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포장 폐기물에 따른 재질별 재활용 공정 현황 및 재활용 문제점
The Current Status of Recycling Process and Problems of Recycling according to the Packaging Waste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포장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v.24 no.2, 2018년, pp.65 - 71  

고의석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심원철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이학래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강욱건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신지현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  권오철 (한국자원순환포장기술원) ,  김재능 (연세대학교 패키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의 재활용의무대상 품목은 포장재군에 따라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포장재 구분되어질 수 있다. 폐종이팩의 경우 압축된 종이팩을 해리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및 기타 이물질을 분리하고 세척, 분쇄, 건조과정을 거쳐 화장지 원단으로 제작한 후 다양한 화장지로 가공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된 종이팩은 재활용 공정 중 잔유물이 발생하여 화장지의 품질을 저해하고 제품 편의성을 위해 부착된 마개, 스트로우와 같은 새로운 성형구조의 제품들은 재활용 공정에서 수작업의 과정을 추가하여 재활용 수율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다. 유리병은 재사용과 재활용으로 구분가능하며 재사용은 주류, 음료병들이 대상이고 재활용은 1회용 유리병이나 깨진 유리병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리병 재활용은 폐유리병 회수 과정, 이물질 제거, 색상별 분류, 파쇄, 원료화 과정을 거쳐 제병업체에 공급되며, 철금속성분 제거, 저비중 물질 제거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한다. 유리병은 무색 계열, 갈색 계열, 녹색 계열의 색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재활용 과정에서 주된 3색 이외의 색상의 경우 재생원료의 품질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합성수지 라벨의 다량 접착제와 병의 직접 인쇄는 잉크의 색상에 의하여 품질저하가 발생하며, 유리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마개 또한 재활용 공정에서 이물질 제거과정을 어렵게 한다. 금속캔은 자동선별기를 통해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분류한 후 압축하여 용광로를 통해 철, 알루미늄으로 재생산된다. 재활용 공정에서 가공육 알루미늄 캡의 플라스틱 뚜껑은 선별이 어렵기 때문에 플라스틱 뚜껑을 사용하지 않거나 분리 배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금속캔 또한 금속이 아닌 마개, 라벨이 재활용 공정에서 수작업 공정을 추가로 필요하게 하고 있다. 합성수지 포장재 중 복합재질의 경우 선별된 압축품을 파쇄한 뒤 용융성형을 통한 물질 재활용, 열분해를 통한 유화, 압축성형을 통한 고형연료 제조단계를 통해 재생제품을 생산하며, 단일 합성수지는 자력선별, 풍력선별, 비중선별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선별공정을 거처 압축, 파쇄, 세척, 용융압출, Pellet 형태의 재생 원료를 만드는 물질 재활용 과정을 거친다. 종이, 금속 라벨, 복합재질 리드 등은 합성수지 재활용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비중 1미만의 비수분리성 접(참)착식 라벨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연구를 통해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의 재활용 공정 모두 재활용 대상과 다른 물질의 유입이 재활용공정을 방해하거나 재활용 비용, 시간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포장재별로 종이팩 포장재의 스트로우를 비롯한 합성수지 성형구조물과 금속과 유리병 포장재의 이물질을 포함한 라벨과 마개 및 잡자재 그리고 합성수지 포장재의 금속, 종이 복합재질이 이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품이나 포장재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에 용이한 재질 구조가 요구되어지며, 정부차원의 지원과 관련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per packs, glass bottles, metal cans, and plastic materia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 recycling groups that are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In the case of waste paper pack, the compressed cartons are dissociated to separate polyethylene films and other foreign sub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합성수지 포장재의 경우는 합성수지 포장재는그 형태와 재질이 매우 다양하여 분류방법이 다양한데 주로 PSP재질, PVC재질, 단일재질 및 복합재질 혹은 필름류 및시트류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EPR 대상 중 4 개 포장재군인 종이팩, 금속캔, 유리병, 합성수지포장재의 국내 재활용 공정 현황을 알아보고 각 재료별로 재활용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란?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는 생산자들이 재활용이 쉬운 재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시점까지 책임을 지는 기존 제도에서 소비자가 사용 후 발생시킨 폐기물의 재활용까지 생산자의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한 제도이다1)2). EPR 대상에 속하는 포장재 품목은 음식료품류, 농 · 수 · 축산물, 세제류, 화장품류, 의약품 및 의약외품, 부탄가스제품, 살충 · 살균제, 의복류, 종이제품, 고무장갑, 부동액 · 브레이크액 및 윤활유 등의 포장재와 전기기기류 등의 포장재 1회용 봉투와 쇼핑백으로 구분된다.
알루미늄 호일이 포함된 종이팩이 화장지 제조 재활용 공정에 유입될 경우 문제점은? 하지만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된 종이팩의 경우 화장지를 제조하는 재활용 공정에 유입될 경우 제품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다. 재활용 공정 중 PE와 종이펄프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잔유물이 발생하여 화장지와 같은 재생제품에 검은 점이나 회색 점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종이팩에 합성수지 성형구조물을 부착한 포장용기 중 개봉의 편의성을 위해서 종이팩 상단에 마개를 부착 혹은 종이 팩 옆면의 스트로우를 부착한 포장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성형구조물 또한 재활용을 어렵게 만든다.
EPR 대상에 속하는 포장재 품목은?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는 생산자들이 재활용이 쉬운 재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시점까지 책임을 지는 기존 제도에서 소비자가 사용 후 발생시킨 폐기물의 재활용까지 생산자의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한 제도이다1)2). EPR 대상에 속하는 포장재 품목은 음식료품류, 농 · 수 · 축산물, 세제류, 화장품류, 의약품 및 의약외품, 부탄가스제품, 살충 · 살균제, 의복류, 종이제품, 고무장갑, 부동액 · 브레이크액 및 윤활유 등의 포장재와 전기기기류 등의 포장재 1회용 봉투와 쇼핑백으로 구분된다. 또한 EPR제도의 재활용의무대상 품목 중 포장재군을 재료별로 구분할 경우 종이팩, 유리병, 금속캔, 합성수지 포장재 4가지 포장재로 나누어진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한국환경공단. 2003.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제도). 

  2. 한국포장재 재활용사업 공제조합. 2018. EPR제도, https://www.pkg.or.kr. (2018-05-15 방문). 

  3. EPR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 2018. 제도소개, https://www.iepr.or.kr. (2018-05-15 방문). 

  4. 송기현, 고의석, 조수현, 권오철, & 김재능. (2015). 종이팩의 재질.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 EPR 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한국포장학회지, 21(1): 19-26. 

  5. 고의석, 송기현, 조수현, 심원철, & 김재능. (2016). 종이팩의 재질구조 개선에 따른 기대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EPR 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한국포장학회지, 22(1): 7-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