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공공도서관 통계에 대한 분석 연구: 도서관 기본 정보 및 시설 현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ublic Library Statistics in Korea: Focusing on the Overview and Facility of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8 no.3, 2021년, pp.335 - 356  

이용구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선아 ((주)아이리스닷넷)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통계를 이용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본 정보와 시설을 중심으로 14년 동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변화 추이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고 이를 우리나라 인구수 및 1인당 GDP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2020년 현재 1,172개관으로 2007년에 비해 양적 측면에서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1인당 GDP 및 인구수와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2020년에는 지자체 소속 위탁 운영 공공도서관이 229개관으로 2007년에 비해 그 비율이 18.8%에서 25.1%로 상승하였다. 공공도서관의 부지면적은 도서관마다 편차가 크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넓어지는 추세를 보이며, 건물 연면적은 지자체 소속 도서관보다 교육청 소속 도서관이 더 넓고 시간에 따라 점점 넓어지는 추세를 보인 반면, 지자체 소속 도서관은 다소 감소하였다. 도서관의 총 좌석 수는 모든 도서관에서 감소하고 있으며 어린이 열람석과 노인 및 장애인 열람석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and current statu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14 years, focusing on the overview and facilities of public libraries using public library statistics from 2007 to 2020.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compared with t...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5)

  1. Ahn, Inja (2004). A pilot study for library statistics and indicato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2), 5-25. 

  2. Ahn, Inja, Hoang, Gum-Sook, Oh, Se-Hoon, & Chang, Hye-Young (2007). An outstanding issues for a new practical model of korean library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431-451. 

  3. Cha, Mikyeong (2002). A study on the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program to improve statistics items and colle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2), 73-87. http://doi.org/10.4275/KSLIS.2002.36.2.073 

  4. Cho, Hyun Yang & Kim, Hong Ryul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statistical indicator of publ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427-450. https://doi.org/10.16981/kliss.43.4.201212.427 

  5. Cho, Yong-Wan (2016). A study on services and programs of bookmobil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99-127. http://doi.org/10.16981/kliss.47.201603.99 

  6. Kim, Se-Ik (1992). Books, Prints and History of Libraries. Seoul: Aseamunhwasa. 

  7. Kim, Young-seok & Lee, Yong-jae (2018). A study on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n korea: focusing on japanese hongdohoe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131-150.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31 

  8. Ko, Jae Min, Cho, Hyun Yang, & Ko, Hungkwon (2015). A study on space program based on the library facility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346-37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49 

  9. Kwack, Dong Chul (2007), A research on the 'contracting ou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383-404. https://doi.org/10.16981/KLISS.38.3.200709.383 

  10. Lee, Kyeong-Jin & Song, Myung-Gyu (2020).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public library patron number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4(4), 195-220. http://doi.org/10.4275/KSLIS.2020.54.2.105 

  11. Lee, Kyeong-Jin (2020).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numbers of visitors and reference room users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national libraries statistical data 2018.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4(2), 105-125. http://dx.doi.org/10.4275/KSLIS.2020.54.2.105 

  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 Study on Improvement of Statistical Indicator for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d.]. Introduction to National Library Statistics.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Available: https://www.libsta.go.kr/libportal/introMdg/statsSysInto/introStatsSysIntoSummary.do 

  14.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5). Big data as Library Materials and the Rol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5. Yoon, Hee-Yoon (2008). Analysis and solution of contracting ou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3), 3-26. https://doi.org/10.16981/KLISS.39.3.200809.3 

  16. 日本?書館協? (2021). 日本?書館協?について. 출처: http://www.jla.or.jp/jla/tabid/221/Default.aspx 

  17. Blake, J. C. & Schleper, S. P. (2004). From data to decisions: Using surveys and statistics to make collection management decisions.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and Technical Services, 28(4), 460-464. https://doi.org/10.1016/j.lcats.2004.09.002 

  18. CIPFA [n.d.]. Public Library Statistics 2019/20 Estimates And 2018/19 Actuals. Available: https://www.cipfa.org/policy-and-guidance/publications/p/public-library-statistics-201920-estimates-and-201819-actuals-pdf 

  19. IMLS [n.d.].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Available: https://www.imls.gov/ 

  20. ISO 2789 (201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International library statistics. Available: https://www.iso.org/standard/60680.html 

  21. Kevane, M. & Sundstrom, W. A. (2014).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1870-1930: A quantitative assessment. Information & Culture, 49(2), 117-144. http://doi.org/10.1353/lac.2014.0009 

  22. LISU [n.d.]. Library and Information Statistics Unit. Available: https://www.lboro.ac.uk/microsites/infosci/lisu/ 

  23. Liu, Y. Q. & Zweizig, D. L. (2001). The use of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by public library directors. The Library Quarterly, 71(4), 467-497. https://doi.org/10.1086/603316 

  24. NISO (2013). Z39.7 Information Services and Use Metrics & Statistics for Libraries and Information Providers - Data Dictionary. Available: https://www.niso.org/standards-committees/z397 

  25. UNESCO (1970. 11. 13).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Library Statistics. UNESCO Recommendations. Available: 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ID13086&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