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ET병 라벨의 분리용이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실태 조사
A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 on Removability of PET Bottle Labels 원문보기

한국포장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v.27 no.2, 2021년, pp.63 - 70  

강욱건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김종경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초록

재활용품 분리배출 시 라벨의 제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가정에서 직접 쓰레기를 분리배출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플라스틱 병 분리배출이 99%에 이를 정도로 가정에서 직접 분리배출을 하는 소비자들은 스스로 각 재질을 분리하여 분리배출에 참여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분리배출시 라벨(부착상표) 및 잡자재(마개, 비닐코팅, 테이프, 손잡이, 받침대 등)를 제거하는 비율은 약 65%로 조사되어 약 35%는 분리배출시 라벨과 같은 잡자재를 제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벨 및 잡자재를 제거한다는 응답 비율이 약 65%에 이르지만 재질별 세부항목 조사에서는 라벨 및 잡자재 제거 비율이 50%를 넘는 재질이 종이(상자형, 기타), 플라스틱(페트/병)으로 단 2가지 항목만 조사되어 실제 라벨 및 잡자재의 제거 참여율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라벨 및 잡자재를 제거하지 않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리의 어려움이 약 52%로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제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정부는 분리배출 가이드를 통해 라벨 및 잡자재를 제거하여 분리배출할 것을 요청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 따르면 라벨 및 잡자재의 분리배출에 대한 정부와 일반 소비자 간의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바른 분리배출의 정착을 위해서 소비자가 라벨 및 잡자재제를 제거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을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소비자가 라벨 및 잡자재 제거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 요소 중 '강한 접착력(점/접착제, 불순물 잔유)'이 가장 큰 저해 요소로 나타났다. '강합 접착력'은 점(접)착 라벨의 저해 요소에 해당하며 '재질의 강도(늘어남, 끊어짐)'은 수축라벨에 대한 저해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PET병에 점(접)착 라벨보다 수축라벨의 사용을 지향하는 국내 정책의 방향성은 소비자의 라벨 분리 참여율 향상 측면에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수축라벨에 절취선이 없거나 분리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점/접착라벨 보다 분리 인식이 떨어지므로 소비자가 라벨을 제거 시 느끼게 되는 분리용이성 정도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한 접착력, 마땅하지 않은 제거부분(제거 개시부 문제), 재질의 강도는 연령에 상관없이 저해 영향력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라벨을 제거하는데 방해가 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을 낮춰 소비자의 올바른 분리배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느끼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적으로 해결이 필요한 영역은 강한 접착력 및 재질의 강도에 의해 라벨을 몸체에서 제거하기 어려운 점과 제거를 위해 라벨을 잡아야 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불편한 점이다. 강한 접착력의 경우 잔유물이 남거나 라벨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분리배출 의지를 저해하고 있으며 수축라벨은 분리가 용이하도록 도입한 절취선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여 소비자의 불만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제거 개시부 문제는 점(접)착라벨의 경우 일부 기업에서는 점(접)착제를 일부 도포하지 않아 제거 개시가 쉽도록 하는 일명 '에코탭'을 적용하여 분리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그 사례는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올바른 분리배출을 통해 궁극적으로 자원순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책을 통해 올바른 분리배출을 소비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government strengthens its policy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packaging materials, consumers are increasingly dissatisfied. In order to increase consumer participation in separate discharge policy of packaging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by reducing...

주제어

참고문헌 (11)

  1. Chong, Y.S., Ahn, G.S. and Lee, K.J. 1994, Caracteristics of Active Consumer Participating in Waste Separation and Recycling,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3, 1: 1295-106 

  2. Kim, H.J., Jang, M.D. and Joung, Y, 201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Plastic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eparate Collection with Plastic Wastes, The Korea Society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6, 1: 13-23 

  3. 환경부,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평가 기준, 환경부고시 제 2019-265호 

  4. Kim, J.K. and Kang, W.G.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Separation of Containers and Packaging,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5. Lee, M.S. and Koo, Y.M. 2015, Empirical Analysis on Inconvenien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UCI(KEPA) : I410-ECN-0101-2016-300-002015198 

  6. 동아일보 보도자료, 2020.12.24., 라벨 떼고, 음식물은 씻어서...분리배출 이렇게 해야 100점,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1224/104618187/1 

  7. Chun, J.C. and Lee, M.C. 1993, Cititude to the source separation and recycling of domesticwaste,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UCI(KEPA) : I410-ECN-0101-2009-370-012128649 

  8. 환경부, 2018,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라인 

  9. Chog, Y.J, and Choi, I.S. 2019, A Comparative Analysis of Beverage Labels for the Ease of Recycling - Focusing on Domestic PET bottled water juice beverages -, Illustration Forum, 20(60), 5-16. 

  10. 환경부, 자원순환기본법, 법률 제 17326호 

  11. 경남신문 보도자료, 2021.01.12.,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제' 정착 멀었다,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418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