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보구간의 환경요인 차이에 의한 깔따구의 군집 구성 변화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of Chironomidae Caused by Variability of Environmental Factors among Weir Sections in Korean River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1, 2020년, pp.46 - 54  

김원석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박재원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홍철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최보형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김호준 ,  박연정 ,  박정호 ((주)케이에코) ,  송행섭 ((주)케이에코) ,  곽인실 (전남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하천에서 발생하는 준설 및 보 건설은 하천 연속성 차단과 교란을 유도하여 수서 생물서식환경에 변화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보(이포보, IP; 세종보, SJ; 죽산보, JS; 강정고령보, GG; 달성보, DS)에 서식하는 깔따구 군집 분포를 조사하고 서식환경에 영향을 주는 여러 환경인자를 측정하였다. 조사 지역 중 IP, SJ은 다른 조사 지역에 비해 WT, pH, TOC, Chl-a가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깔따구 개체수 결과에서는 Chironominae, Orthocladinae, Tanypodinae가 비교적 균등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JS, GG, DS는 Chironominae가 높은 비율로 우점하며, TOC와 Chl-a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각 조사 정점에 대한 깔따구 군집 조성의 특징과 환경요인을 반영한 집괴분석 결과 4대강 보는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정점별 환경 차이와 깔따구의 대악 및 하순기절의 구조에 따른 먹이원 선호도 차이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정점 간 먹이원의 차이에 의해 깔따구의 군집 구조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각 깔따구 과 별 주 먹이원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ificial and natural changes such as weir construction and climate change often cause abnormal blooming of organism. Therefore, variations in species community of organism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to identify influential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fresh water ecosystem. In this study,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9), 분류학적 어려움으로 인해 군집 조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대강 보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깔따구의 종조성과 수환경의 이화학적 요인들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각 서식 환경 차이에 의한 깔따구 군집 조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 2015)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과별 분포, 서식 환경 등의 기초 연구에 대해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4대강에 위치한 보 환경에서 서식하는 깔따구를 대상으로 군집 분포와 종조성, 환경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깔따구의 아과별 개체밀도, 우점종 및 군집지수는 IP와 SJ가 유사하며 JS, GG 그리고 DS에서 유사하게 나타나 지역별 뚜렷한 개체분포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 국내 하천에서 발생하는 준설 및 보 건설은 하천 연속성 차단과 교란을 유도하여 수서 생물서식환경에 변화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4대강 보(이포보, IP; 세종보, SJ; 죽산보, JS; 강정고령보, GG; 달성보, DS)에 서식하는 깔따구 군집 분포를 조사하고 서식환경에 영향을 주는 여러 환경인자를 측정하였다. 조사 지역 중 IP, SJ은 다른 조사 지역에 비해 WT, pH, TOC, Chl-a가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깔따구 개체수 결과에서는 Chironominae, Orthocladinae, Tanypodinae가 비교적 균등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질의 변화와 같은 인위적인 교란은 하천 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2016; George et al., 2018)은 하천생태계 내 서식하는 생물 군집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보와 댐 같은 대형 구조물의 건설로 인한 하천의 종적 및 횡적 연속성의 차단은 하천 내 생물상과 군집 기능에 영향을 주게된다(Kim et al.
깔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깔따구 (파리목)는 온도, pH, 용존산소 등 다양한 환경 조건의 변화에도 잘 서식하며 (Rosenberg, 1993; Helson et al., 2006), 생활사가 짧고 성체를 제외한 유충 시기를 저서에서 서식하는 특징으로 인해 실내 독성 실험 및 위해성 평가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Park et al., 2010; Kim et al.
집괴분석 결과는 어떻게 나뉘는가? 4). 그룹 1은 영산강에 위치한 JS으로 환경 요인 중 높은 WT, TN, Chl-α와 Chironominae가 우점하고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룹 2는 환경요인 중 WT, pH, TOC이 높으며 Chironominae가 다른 아과에 비해 높은 개체수가 확인된 낙동강에 위치한 GG와 DS로 형성되었다. 그룹 3은 한강에 위치한 IP와 금강에 위치한 SJ으로 환경요인 중 WT, TOC, Chl-a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깔따구 개체수는 Chironominae 뿐 아니라 Orthocladine와 Tanypodinae가 비슷한 수준으로 출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shami, S., C.S.M. Rawi, A.H. Ahmad and S.A.M. Nor. 2010. Distribution of Chironomidae (Insecta: Diptera) in polluted rivers of the Juru river basin, Penang, Malaysi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2(11): 1718-1727. 

  2. Baker, A.S. and A.J. McLachlan. 1979. Food preferences of tanypodinae larvae (Diptera: Chironomidae). Hydrobiologia 62: 283-288. 

  3. Berg, M.B. 1995. Larval food and feeding behavior. Springer, Dordrecht, pp. 136-168. 

  4. Choi, A.R., S.J. Park, J.Y. Kim, M.Y. Song and D.S. Kong. 2012.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dices in the Jinwi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 1-10. 

  5. Driscoll, C.T., K.M. Driscoll, H. Fakhraei and K. Civerolo. 2016. Long-term temporal trends and spatial patterns in the acidbase chemistry of lakes in the Adirondack region of New York in response to decreases in acidic deposition. Atmospheric Environment 146: 5-15. 

  6. George, S.D., B.P. Baldigo, G.B. Lawrence and R.L. Fuller. 2018. Effects of watershed and in-stream liming on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acidified tributaries to an Adirondack lake. Ecological Indicators 85: 1058-1067. 

  7. Helson, J.E., D.D. Williams and D. Turner. 2006. Larval chironomid community organization in four tropical rivers:human impacts and longitudinal zonation. Hydrobiologia 559(1): 413-431. 

  8. Hong, C., W.S. Kim and I.S. Kwak. 2017.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composition following natura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creas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0(3): 275-285. 

  9. Kim, J.Y., S.H. Lee, K.L. Lee, S.Y. Noh, Y.N. Shin, S.W. Lee, J.K. Lee, D.H. Won, S.H. Lim, Y.J. Kown and D.S. Kong. 2018.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Lotic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Namhan-River Weir Section.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1(4): 331-334. 

  10. Kim, W.S., B.H. Lm, C. Hong, S.W. Choi, K. Park and I.S. Kwak. 2017. Gene expression of Chironomus riparius heat shock protein 70 and developmental retardation exposure to salinit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0: 305-313. 

  11. Kim, W.S., K. Park and I.S. Kwak. 2019. Biological effects and mouthpart deformity on Chironomus plumosus exposed to chromium and copp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2: 13-20. 

  12. Kim, W.S., R. Kim, K. Park, N. Chamilani and I.S. Kwak. 2015. The molecular biomarker genes expressions of rearing species Chironomus riparius and field species Chironomus plumosus exposure to heavy metal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2): 86-94. 

  13. Kwak, I.S., M.Y. Song and T.S. Chon. 2004. The effects of natural disturbance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1): 87-95. 

  14. Kwak, I.S. 2015. Identification manual for the larval Chironomidae (Dipter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1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16. Merritt, R.W. and K.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Kendall Hunt. 

  17.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2015. Pectinatella magnifica distribution research and and ecology characteristic study. 

  18.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2016.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2017-439. 

  19. National Institute Environmental Research. 2017.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20. Nava, D., R.M. Restello and L.U. Hepp. 2015. Intra- and inter-annual variations in Chironomidae (Insecta: Diptera) communities in subtropical streams. Zoologia 32(3): 207-214. 

  21. Park, J.H., J.H. Lee, S.Y. Kang and S.Y. Kim. 2006. Hydroclimatic controls on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trace metal transport in Hwangryong River Watershed, Korea, during a summer monsoon period. Hydrological Processes 21: 3025-3034. 

  22. Park, K. and I.S. Kwak. 2008. Characterization of heat shock protein 40 and 90 in Chironomus riparius larvae: effects of di (2-ethylhexyl) phthalate exposure on gene expression and mouthpart deformities. Chemosphere 74(1): 89-95. 

  23. Park, K. and I.S. Kwak. 2018. Disrupting effects of antibiotic sulfathiazole on developmental process during sensitive life-cycle stage of Chironomus riparius. Chemosphere 190:25-34. 

  24. Park, K., J. Park, J. Kim and I.S. Kwak. 2010. Biological and molecular responses of Chironomus riparius (Diptera, Chironomidae) to herbicide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C:Toxicology & Pharmacology 151(4): 439-446. 

  2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and Sons, New York, 165pp. 

  26. Pillot, H.K.M. 2014. Chironomidae Larvae, Vol. 3: Orthocladinae:Biology and Ecology of the Aquatic Orthocladinae (Vol. 3). Hotei Publishing. 

  27. Resh, V.H., A.V. Brown, A.P. Covich, M.E. Gurtz, H.W. Li, G.W. Minshall, S.R. Reice, A.L. Sheldon, J.B. Wallance and R.C. Wissmar. 1988. The role of disturbance in stream ecology.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7(4):433-455. 

  28. Rosenberg, D.M. and V.H. Resh. 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 Hall, New York, 488pp. 

  29. Rossaro, B. 1991. Chironomids and water temperature. Aquatic Insects 13(2): 87-98. 

  30. Sensolo, D., L.U. Hepp, V. Decian and R.M. Restello. 2012. Influence of landscape on assemblages of Chironomidae in Neotropical streams. Annales de Limnologie-International of Limnology 48(4): 391-400. 

  31.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33pp. 

  32. Shearer, K.A., J.W. Hayes, I.G. Jowett and D.A. Olsen. 2015. Habitat suitability curve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a small New Zealand river.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49(2): 178-191. 

  33. Shin, S.M., I.K. Choi E.W. Seo and J.E. Lee. 2013.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 1551-1559. 

  34. Vallenduuk, H.J. and H.K.M. Pillot. 2007. Chironomidae Larvae, Vol. 1: Tanypodinae: General Ecology and Tanypodinae. Brill. 

  35. Ward, A.F. and D.D. Williams. 1986. Longitudinal zonation and food of larval chironomids (Insecta: Diptera) along the course of a river in temperate Canada. Ecography 9(1): 48-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