkali, Y.Amichai-Hamburger, "Experiments in digital literacy,"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7, Vol.4, pp.421-429, 2004. 

  11. Y.Eshet-Alkalai, Digital literacy: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rvival skills in the digital era.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Vol.13, No.1, pp.93-106. 2004. 

  12. C.D.Batson, "These things called empathy: Eight related but distinct phenomena," In J. Decety & W. Ickes (Eds.),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Cambridge, MA: MIT Press. 2009. 

  13. S.Baron-Cohen, S.Wheelwright, "The empathy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 functioning autism, and norm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34,No.2, pp.163-175. 2004. 

  14. J. H.Bae, D.Y.Lee, "The study of systemic method to achieve learning performance - The case of core competencies of C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Creativity and Change, Vol.7, No.3, pp.116-229, 2019. 

  15. J.W.Park, M.Y.Kim, "A comparison study of e-health literacy and self-care agency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on-health department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3, No.4, pp.439-44, 2017. 

  16. F.Faul, E.Erdfelder, A.Lang, A.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al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17. E.M.Hong, S.J.Shin, "Nurses' perceptions of care robots in long-term care facilitie," J Korean Gerontol Nurs, Vol.21, No.1, pp.22-32, 2019. 

  18. M.S.Kong, "A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of feasibilities of using silver care robots in the field of elderly care facilities,"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21. 

  19. S.H.Kwon, S.H.Hyun,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of middle-aged people in online learning,"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Vol.8, No.1, pp.120-140, 2014. 

  20. S.Y.Sin, S.H.Lee,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a measure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7, pp.749-768, 2019. 

  21. S.H.Hur, Y.J.Nam, S.K.Na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mpathy capability scal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Technology Convergence Society, Vol.9, No.2, pp.109-116,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