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리캐스트 방식 내화풍도슬래브 시공조인트부의 화재저항성능 평가
Fire resistance assessment in construction joint of precast fireproof duct slab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3 no.5, 2021년, pp.359 - 370  

최순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  강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  이철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본부) ,  김세권 ((주)홍지 기술연구소) ,  김태균 ((주)홍지) ,  장수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산업진흥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횡류식으로 지하공간의 환기시설을 구축할 때 사용되는 풍도슬래브는 터널의 장대화 및 중차량 통행에 따라 내화성능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내화재와 슬래브를 일체식으로 제작하는 프리캐스트 내화풍도슬래브를 대상으로, RWS화재시나리오 하에서 내화풍도슬래브를 시공할 때 발생하는 시공조인트부에서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공조인트부의 보강이 없을 경우는 시공조인트부 안쪽의 콘크리트에서 손상이 발생하여 내화재의 손상으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시공조인트 내측의 한쪽 면을 내화재로 보강한 경우는 보강이 없을 경우에 비해 3배 이상의 화재저항성능을 보였지만, 보강이 없는 블록에서 콘크리트 및 내화재의 단면손실이 나타났다. 그러나 보강된 블록에서는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ct slabs, which are used to build ventilation facilities in underground spaces with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need to secure fire resistance according to longitudinal and heavy vehicle traffic of tunnels. This study measured the temperature change at the construction joint of the precast fire...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3)

  1. Chae, W.B., Kim, K.R., Seo, S.K. (2011), "Fireproofing mortar mixed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and porous ceramic for tunnel covering material", Proceedings of 2011 Fall Conferenc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Pyeongchang, pp. 733-734. 

  2. Chang, S.H., Choi, S.W., Kwon, J.W., Kim, S.H., Bae, G.J. (2007), "Alter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unnel structural members after a tunnel fire accident",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9, No. 2, pp. 157-169. 

  3. Choi, S.W., Chang, S.H., Kim, H.Y., Jo, B.H. (2010), "Assessment of structural fire resistance of a fire-proofed immersed tunnel under tunnel fire scenario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2, No. 6, pp. 429-441. 

  4. Choi, S.W., Kang, T.H., Lee, C., Kim, S.K., Kim, T.K., Chang, S.H. (2020), "Fire resistance assessment of precast fireproof duct slab",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2, No. 6, pp. 669-680. 

  5. Clement, F., Focaracci, A. (2011), "Fire protection in tunnels: resquirements, solutions and case histories", Proceedings of the WTC2011, Helsinki, Finland. 

  6. Hertz, K.D. (2003), "Limits of spalling of fire-exposed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Vol. 38, No. 2, pp. 103-116. 

  7. ITA (2004), Guidelines for structural fire resistance for road tunnels, Working Group No. 6 Maintenance and Repair, pp. 2-4~6. 

  8. Khoury, G.A., Majorana, C.E., Pesavento, F., Schrefler, B.A. (2002), "Modelling of heated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54, No. 2, pp. 77-101. 

  9. Kodur, V.K.R., Dwaikat, M. (2008), "A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fir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30, No. 5, pp. 431-443. 

  10. Kwon, K., Shin, H., Kim, H. (2016), "Evaluation of the damage by a fire of the full scale concrete tunnel lining exposed to the high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2, pp. 9-15. 

  11. Phan, L.T. (1996), Fire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a report of the state-of-the-art, NISTIR 5934,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pp. 59-60. 

  12. PIARC (1999), Fire and Smoke Control in Road Tunnels, PIARC Committee on Road Tunnels, May, pp. 57-58. 

  13. Won, J.P., Jang, C.I., Lee, S.W., Kim, H.Y., Kim, W.Y. (2008), "Spalling and internal temperature distribution of high strength column member with polypropylene fiber volume fraction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6, pp. 821-8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