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꼰대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kondae Sca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9, 2021년, pp.164 - 175  

이지연 (한국외국어대학교) ,  고동우 (한국외국어대학교) ,  최경찬 (한국외국어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꼰대척도를 개발하고, 그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면담과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을 통해 꼰대의 3가지 구성 개념(귀인 오류, 인지적 경직성, 일방적 소통)을 도출하고 15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평정을 거치며 각 구성개념에 부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여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성인 250 여명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요인 구조 모델이 도출 되었고, 성인 401 여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렴 및 변별타당도 분석 결과, 개발된 척도가 경청태도, 공감, 타인 수용, 지적겸손과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어 꼰대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kondae Scale' and verify its validity. For this purpose, three constructive concepts (attribution error, cognitive rigidity, and one-way communication) were derived through expert interviews,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and 15 preliminary qu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꼰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제안 및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 다방면에서 이론적 통일성과 다양한 사람들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BC worklife 101 뉴스 아티클, https://www.bbc.com/worklife/article/20190718-kkondae 

  2. JTBC 비하인드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2H5Hze1WikA 

  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홈페이지, https://stdict.korean.go.kr/7 

  4. 남보람, "꼰대와 인지부조화," 국방과 기술, Vol.495, pp.138-139, 2020. 

  5. 아거, "꼰대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새가정, Vol.67, pp.9-14, 2020. 

  6. 민웅기, "'꼰대문화'에 내재된 갈등관계의 특성과 문화 교류의 필요성-공존문화의 선순환구조를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 문화교류연구), Vol.8, No.2, pp.219-244, 2019. 

  7. 서준석, 유승재, 박다영, "꼰대주의 선향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8. 경기신문 홈페이지, 뉴스아티클,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08265 

  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선 홈페이지, https://stdict.korean.go.kr/7 

  10. 김성준, 이중학, 채충일, "꼰대, 한국기업 조직문화 차원의 탐구,"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Vol.45, No.2, pp.1-35, 2021. 

  11. S. P. Schiein and B. G. Guerne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12.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9. 

  13. B. Malle, "Fritz Heider's legacy: celebrated insights, many of them misunderstood," Social Psychology, Vol.39, pp.163-173, 2008. 

  14. G. A. Quattrone, "Behavioral consequences of attributional bias," Social Cognition, Vol.1, No.2, pp.358-378, 1982. 

  15. 이수남, 신현정, 이동훈, 김비아, "자기위주 귀인편향에 있어서 정서의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pp.1-30, 2016. 

  16. B. Gawronski, "Theory-based bias correction in dispositional inference: The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is dead, long live the correspondence bias,"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Vol.15, No.2, pp.183-217, 2004. 

  17. E. E. Jones and K. E. Davis, "From acts to dispositions the attribution process in person perception,"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 pp.219-266, 1965. 

  18. L. E. Duncan and B. E. Peterson, "Authoritarianism, Congitive Rigidity, and the Processiong of Ambiguous Visual Inform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54, pp.480-490, 2014. 

  19. M. M. Martin and R. B. Rubin,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Vol.59, pp.171-178, 1997. 

  20. J. P. Dennis and J. S. Vander Wal,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4, pp.241-253, 2010. 

  21. 김희영, 정봉교, "노년기 신체건강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전대처의 매개효과와 삶의 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Vol.33, No.4, 43-62, 2018. 

  22. J. L. Martin,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50years later: What questions are there for political psychology?," Political Psychology No.22, Vol.1, pp.1-26, 2001. 

  23. E. B. Palmore, L. Branch, and D. Harris, Encyclopedia of ageism, Routledge, 2005. 

  24. G. Simon, "Understanding rationalization: Making excuses as an effective manipulation tactic," Counseling Resource, 2009. 

  25. 이상훈, 류춘렬, "외식업 종사자의 소통에 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의 인식과 소통만족에 관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pp.88-100, 2020. 

  26. M. H. Lewis and N. Lamar, "Listening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25, pp.49-67, 1988. 

  27. 박미정, 오두남,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pp.423-434, 2017. 

  28. G. D. Bodie, S. C. Kellie, P. Michelle, R. Michael, and H. James, "Listening competence ininitial interactions I: Distinguishing between what listening is and what listeners do," International Journal of Listening, Vol.26 pp.1-28, 2012. 

  29. R. L. Street, M. Gregory, K. A. Neeraj, and K. A. Ronald, "How does communication heal? Pathways linking clinician-patient communication to health outcomes," Patient Educationand Counseling, Vol.74, pp.295-301, 2009. 

  30. R. N. Spreng, M. C. McKinnon, R. A. Mar, and B. Levine,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factor-analytic solution to multiple empathy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1, pp.62-71, 2009. 

  31. S. D. Preston and Frans de Waal, The communication of emotions and the possibility of empathy in animals, In: Altruistic love: Science, philosophy, andreligion in dialogue, ed. S. Post, L. G. Underwood, J. P. Schloss & W. B.Hurlbur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2. N. Mishima, S. Kubota, and S. Nagata,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 attitude of active listen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Vol.42, No.3, pp.111-118, 2000. 

  33. R. N. Spreng, M. C. McKinnon, R. A. Mar, and B. Levine,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factor-analytic solution to multiple empathy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1, pp.62-71, 2009. 

  34. 김환, 한수미, "한국판 토론토 공감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5, No.4, pp.809-821, 2016. 

  35. R. A. Baer, G. T. Smith, and K. B. Allen, "Assessment of mindfulness by self-report: The 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 Assessment, Vol.11, No.3, 2004. 

  36. M. C. Ashton and K. B. Le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39, No.2. pp.329-358, 2004. 

  37. D. Russell, L. A. Peplau, and M. L. Ferguson,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2, Nol.3, pp.290-294, 1978. 

  38. D. W. Russell, "UCLA Loneliness Scale (Version 3):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66, No.1, pp.20-40, 1996. 

  39.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197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