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정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uthenticity Scale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32 no.3, 2021년, pp.141 - 167  

김영준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영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이흥철 (엔아이리서치) ,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정성은 철학에서 위선이나 기만적인 삶의 반대 개념이다. 진정성에 기초해 인간이 삶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긍정적 요인들이 해외에서는 연구되어 온 반면, 진정성 측정을 시도한 국내 연구들은 대부분 한국 문화의 특징들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특정 분야의 사용 목적으로만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연구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정성 척도를 개발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진정성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들과 사회적 관계를 중요시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문항들을 통합했다.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진정성은 자기 인식, 행동 진정성, 관계 진정성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삶의 만족도,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HEXACO, 사회적 바람직성, 자기조절초점, 정서다양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진정성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라는 것을 의미하였고, 일상에서의 진정성에 대한 경험적 개인차 연구에 중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thenticity is the opposite of hypocrisy or deceitful living in philosophy. While various positive factors that humans experience in life based on authenticity have been studied abroad, most of the studies in Korea that tried to measure authenticity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

주제어

참고문헌 (52)

  1. 고유경, 유소영 (2017).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 감정성향, 실습지에서 지각한 약자괴롭힘이 전공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4), 2219-2231. 

  2. 권선중, 김교헌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척도 (K-MA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269-287. 

  3. 김세나, 표두미, 이지선, 이준기, 민준호, 신강현, 김경일 (2015). 한국판 조절초점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3), 85-110. 

  4. 김영준, 김경일 (2018). 정서의 다양성과 강도가 동적 의사결정, 심리적 유연성,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3), 1455-1472. 

  5. 김용석 (2010).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의 타당화 및 적용. 사회복지연구, 49(3), 87-114. 

  6.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4), 1-36. 

  7. 백선숙, 조혜영 (2017). 대학생의 공감과 불안,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5), 2841-2852. 

  8. 송지준 (2013).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nd edition (pp 387-402), 21세기사: 파주. 

  9. 이향숙 (2009). 진실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전병제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9-129. 

  1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1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13. 홍정순 (2015a). 진정성 구성 개념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인간 연구, 30, 109-141. 

  14. 홍정순 (2015b). 진정성 척도 개발 및 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동맹간의 관계 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홍정순 (2017). 진정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29-158. 

  1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17. Ashton, M. C., & Lee, K. (2009). The HEXACO-60: A short measure of the major dimensions of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 340-345. 

  18. Barrett-Lennard, G. T. (1998). Carl Rogers' helping system: Journey and substance. London: Sage. 

  19. Barrett, L. F. & Gross, J. J.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 process model of emotion representation and regulation. In T. J. Mayne G. A. Bonanno (Ed.), Emotions and Social Behavior. Emotions: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pp.286-310). New York, NY, US: Guilford Press. 

  20.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e. Psychological Bulletin, 117(3), 497-529. 

  21.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22.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36-162. 

  23. Ciarrochi, J., Caputi, P., Mayer, J. D. (2003). The distinctiveness and utility of a measure of trait emotional aware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8), 1477-1490. 

  24.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25. Feldman Barrett, L., Cleveland, J., Conner, T., & Williams, N. L. (2000). Manual for The Defensive Verbal Behavior Ratings Scale (version 3.0). Unpublished manuscript, Boston College. 

  26. Fleeson, W., & Wilt, J. (2010). The Relevance of Big Five Trait Content in Behavior to Subjective Authenticity: Do High Levels of Within-Person Behavioral Variability Undermine or Enable Authenticity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78(4), 1353-1382. 

  27.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28. Gardner, W. L., Gabriel, S., & Lee, A. Y. (1999). "I" value freedom, but "we" value relationships: Self-construal priming mirrors cultural differences in judgment. Psychological Science, 10(4), 321-326. 

  29.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ition. (pp. 776-779) Pearson Prentice Hall. New Jersey. 

  30. Harter, S., Waters, P. L., Pettit, L., Whitesell, N. R., Kofkin, J., & Jordan, J. V. (1997). Autonomy and connectedness as dimensions of relationship styles in adult men and wome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4(2), 147-164. 

  31. Higgins, E. T. (1989). Self-discrepancy theory: What patterns of self-beliefs cause people to suffer.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2, 93-136. 

  32. Higgins, E. T. (1997). Beyond pleasure and pain. American Psychologist, 52(12), 1280-1300. 

  33.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1-46. 

  34. Higgins, E. T., Friedman, R. S., Harlow, R. E., Idson, L. C., Ayduk, O. N., & Taylor, A. (2001). chievement orientations from subjective histories of success: Promotion pride versus prevention pride.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1(1), 3-23. 

  35.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acorte. 

  36. Kernis, M. H., & Goldman, B. M. (2006). A multi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authenticity: Research and theory.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8, pp. 284-357).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7. Knoll, M., Meyer, B., Kroemer, N. B., & Schroder-Abe, M. (2015). It Takes Two to Be Yourself: An Integrated Model of Authenticity, its Measurement, and its Relationship to Work-Related Variables.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36(1), 38-53. 

  38. Lakey, C. D., Kernis, M. H., Heppner, W. L., & Lance, C. E. (2008). Individual differences in authenticity and mindfulness as predictors of verbal defensivenes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1), 230-238. 

  39. Maltby, J., Wood, A. M., Day, L., & Pinto, D. (2012). The position of authenticity within extant models of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3), 269-273. 

  40.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41. May, R. (1981). Freedom and Destiny. New York: Basic Books. 

  42. Philippot, P., Schaefer, A., Herbette, G. (2003). Consequences of specific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Impact of general versus specific autobiographical memory priming on emotion elicitation, Emotion, 3(3), 270-283. 

  43. Quoidbach, J., Gruber, J., Mikolajczak, M., Kogan, A., Kotsou, I., Norton, M. I. (2014). Emodiversity and the emotional ecosystem,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43(6), 2057-2066. 

  4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5. Rubin, A. & Babbie, E.(2008).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6th ed). Belmont, CA: Wadsworth. 

  46. Schermelleh-Engel, K., Moosbrugger, H., & Muller, H. (2003). Evaluating the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Tests of significance and descriptive goodness-of-fit measures. Method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line, 8(2), 23-74. 

  47. Schweder, R.A., & Bourne, L. (1984). Does the concept of the person vary cross-culturally? In R.A. Schweder & R.A. Levine (Eds.), Culture Theory: Essays on Mind, Self, and Emotion (pp. 158-19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Schutte, N. S., Malouff, J. M., Thorsteinsson, E. B., Bhullar, N., Rooke, S. E. (2007).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6), 921-933. 

  49. Triandis, H. C. (1989). The self and social behavior in differing cultural contexts. Psychological Review, 96, 506-520. 

  50. Wood, A. M., Linley, P. A., Maltby, J., Baliousis, M., & Joseph, S.(2008). The authentic personality: A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Authenticity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5(3), 385-399. 

  51. Worthington, R. L., & Whittaker, T. A. (2006). Scale development research a content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4, 806-838. 

  52. Yalom, I. D. (1980).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