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회기록보존소 학술 정보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to Vitalize Academic User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8 no.3, 2021년, pp.41 - 71  

장윤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국회기록은 민주주의의 역사적 증거로써 큰 가치를 가지고 있어 공공기록 중 가장 활용가치가 높은 기록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업무상의 참고자료 혹은 증빙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학술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학술 정보 이용자는 우리 사회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간접적 혁신을 이끌 수 있으며 이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기록관리기관의 지속적인 열람과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회기록을 담당하고 있는 국회기록보존소의 학술 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미국과 영국의 입법 아카이브센터 사례조사, 국회기록보존소 서비스 담당 실무자 2명과 국회기록을 학술 목적으로 이용해 본 이용자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원문 구축 확대와 국회기록보존소 홍보를 통한 국회기록보존소 인식 개선과 국회사무처와 협력체계 구축, 주제별 국회기록 제공, 국회기록 수집 및 분석 지원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강화, 개인화 서비스와 연구가이드를 통한 맞춤형 이용자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Assembly record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valuable public records because it has great value as a historical evidence of democracy. Therefore, it is not only used as a reference or evidence for work, but also used for academic purposes. Academic information users can improve their i...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38)

  1. Hwang, Jin-hyeon & Im, Jin-hee (2015). A study on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government-affiliated public institutions for systematic disclosure of original information. Archives Research, 46, 325-363. 

  2. Im, Yeo-a (2008). A Plan to Activate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National Archive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3. Jeong, Tae-Young & Kim, Yoo-Seung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assembly. Journal of the Korean Record Management Association, 12(1), 141-165. http://doi.org/10.14404/jksarm.2012.12.1.141 

  4. Jo, Yoon-hee (2007). A Study on the Plan to Promote the Use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Master's thesis, Centr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5. Jung, Eun-hee & Cha, Mi-kyung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31(1), 311-335. http://doi.org/10.14699/kbiblia.2020.31.1.311 

  6. Kang, Hye-kyung, Park, Jae-hong, & Kim, Yong (2010).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SS-based record informati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cords Management, 10(2), 7-29. http://doi.org/10.14404/jksarm.2010.10.2.007 

  7. Kim, Jang-hwan & Lee, Eun-byul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cords Management, 15(2), 103-136. http://doi.org/10.14404/jksarm.2015.15.2.103 

  8. Kim, Ji-hyun (2013). A study on the search, access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Record Management Association, 13(2), 201-225. http://doi.org/10.14404/jksarm.2013.13.2.201 

  9. Kim, Tae-Young, Kim, Gun, Shim, Gap-Yong, & Kim, Yong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cords Management, 14(2), 83-115. http://doi.org/10.14404/jksarm.2014.14.2.083 

  10. Kim, Yoo-seung & Kim, Jang-hwan (2013).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dutie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Record Management Association, 13(1), 81-106. http://doi.org/10.14404/jksarm.2013.13.1.081 

  11. Kim, Yoo-seung & Sul, Mun-won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national assembly record information onlin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Literature and Information Society, 47(4), 25-48. http://doi.org/10.4275/kslis.2013.47.4.025 

  12. Lee, Min-Ho (2015).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haring and system linkage/integration promotion.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26(2), 23-52. 

  13. Lee, Won-young (2002).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arliamentary records. Archives Research, 9, 110-142. http://doi.org/10.20923/kjas.2004.9.110 

  14. National Assembly Library (2019). National Assembly Library Annual Report. 

  15. Seo, Eun-Kyung, Jeong, Kyung-Hee, & Choi, Sang-Hee (2006). A study on user-centered use of recorded information and activation of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cords Management, 6(1), 65-92. http://doi.org/10.14404/jksarm.2006.6.1.065 

  16. Sung, Myeon-seop & Lee, Hae-young (2020). A study on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of academic researchers using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Record Management, 20(3), 119-138. http://doi.org/10.14404/jksarm.2020.20.3.119 

  17. Yoon, Dae-Geun & Nam, Tae-Woo (2011).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Archives Management, 11(2), 143-163. http://doi.org/10.14404/jksarm.2011.11.2.143 

  18. Yoon, Eun-ha, Bae, Sam-yeol, Shim, Gap-yong, & Kim, Yong (2014). A study on the use of academic information through request for disclosure: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25(1), 265-294. http://doi.org/10.14699/kbiblia.2014.25.1.265 

  19. Aronsson, P. (1981). Congressional records as archival sources. Government Publications Review. Part A, 8(4), 295-302. 

  20. Hockx-Yu, H. (2014). Access and scholarly use of web archives. Alexandria, 25(1-2), 113-127. https://doi.org/10.7227/ALX.0023 

  21. Miller, C. P. (2019). 미국의회기록 컬렉션 관리 매뉴얼. 서울: 선인 

  22. Parliamentary Archives (2020). Parliamentary Archives Annual Review 2019-2020. 

  23. Pugh, M. J. (2004). 기록정보서비스. 서울: 진리탐구. 

  24. Rhee, H. L. (2015). Reflections on archival user studie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54(4), 29-42. https://www.jstor.org/stable/refuseserq.54.4.29 

  25. Tibbo, H. R. (2003). Primarily history in America; How U.S. historian search for primary materials at the dawn of the digital age. American Archivist, 66(1), 9-50. https://doi.org/10.17723/aarc.66.1.b120370l1g718n74 

  26.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6661호. 

  27. 공공기록물 서비스 표준 (v1.1). NAK 21:2018(v1.1). 

  28. 국회기록물관리규칙. 국회규칙 제164호. 

  29. 국회도서관 직제. 국회규칙 제222호. 

  30. 국회법. 법률 제17756호. 

  31. 대한민국헌법. 헌법 제10호. 

  32. 영구기록물관리기관 표준모델 - 기능 및 업무절차 (v2.1). NAK 9:2021(v2.2). 

  33. 국회기록보존소 (2021.02.28). 국회기록보존소 홈페이지. 출처: http://archives.nanet.go.kr/contentsEtc/contentsEtcView.do?curr_menu_cd0104010000 

  34. 국회도서관 (2021.04.23). 국회도서관 보도자료(20200731)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물 대국민 열람 서비스 실시. 출처: http://archives.nanet.go.kr/bbs/bbsView.do#none 

  35. 미국 입법 아카이브센터 (2021.05.14). 입법 아카이브센터 홈페이지. 출처: https://www.archives.gov/legislative 

  36. 열린국회정보 (2021.03.20). 열린국회정보 정보공개포털. 출처: https://open.assembly.go.kr/portal/mainPage.do 

  37. 영국 의회아카이브 (2021.05.14). 의회아카이브 홈페이지. 출처: https://archives.parliament.uk/ 

  38. 입법통합지식관리시스템 (2021.05.02). 입법통합지식관리시스템. 출처: https://likms.assembly.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