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정수장에서 출현한 깔따구과 유충의 형태 및 유전학적 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pecies Identification in the Chironomidae Larvae Found in Tap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Jeju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4 no.3, 2021년, pp.240 - 246  

곽인실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박재원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김원석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박기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깔따구(Diptera: Chironomidae)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로 환경 및 수질 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중요한 환경지표생물이다. 이러한 깔따구 유충이 정수장에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정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깔따구 유충의 종을 분류하기 위해 형태 사진 및 CO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Primer로 증폭시킨 DNA의 염기서열계통수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수장 내 수도꼭지와 소화관 등에서 채집된 17개체는 둥근깃깔따구(O. tamarutilus) 14개체, 타마긴털깔따구(P. tammaater) 3개체 총 2종으로 확인되었다. 각 깔따구 종의 형태적 특징은 두부, 하순기절, 대악, 안테나, 발톱의 형태적 특징의 분류기로 종 동정하였다. NCBI Genbank에 등록된 깔따구 19종 COI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17개체의 계통진화적 분석 결과 채집된 깔따구 COI 염기서열이 둥근깃깔따구(O. tamarutilus)와 타마긴털깔따구(P. tammaater) 2종으로 각각 계통군(clade)를 이루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수장 환경별 발견되는 깔따구 유충의 다양성의 확인과 형태적-유전적 종 동정 분류정보를 바탕으로 수환경 관리 및 평가를 위한 기반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ironomidae is a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only found in freshwater ecosystems, along with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which can be used for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s. There are approximately 15,000 species of Chironomidae worldwide, but there are limited studies on species identi...

주제어

참고문헌 (17)

  1. Allgeier, S., A. Kastel, C.A. Bruhl. 2019. Adverse effects of mosquito control using Bacillus thuringiensis var. israelensis: reduced chironomid abundances in mesocosm, semi-field and field studies. Ecotoxicology Environmentak Safety 169: 786-796. 

  2. Anderson, R.L. 1980. Chironomidae toxicity tests - biological background and procedures, p. 70-80. In: Aquatic invertebrate bioassays (Buikema, A.L. Jr and J. Jr Cairns, eds.), ASTM STP 715.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PA. 

  3. Armitage, P.D., L.C. Pinder and P. Cranston. 1995. The Chironomidae: Biology and Ecology of Non-biting Midges. Springer, Netherlands. 

  4. Armitage, P.D., L.C. Pinder and P.S. Cranston (eds.). 2012. The Chironomidae: biology and ecology of non-biting midg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Carew, M.E., V. Pettigrove, R.L. Cox and A.A. Hoffmann. 2007. DNA identification of urban Tanytarsini chironomids (Diptera: Chironomida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6: 587-600. 

  6. Carew, M.E., V. Pettigrove, V.J., Metzeling and A.A. Hoffmann. 2013. Environmental monitoring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rapid identification of macroinvertebrate bioindicator species. Frontiers in Zoology 10: 1-15. 

  7. Kim, S., K.H. Song, H.I. Ree and W. Kim. 2012. A DNA barcode library for Korean Chironomidae (Insecta: Diptera) and indexes for defining barcode gap. Molecular Cell 33: 9-17. 

  8. Kim, W.S., C. Hong, K.Y. Park and I.S., Kwak. 2019. Ecotoxicological response of Cd and Zn exposure to a field dominant species, Chironomus plumosu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2: 266-273. 

  9. Kwak, I.S. 2015. Introduction to the Chironomidae as a water pollution indicato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13-156. 

  10. Kwak, I.S., J.W. Park., W.S. Kim and K.Y. Park. 2020. Morphological and Genetic Species Identification in the Chironomus Lavae (Diptera: Chironomidae) Found in Domestic Tap Water Purification Plant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3: 286-294. 

  11. Mantilla, J.G., L. Gomes and M.A. Cristancho. 2018.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Chironomus spp genes as useful tools in the search for pollution biomarkers in freshwater ecosystems. Briefings in Functional Genomics 17: 151-156. 

  12. Park, K. and I.S. Kwak. 2020. Cadmium-induced developmental alteration and upregulation of serine-type endopeptidase transcripts in wild freshwater populations of Chironomus plumosus. Ecotoxicology Environmental Safety 192: 110240. 

  13. Prat, N. and M. Rieradevall. 1995. Life cycle and production of Chironomidae (Diptera) from Lake Banyoles (NE Spain). Freshwater Biology 33: 511-524. 

  14. Ree, H.I. and J.Y. Kim. 1998. A New Species of the Genus Cricotopus(Diptera: Chironomidae), a Pest of Rice in Seosan, Korea.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2: 309-313. 

  15. Schaller, J. 2014. Bioturbation/bioirrigation by Chironomus plumosus as main factor controlling elemental remobilization from aquatic sediments? Chemosphere 107: 336-343. 

  16.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 1994. Korea Insect Collection. Konkuk University Press. 

  17. Yoon, I.B. and D.J. Chun. 1992. Systematic of the Genus Chironomus(Diptera: Chironomidae) in Korea. Entomological Research Bulletin 18: 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