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식물상에 새로이 추가되는 벼과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 여름개밀
Two unrecorded Elymus taxa (Poaceae) newly added to Korean flora: E. humidus and E. shandongensi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51 no.3, 2021년, pp.294 - 304  

최승세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  김종환 (성호그린테크) ,  박유철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팀) ,  김철환 ((사)생태계조사평가협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갯보리속은 개밀속과 혼돈하여 사용하여 온 바, 형태적으로 갯보리속의 범주 및 특성을 재검토하였고, 이때까지 한반도 식물상에 기록된 바 없는 갯보리속의 2개 미기록 분류군, 둔치개밀과 여름개밀을 각각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보고하였다. 둔치개밀은 강가 주변의 생육지, 항상 곧추서는 꽃차례, 화서에 밀착된 소수, 지상부 아래쪽 마디에서 새로운 개체를 무성적으로 증식하는 점에서 다른 분류군과 구별되고, 여름개밀은 개밀과 비슷하지만 개화시기가 여름철이고, 옆으로 약간 휘는 꽃차례, 포령의 맥수, 화서에 밀착된 소수와 같은 특징에 의해 구별되었다. 한국산 두 미기록 분류군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근연 분류군간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at the Korean genus Elymus L. (Poaceae) is often confused with Agropyron Gaertn., the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Elymus s.l. have been reviewed morphologically. Two unrecorded taxa of Elymus, E. humidus (Ohwi & Sakam.) T. Osada and E. shandongensis B. Salomon, not previously recorded ...

주제어

참고문헌 (22)

  1. Barkworth, M. E., J. J. N. Campbell and B. Salomon. 2007. Elymus. In Flora of North America, Vol. 24. Magnoliophyta: Commelinidae (in Part): Poaceae, Part 1. Barkworth, M. E., K. M. C. Capels, S. Long, L. K. Anderton and M. B. Piep (e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288-343. 

  2. Cabi, E. 2010. Taxonomic revision of the tribe Triticeae Dumortier (Poaceae) in Turkey. PhD dissertation,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Ankara, Turkey, 364 pp. 

  3. Chen, S.-L. and G.-H. Zhu. 2006. Triticeae. In Flora of China, Vol. 22. Poaceae. Wu, Z.-Y., P. H. Raven and D.-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386-444. 

  4. Chen, S., D. Li, G. Zhu, Z. Wu, S. Lu, L. Liu, Z. Wang, C. Wang, B. Sun, Z. Zhu, N. Xia, L. Jia, Z. Guo, W. Chen, X. Chen, G. Yang, S. M. Philips, C. Stapleton, R. J. Soreng, S. G. Aiken, N. N. Tzvelev, P. M. Peterson, S. A. Renvoize, M. V. Olonova and K. H. Ammann. 2006. Introduction of Poaceae (Gramineae). In Flora of China, Vol. 22. Poaceae. Wu, Z.-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1-7. 

  5. Cho, Y. H., J. H. Kim and S. 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Press, Seoul. Pp. 39-287. (in Korean) 

  6. Chung, I. C. 1965. Korean Grasses. Chicago Natural History Museum, Korea at the Taesutang Press, Seoul. Pp. 77-85. 

  7. Chung, T. H. 1957. Korean Flora, Vol. 2. Herbaceous Plants. Sinjisa, Seoul. Pp. 857-934. (in Korean) 

  8. Dewey, D. R. 1986. Taxonomy of the crested wheatgrasses (Agropyron). In Crested Wheatgrass: Its Values, Problems and Myths; Symposium Proceedings. Johnson, K. L. (ed.), Utah State University, Logan, UT. Pp. 31-44. 

  9. Environment Agency of Japan. 2000. Threatened Species of Japan - Red Data Book. 2nd ed. Vol. 8. Vascular Plants. Japan Wildlife Research Center, Tokyo. 664 pp. 

  10. Ibaragi, Y., T. Nakamura, S. Kinoshita and M. Ogawa. 2009. Elymus humidus (Ohwi & Sakam.) Osada (Poaceae) found in Tokushima prefecture, Western Japan. Journal of Japanese Botany 84: 310-312. (in Japanese) 

  11. Jung, M.-J. and C.-W. Chen. 2013. Elymus L. (Poaceae) in Taiwan and related species in neighbor areas. Taiwania 58: 53-60. 

  12. Kim, H. S. 2000. Agropyron, Aneurolepidium, Asperella, Elymus, Clinelymus. In Flora Coreana, Vol. 8. Im, I. R. (ed.),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218-235. (in Korean) 

  13. Lee, T. B. 1989. Illustrated Flora of Korea. 4th ed. Hyangmoonsa, Seoul. Pp. 78-127. (in Korean) 

  14.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I). Academy Pub. Co., Seoul. Pp. 1321-1428. (in Korean) 

  15. Lee, Y. N. 2018. Poaceae Barnhart.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 W. (ed.), Hongreung Science Press, Seoul. Pp. 1572-1683. (in Korean) 

  16. Nevski, S. A. 1934. Tribe XIV. Hordeae Benth. In Flora URSS II. Komarov, V. L. (ed.), Editio Academiae Scientiarum, Leningrad. Pp. 590-728. (in Russian) 

  17. Ohwi, J. 1984. Gramineae. In Flora of Japan. Ohwi, J., F. G. Meyer and E. H. Walker (eds.),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Pp. 131-195. 

  18. Ohwi, J. and S. Sakamoto. 1964. Taxonomy, ecology and distribution of Agropyron humidum Ohwi et Sakamoto. Journal of Japanese Botany 39: 109-114. 

  19. Osada, T. 1989. Illustrated Grasses of Japan. Heibonsha Ltd., Tokyo. Pp. 400-439. 

  20. Park, S. H., Y. M. Lee, S.-Y. Jung, K. S. Chang, U. C. Kang, S. S. Chung, S. H. Oh and J.-C. Yang.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Ridrik Press, Seoul. 600 pp. (in Korean) 

  21. Salomon, B. 1990. A new species of Elymus (Poaceae) from China. Willdenowia 19: 449-451. 

  22. Soreng, R. J., P. M. Peterson, K. Romaschenko, G. Davidse, F. O. Zuloaga, E. J. Judziewicz, T. S. Filgueiras, J. I. Davis and O. Morrone. 2015.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3: 117-13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