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생태계 생물다양성 연구를 위한 환경유전자(environmental DNA) 기술의 적용과 활용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DNA Technology for Biodiversity in Water Ecosystem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4 no.3, 2021년, pp.151 - 155  

곽인실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박영석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장광현 (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생태계의 환경유전자 적용도 가속화되고 있으나 생산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으며, 분석 생산된 생물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기도 하고 시료 매체(대상 시료, 물, 공기, 퇴적물, 위내용물, 분변 등) 간의 방법에 따른 차이와 분석 방법의 정량화와 개선 등이 필요한 상태이기도 하다. 따라서 국내 생태계의 환경유전자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연구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태분류학으로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검증 절차를 거치고,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높아진 데이터의 해상력을 전문가들이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환경유전자 연구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술 적용으로만 해결될 수 없으며, 생산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생태-분류-유전학-인포메틱스 등 학제 간의 연구 협력이 중요하며, 다양한 매체를 다루는 연구자들이 함께 접근할 수 있는 정보 공유 플랫폼이 절실한 분야이며, 발전의 속도도 급격하게 진행될 것이고 축적되는 데이터는 수년 내에 빅테이터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DNA in the domestic ecosystem is also accelerating, but the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produced data is limited, and doubts are raised about the reliability of the analyzed and produced biological taxa identification data, and the sample medium (target sample, wa...

주제어

참고문헌 (21)

  1. Deagle, B.E., A. Chiaradia, J. McInnes and S.N. Jarman. 2010. Pyrosequencing faecal DNA to determine diet of little penguins: is what goes in what comes out? Conservation Genetics 11: 2039-2048. 

  2. Deininger, P.L. 1983. Random subcloning of sonicated DNA: application to shotgun DNA sequence analysis. Analytical Biochemistry 129: 216-223. 

  3. Dejean, T., A. Valentini, C. Miquel, P. Taberlet, E. Bellemain and C. Miaud. 2012. Improved detection of and alien invasive species through environmental DNA barcoding: the example of the American bullfrog Lithobates catesbeianu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9: 953-959. 

  4. Ficetola, G.F., C. Miaud, F. Pompanon and P. Taberlet. 2008. Species detection using environmental DNA from water samples. Biology Letters 4: 423-425. 

  5. Giovannoni, S.J., T.B. Britschgi, C.L. Moyer and K.G. Field. 1990. Genetic diversity in Sargasso Sea bacterioplankton. Nature 345: 60-63. 

  6. Levy-Booth, D.J., R.G. Campbell, R.H. Gulden, M.M. Hart, J.R. Powell, J.N. Klironomos and K.E. Dunfield. 2007. Cycling of extracellular DNA in the soil environment. Soil Biology & Biochemistry 39: 2977-2991. 

  7. Logan, J.M.J., K.J. Edwards and N.A. Saunders. 2009. Real-time PCR: current technology and applications. Horizon Scientific Press Co., Norwich, UK. 

  8. Ogram, A., G.S. Sayler and T. Barkay. 1987. The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microbial DNA from sediments.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7: 57-66. 

  9. Pompanon, F., B.E. Deagle, W.O.C. Symondson, D.S. Brown, S.N. Jarman and P. Taberlet. 2012. Who is eating what: diet assessment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Molecular Ecology 21: 1931-1950. 

  10. Pompanon, F., E. Coissac and P. Taberlet. 2011. Metabarcoding a new way to analyze biodiversity. Biofutur 319: 30-32. 

  11. Riaz, T., W. Shehzad, A. Viari, F. Pompanon, P. Taberlet and E. Coissac. 2011. ecoPrimers: inference of new DNA barcode markers from whole genome sequence analysis. Nucleic Acids Research 39: e145. 

  12. Saiki, R.K., D.H. Gelfand, S. Stoffel, S.J. Scharf, R. Higuchi, T.G. Horn and H.A. Erlich. 1998. Primer-directed enzymatic amplification of DNA with a thermostable DNA polymerase. Science 239: 487-491. 

  13. Selinger, D.W., R.M. Saxena, K.J. Cheung, G.M. Church and C. Rosenow. 2003. Global RNA half-life analysis in Escherichia coli reveals positional patterns of transcript degradation. Genome Research 13: 216-223. 

  14. Simon, C. and R. Daniel. 2011. Metagenomic analyses: past and future trend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7: 1153-1161. 

  15. Taberlet, P., E. Coissac, M. Hajibabaei and L.H. Rieseberg. 2012. Environmental DNA. Molecular Ecology 21: 1789-1793. 

  16. Taberlet, P., A. Bonin, L. Zinger and E. Coissac. 2018. Environmental DNA for biobiversity research and monitoring. Oxford University Press. 

  17. Thomsen, P.F., J. Kielgast, L.L. Iversen, P.R. Moller, M. Rasmussen and E. Willerslev. 2012. Detection of a diverse marine fish fauna using environmental DNA from seawater samplers. Plos One 7: e41732. 

  18. Tringe, S.G., C. Von Mering, A. Kobayashi, A.A. Salamov, K. Chen, H.W. Chang and E.M. Rubin. 2005. Comparative metagenomics of microbial communities. Science 308: 554-557. 

  19. Valentini, A., C. Miquel and P. Taberlet. 2010. DNA barcoding for honey biodiversity. Diversity 2: 610-617. 

  20. White, T.J., N. Arnheim and H.A. Erlich. 1989.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Trends in Genetics 5: 185-189. 

  21. Willerslev, E., A.J. Hansen, J. Binladen, T.B. Brand, M.T.P. Gilbert, B. Shapiro and A. Cooper. 2003. Diverse plant and animal genetic records from Holocene and Pleistocene sediments. Science 300: 791-7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