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 특성과 시간적 변화가 소방시설관리시스템의 화재알람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Analysis of Building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Changes of Fire Alarms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22 no.4, 2021년, pp.83 - 98  

임관묵 (Dept. of Digital Inclusion, Seoul Digital Foundation) ,  고설태 (Dept. of Policy Research, Seoul Digital Foundation) ,  김유신 (RT Data Lab) ,  박건철 (Dept. of Policy Research, Seoul Digital Found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소방재난본부의 IoT 소방시설관리시스템에 기록된 실시간 화재알람 발생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알람 발생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화재사고 예방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학술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고층·복합건물의 수가 증가하고 기존 건물도 고도화되면서,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상주인원의 신속한 대피와 초동대응을 돕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화재상황을 잘못 탐지하여 정확성이 낮아지면 상주인원의 불편이 늘어나고 신뢰성도 줄어들기 때문에, 효율적인 점검과 건물 환경 조사를 통해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잘못된 화재탐지가 용도나 시간 등 건물 특성 및 외부 환경에 기인함을 밝히고, 이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점검과 건물 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건물의 규모(연면적)가 화재알람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고 민간 건물, R형 수신기인 건물, 고장일수 또는 경종차단일수가 많은 건물에서 화재알람 발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물의 주용도에 따라 화재알람 발생의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시간적으로는 평일 주간 사람들의 일상 활동 패턴(오전 9시~오후 6시)을 거의 그대로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전 10시 경, 오후 2시 경에 각각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구를 통해 시스템 내부 점검과 함께 화재알람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건물 환경 조사도 필요함을 강조하고, 후속 연구와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실시간 건물 환경 정보를 추가 데이터화하는 방안 등의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re alarms using IoT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data of Seoul Fire & Disaster Headquarters, and to present academic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prevention system of fire situation. As the number of high and co...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배경에 따라, 이번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의 실시간 소방시설관리시스템 화재알람 기록데이터를 분석하여 건물 특성 및 시간적 변화와 화재 알람 발생횟수의 상관성과 주요 영향요인을 알아내고자 한다. 즉, 건물 및 소방시스템의 특성과 계절적·시간적 요인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오작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알리려는 것에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 즉, 건물 및 소방시스템의 특성과 계절적·시간적 요인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오작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알리려는 것에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S. Hwang, "Automated Fire Dete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9, No. 5, pp. 427-435, 1995. 

  2. J.H. Lee, C.H. Lee, S.K. Kim, H.S. Kong, "A Study about False Alarm of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3, No. 1, pp. 41-49, 2011. https://doi.org/10.12812/ksms.2011.13.1.041 

  3. Y.J. Son, Y.I. Lee, S.H. Lee, "Research on the Reliability Improvement of Automatic Fire Alarm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2, No. 4, pp. 42-49, 2008. 

  4. B.S. Lee, D.K. Kwak, D.Y. Jung, D.J. Cheon, "A Study on Design and Operation Performance of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P-type One-class Receiver)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1, No. 2, pp. 347-353, 2012. https://doi.org/10.5370/KIEE.2012.61.2.347 

  5. J.W. Ryu, S.P.Kwon, "Fire Risk Assessment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Using Data Min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5, pp. 88-95, 2015. 

  6. M.S. Seo, H.H. Yoo, "Significance Analysis of Facility Fires Though Spatial Econometrics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8, No. 3, pp. 281-293, 2020. https://doi.org/10.7731/KIFSE.2015.29.5.088 

  7. S.K. Choi, J.M. Moon, "Investigation of Awareness for Evaluation Factors of Fire Response Capability to Apartment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32, No. 1, pp. 15-22, 2021. https://doi.org/10.6107/JKHA.2021.32.1.015 

  8. J.A. Hwang, J.Y. Kang, S.J. Kim,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Fir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patiality of Urban Decline in Seoul", SH Urban Research & Insight, Vol. 10, No. 3, pp. 1-20, 2020. https://doi.org/10.26700/shuri.2020.12.10.3.1 

  9. Ministry of the Interior, National Information Agency, "D.gov Edge 2015", Vol. 4, pp. 11-12, 2015. 

  10. K. Kim, "Management and Roles of Fire Safety System of Building in America",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Vol. 35, pp. 65-69, 2019. 

  11. J.K. Park, K.H. Nam, "Implementation of Multiple Sensor Data Fusion Algorithm for Fire Dete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5, No. 7, pp. 9-16, 202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7.009 

  12. J.S. Kim, C.W. Lee, S.H. Park, J.H. Lee, C.H. Hong,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Model for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Using Deep Learning : Training Data Supplement and Bias Optimiz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12 pp. 320-330, 2020.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320 

  13. J.D. Shin, S.H. Jung, M.S. Kim, H.J. Kim, "Analysis of Fire Risk with Building Use Type Using Statist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4, pp. 107-114, 2012. 

  14. W.Y. Song, W.H. Jung, M.H. Cho, G.Y. Choi, H.S. Kong, "Developing a Service Model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Firefighting Vulnerable Areas Based on WebGI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 20, No. 2, pp. 55-64, 2015. 

  15. J.A. Ok, "Fire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in Gyeonggi-Do", Gyeonggi Development Institute : GRI Issues Report, pp. 1-9, 2015. 

  16. Y.M. Na, D.H. Hyun, D.H. Park, S.H. Hwang, S.H. Lee, "AI Fire Detection & Notif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5, No. 12, pp. 63-71, 202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12.063 

  17. K.S. Ko, J.K. Yang, D.H. Hwang, H.S. Ko, C.O. Ga, J.P. Cho, "Building Fire Prediction Model Study Using AI",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45, No. 7, pp. 1210-1218, 2020. https://doi.org/10.7840/kics.2020.45.7.1210 

  18. D.S. Kim, N.J. Kang, "Regression: Basics and Applications", pp. 85-116, Nanam, 2008. 

  19. E.J. Shin, M.S. Koh, D.I. Shin, "Fire Accident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s Using Data Analytic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4, No. 5, pp. 47-55, 2020. https://doi.org/10.7842/kigas.2020.24.5.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